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인공업지대 京仁工業地帶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경인축을 따라 영등포·안양·부천·수원·안산·성남·의정부 등의 지역에 형성된 공업지대.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영등포 일대의 방직공장, 피혁공장에서 출발한 경인 공업 지대는 편리한 교통과 인구의 유입, 인접한 소비시장이라는 유리한 조건으로 1960년대 이후 급속히 성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경인공업지대 京仁工業地帯
    경인공업지대(京仁工業地帶)는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안양·수원·부천·성남·의정부 등지에 걸친 대한민국의 최대 공업지대이다. 현재와 같은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온 것은 1961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실시된 이후의 일이다. 1970년대 이후에는 주요 공업지구는 서울을 중심으로 부천·부평...
    도서 위키백과
  • 경기도의 산업과 교통
    공업 공업은 우리나라 정치·경제·사회·문화·교통 등 여러 분야의 초대(超大) 중심지인 서울과 서울의 관문인 인천을 중심으로 일찍이 형성된 경인공업지대를 바탕으로 발달해왔다. 1960년대 이후 일련의 경제개발계획의 추진과정에서 서울에 인구와 공업이 과도하게 집적됨으로써 각종 도시문제가 심각해졌고, 이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산업 , 교통
  • 군포시의 산업과 교통
    364가구로 전체의 0.3%에 불과해 도시적 경제기반이 두드러진다. 군포시는 구로공단과 안양·수원공업지대를 잇는 경부선 철도의 경수국도변에 위치해 경인공업지대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2014년 기준 15,985개 사업체에 9만 6,615명이 종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공장이 안양천의 지류와 경부선 철도를 따라 분포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대구광역시의 산업과 교통
    발달하게 된 요인으로는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과 원료, 편리한 교통, 축적된 지방자본 및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6·25전쟁으로 경인공업지대의 섬유공장이 가동되지 못하여 전국의 섬유 수요를 독점할 수 있었던 것도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와 섬유공업은 낙후된 기술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안양시의 인구와 취락
    서울특별시의 위성도시이자 경인공업지대의 주요공업도시로서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1980년에 25만 3,541명에서 1990년에는 48만 668명으로 10년 동안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서울특별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석수동의 인구는 같은 기간에 3만 2,730명에서 7만 633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공업단지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중부내륙공업지역 中部內陸工業地域
    지역은 경인지역과 영·호남지역을 잇는 교통의 결절지역으로서 섬유·담배·식품 등 경공업 위주로 발달하여 왔으나,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대덕을 중심으로...도시 중심 공업이 확산되어 주변 지역의 공업 생산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대전지역의 공업 발달은 경부선의 개설과 더불어 시작...
    시대 :
    현대
    성격 :
    산업단지
    유형 :
    지명
    소재지 :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청주시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인천광역시 仁川廣域市
    개항과 함께 서울의 관문역할을 하면서 항만 관련 산업 및 교역 중심지로서 성장한 대한민국 제2의 항구도시이다. 특히 1960년 이후 경제개발계획으로 경인공업지대의 중심을 이루면서 제조업이 발달하여 항만도시일 뿐만 아니라 중공업도시로써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수출입 물동량의 증가로 인한 항만시설 확충과...
    위치 :
    대한민국 북서부
    인구 :
    3,000,454 (2024)
    면적 :
    1,063.26㎢
    행정구역 :
    8개구 2개군 1개읍 19개면 129개동
    사이트 :
    http://www.incheon.go.kr/index.do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영남내륙공업지역 嶺南內陸工業地域
    지역은 경인공업지역, 남동임해공업지역에 이어 우리 나라에서 세 번째로 규모가 큰 공업지역이다. 이곳은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를 따라 서로 45㎞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한 대구와 구미를 잇는 축에 대상(帶狀)으로 발달한 공업지역이다. 영남내륙공업지역은 1994년 현재 사업체 수나 종업원 수에 있어 전국...
    시대 :
    현대
    성격 :
    공업지역
    유형 :
    지명
    소재지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북도 경산시, 경상북도 칠곡군, 경상북도 영천시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시흥시 始興市
    분동되었다. 연성동은 2010년에 능곡동으로, 2014년에는 장곡동으로 분동되었다. 2014년에는 군자동이 군자동·월곶동으로 분동되었다. 인구 수도권의 경인공업지대에 해당하여 인구가 급격히 증가해왔다. 1980년에 5만 3,477명(옛 시흥군 소래읍·군자면·수암면 인구)이던 인구가 1990년에는 10만 7,190명, 1996년에는...
    위치 :
    경기도 중서부
    인구 :
    519,306 (2024)
    면적 :
    138.660㎢
    행정구역 :
    18개동 586통
    사이트 :
    http://www.siheung.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부천시 富川市
    경기도 서부에 있는 시. 서울의 위성도시로서 인천과 서울이라는 거대도시에 연접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형성된 신도시로 경인공업지대의 확대와 교외화 현상으로 팽창일로에 있으며 최근 중동 신시가지 개발로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과거 복사골로 유명했던 소사(素砂) 지역으로, 최근 급격한 도시화·산업화로...
    위치 :
    경기도 서부
    인구 :
    778,874 (2024)
    면적 :
    53.4㎢
    행정구역 :
    10개 행정복지센터, 36개동
    사이트 :
    http://www.bucheon.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1960년대 이후의 국토개발
    울산에 이어 포항·마산·창원·여천 등의 공업도시가 개발되어 동남해안공업지대의 골격이 형성되었으며, 부천·안양·수원·성남·안산 등이 성장하여 경인공업지대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춘천·원주·대전·청주·전주·군산·광주·목포·구미 등 14개 지방공업단지를 조성하여 지방경제의 발전을 도모하기도 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경인공업지대
경인공업지대
전라남도 영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