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94년 > 특집 > 광복 50년 주요 사건ㆍ사고 > 1945~1950년 > 여운형 피살 47년 7월 19일 근민당(勤民黨) 당수 몽양(夢陽) 여운향(呂運享)은 종로구 혜화동 로터리에서 피살됐다. 범인 한지근(韓智根)은 7월 24일 체포돼 10월 21일 사형이 선고됐으나 11월 4일 무기로 감형됐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9년 > 자료편 > 주요 자료 > 역사 속 오늘 > 6월14일 > 국내 1946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 김규식ㆍ원세훈ㆍ여운형ㆍ허헌 등:좌우합작회담 개시 1950 한국:유네스코(UNESCO) 가입 1961 군사혁명정부:부정축재처리법 공포 1966 제1회 아스팍회의(ASPAC) 개막(서울;아ㆍ태각료이사회 창설) 1994 한국고속철도공단:프랑스 GEC알스톰 차량을 경부고속철도에 도입키로 계약 2000 金大中...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ㅎ > 한시해 > 활동사항 접촉 관련 방일 1996.1 공동사설 지지담화 발표 1996.4 중국 선양 개최 범민련 공동의장단 회의 참석 1996.6 폴란드에서 우리 측 문정현 신부 등과 접촉 1997.7 여운형 사망 50돌 추모회 참석 1997.8 연방제 통일을 역설하는 합동회의에서 토론 1998.2 북한 정당단체 연합회의 참석 1998.8 김정일 논문 ‘김일성 유훈...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ㄹ > 려연구 > 활동사항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에 관한 토론회 북측 대표 단장(1차 오사카) 1991.11 서울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토론회 참석(대표단장), 부친 여운형 묘소 참배, 친지 상봉 1993.4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토론회(일본) 참석 1994.10.4 단군릉 준공식 참석차 밀입북한 범청학련 사무국장 최창남 접견...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문화ㆍ체육 > 문학 > 주요 작품 > 력사의 대결(1ㆍ2부) 전4부작 중 2부까지 나온 이 소설은 혼란한 해방정국을 거쳐 남북 분단 직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허문길이 쓴 이 작품에는 민족지도자 김 구ㆍ여운형 등이 등장한다. 문학신문(5.24)은 이 작품에 대해 “1부에서는 애국애족의 혁명가로 되려면 수령을 혁명의 구세주로 숭배할 때 조선의 혁명가로서 역할을 다할 수...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9년 > 자료편 > 주요 자료 > 역사 속 오늘 > 6월14일 국내 국외 1946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 김규식ㆍ원세훈ㆍ여운형ㆍ허헌 등:좌우합작회담 개시 1950 한국:유네스코(UNESCO) 가입 1961 군사혁명정부:부정축재처리법 공포 1966 제1회 아스팍회의(ASPAC) 개막(서울;아ㆍ태각료이사회 창설) 1994 한국고속철도공단:프랑스 GEC알스톰 차량을 경부고속철도에 도입키로 계약...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7년 > 정치 > 상훈수여 > 국가표창 수여하면서 전성운 초급당 부비서, 허봉철 과장에게 국기훈장 제1급을, 9명에게 노력훈장을 각 수여했다. 또 김일성 주석의 95회 생일을 맞아 3월 21일 몽양 여운형 선생의 딸인 려원구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을 비롯해 김영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 강연학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 오수룡 전자공업상 등...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ㄹ > 려원구 > 프로필 몽양(夢陽) 여운형의 셋째 딸로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이자 대표적인 여성계 인사. 부친이 암살당한 직후 형제들과 함께 월북해 고(故) 김일성 주석의 보살핌을 받고 성장. 러시아의 모스크바대학을 졸업하고 1954년 김책공업대학(지금의 김책공업종합대학) 교원으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 1989년 1월 교포사업총국...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1994년 > 특집 > 광복 50년 주요 사건ㆍ사고 > 1945~1950년 > 좌우합작과 과도입법 의원 제1차 미ㆍ소공동위가 결렬될 무렵 김규식(金奎植)은 독립촉구 방안으로 좌우합작을 제창하고 46년 5월 25일부터 여운형(呂運亨) 등 좌측 대표와 접촉을 시작했다. 미 군정은 이를 지지하고 합작대표로 구성되는 과도입법 기관 설치방안을 밝혔다. 46년 7월 25일부터 좌ㆍ우 대표는 덕수궁(德壽宮)에서 정식회담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4년 > 문화 > 학술 > 주요 학술대회 > 한국사회학회 ‘이상백 선생 추모 94년 전기사회학대회’ 시민민주주의의 정치관과 인간주의 바탕에 뿌리를 둔 사회관을 지녔으며 실천과 아카데미즘을 조화시킨 탁월한 사회학자였다.”고 소개했다. 특히 몽양 여운형 선생의 영향을 받아 해방을 전후로 건국동맹, 건국준비위원회 등에 가입하고 조선인민당 및 근로인민당의 중앙위원을 맡는 등 진보적 민주주의의 정치적 입장...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