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감자의 고향과 전래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중부 고원지대는 감자의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잉카제국에서는 말린 감자(추뇨)를 공물로 거두어 기근에 대비하기도 했다. 1570년경 스페인 사람들을 통해 유럽에 감자가 소개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순조 24년 청나라 사람이 가져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 감자 관련 유물로는 남아메리카 페루...
-
조선의 음식 문화, 조선시대 고구마와 감자의 역할그것을 배워 주변에 보급시켰고, 김창한이 그 재배법을 편집해 『원저보』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처럼 감자는 북쪽에서 전래되었다는 설과 영국 상선에 의해 남쪽에서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따라서 감자는 유입 경로를 각각 달리해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자는 고구마에 비해 보급과 동시에 널리 퍼졌지만 처음...
-
감자밥1847년(헌종 13)에는 전라·경기·충청·강원지방에까지 보급되어 감자보다 60년이나 빨리 전래된 고구마를 능가할 정도였다. 감자밥이 주식이었던 것으로 보면 감자밥의 시초는 감자가 강원도에 보급된 1847년 이후일 것이다. 감자밥이 감자의 보급과 더불어 쉽게 주식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 이전에 이미 연뿌리...
- 성격 :
- 음식
- 유형 :
- 물품
- 재질 :
- 감자, 쌀
- 용도 :
- 식생활
- 분야 :
- 생활/식생활
-
땅 속의 사과, 감자!Eater’(1885)을 떠올리는 사람들도 있을 것인데, 이 당시 감자는 가난한 소작인들의 주식이자 생명줄이었다. 감자는 16세기경 네덜란드의 상인들에 의해 중국에 전래됐고, 국내에는 1824년경 만주의 간도 지방으로부터 전래됐다고 보고 있다. ‘감자(甘藷)’는 북방에서 온 고구마라는 뜻인 북방감저에서 그 유래를...
-
감자개설 한자로는 북저(北藷) · 토감저(土甘藷) · 양저(洋藷) · 지저(地藷)라고 하며, 방언으로는 하지감자 · 디과라고 한다. 학명은 Solanum tuberosum L.이다. 원산지는 칠레 · 페루 등 남아메리카로, 우리나라에 전래된 경로에 대해서는 북방설과 남방설이 있다. 전래된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오주연문장...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식물
-
-
원서방 圓薯方원서방』(7편)에 이어 『종감저법(種甘藷法)』(4면)이 합본되어 있고, 이어서 『종저방(種藷方)』(4면)이 한문으로 전사(轉寫)되어 있다. 『원서방』은 감자의 전래경위와 재배, 이용법을 기술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저작으로서 서문에 이어 종(種)·농(農)·수장(收藏)·식(食)·원서총론(圓薯總論) 5항목으로 이루어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성묵
- 창작/발표시기 :
- 1832년(순조 32)
- 성격 :
- 농업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신암문고(薪菴文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