항목

  • 고려사의 편찬과정
    1451년(문종 1)에 완성된 고려시대에 관한 관찬 역사책 〈고려사〉의 편찬과정.|조선왕조 개국 직후부터 새로운 왕조 창건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왕조인 고려시대(918~1392)의 역사 정리를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1392년(태조 1)부터 작업에 착수하여 4년 뒤에 정도전(鄭道傳)·정총(鄭摠) 등이 〈고려국사 高麗...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사 高麗史
    동활자(갑인자)본. 1449년(세종 31)부터 편찬을 시작하여 2년 반 만에 완성을 보고, 1454년(단종 2)에 간행했다. 김종서·정인지·이선제 등의 관료들이 편찬에...표 2권, 열전 50권, 목록 2권 등 총 1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과 짝하여 편년체로 구성된 고려시대사인 〈고려사절요〉가 1452년(문종 2)에 편찬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신숙주·김례몽·양성지·이예·김지경·김윤복·이극감·윤기무·박윤정·홍우치·이효장·김효우·김용·한서봉·허익·박팽년·유성원(이상 〈고려사편찬에도 참가)·이계전·김맹헌·김질·어익·이윤인·윤자영·김한개 등이다. 편찬과정 조선왕조를 건립한 뒤, 조선은 건국을 기정사실로 하기 위해 전 왕조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고려사 高麗史
    1454년(단종 2) 10월 정인지의 이름으로 인쇄 반포되었다. 내용 여러 차례의 개찬 과정에서 『고려사』는 내용이 크게 보완되었다. 즉 고려시대의 『실록(實錄...集)』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등의 자료가 새로이 이용되었다. 그 편찬 체재가 기전체였으므로 반복되는 기사도 모두 실을 수 있었다. 천문(天文)과...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편찬되기 시작해 1395년(태조 4)에 완성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인 『고려국사(高麗國史)』는 이후 다섯 차례나 개찬(改撰)되는되는 과정에서, 기전체(紀傳體)의 『고려사』로 편찬이 완료되어 1451년(문종 1) 8월 문종(文宗)에게 바쳐졌다. 그 자리에서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 김종서는 『고려사』는 열람하기에...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세종실록 世宗實錄
    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문종 2, 1452년)가 완성된 뒤 곧이어 시작되었다. 1452년(문종 2) 2월 22일에 왕명을 받아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6방(房)을 담당하고, 재위 기간을 여섯으로 나누어 수찬하여 편찬 작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실록 편찬에 참여했던 인물 중에 1453년(단종 1) 계유정난(癸酉...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동국통감 東國通鑑
    盧思愼)이 주축이 되어 서거정·이파(李坡)·김계창(金季昌)·최숙정(崔淑精) 등의 도움을 얻어 완성하였다. 내용 그 명칭으로 보아 ≪고려사절요≫와의 연결을 의식하고 편찬한 듯한 ≪삼국사절요≫는 ≪삼국사기≫에 누락된 많은 설화와 전설을 ≪삼국유사≫·≪수이전≫·≪동국이상국집≫ 등에서 채록하고 ≪동국...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고려사 高麗史
    첫머리에는 정인지가 쓴 「『고려사』를 올리는 전(箋)」이 실려 있는데, 그 내용은 고려 시대 매 시기에 대한 평가와 조선 건국의 당위성, 『고려사편찬 과정 등이 중심이다. 다음으로 김관의(金寬毅)의 『편년통록(編年通錄)』과 민지(閔漬)의 『편년 강목(編年綱目)』을 참고하여 서술한 「고려 세계(高麗世系...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 지지 지리지, 地誌
    지리가 유일하며, 고려에 대해 편찬한 지지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세종의 명을 받은 김종서(金宗瑞) · 정인지(鄭麟趾) 등이 1451년(문종 1)에 완성...거쳐 고려의 지방행정제도가 완성되는 현종까지 오도양계(五道兩界)의 광역행정단위와 경 · 목 · 부 · 군 · 현 · 진의 정비 과정 및 숫자가 기록되어...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동사강목 東史綱目
    편년체의 『고려사절요』나 『동국통감』에서도 모두 신우·신창으로 표현해왔다. 그러나 『동사강목』에서는 이를 정략적인 날조라 평가하면서 왕으로 표기했는데, 폐위된 왕이라 하여 폐왕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는 16세기 사림들의 역사 서술에서 싹트기 시작한 것을 안정복이 확고하게 반영한 것으로 조선 초기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안정복(安鼎福)
    창작/발표시기 :
    1778년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0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삼국사기 三國史記
    특히 『고려사편찬에 기여함으로써 전통 사학을 크게 발전시켰다. 첫째, 이 책은 처음부터 삼국을 하나의 완성된 국가로 보았으며, 왕을 절대적 지배자로 파악하였다. 말하자면 1세기부터 삼국이 국가로 성장한 것으로 이해하였으므로, 태조왕 · 고이왕 · 내물왕을 역사적 전환점으로 보지 않았으며, 발전사관에...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대사
  • 고려사 Goryeosa, 高麗史
    오탈자, 연문: 《고려사》 안에서 같은 사실을 전하는 문장을 비교해 보면 오탈자나 연문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용·연월일 오류 및 누락: 편찬하는 과정에서 틀린 부분들이 고쳐지지 않았고, 일부 사실들은 누락되기도 했으며, 심지어 일부 연도는 내용이 없다. 고려사는 중국과 일본으로도 유입되었다. 청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