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90년 > 문화 > 문화재 > 문화재보존사업 > 개요 90년에 추진된 문화재보존사업으로는 원형보존을 위한 국가 및 시ㆍ도지정문화재의 보수정비, 고도훈화권지역의 문화유적 보수정비, 동산문화재의 안전보호, 중요무형문화재의 기ㆍ예능전승과 기록보존, 천연기념물의 보호, 문화유산의 조사연구, 문화재의과학적 보존연구, 문화재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등...
  • [연합] 2004년 > 문화 > 문화재 > 사건 > 고도보존특별법 제정 문화유적이 복합적, 집중적으로 산재해 있는 경주 등지를 비롯한 고도(古都)의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 보존과 이로 인한 주민피해 해소를 골자로 한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이 2월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이 특별법은 시행령 제정작업 등을 거쳐 2005년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간다. 고도보존특별법이...
  • [연합] 1991년 > 문화 > 문화재 > 문화재보존사업 > 개요 91년에 추진된 문화재보존에 관한 추진사업으로는 문화재해설 문화영화와 문화재발굴 등의 기록영화 제작 및 보급, 원형보존을 위한 고도(古都)문화유적 및 지정문화재정비ㆍ보수와 원형복원사업이 실시되었고, 분류별 문화재의 지정과 안전보호시설 및 중요무형문화재의 기ㆍ예능전승ㆍ보존사업 그리고 천연기념물보호...
  • [북한] 2006년 > 북한법ㆍ규정 > 문헌법 > 제3장 문헌보존관리 제14조 제15조 제16조 제17조 제18조 제19조 제20조 제21조 제22조 문헌보존관리는 문헌을 원상대로 유지하여 후대들에게 물려주는 중요한 사업이다. 문헌보존기관과 해당기관은 수집된 문헌을 손상되지 않도록 보존 관리하여야 한다. 문헌보존관리는 문헌보존기관이 한다. 특수부문의 문헌보존관리는 해당 기관이 한다...
  • [북한] 2005년 > 문화ㆍ체육 > 문화재 > 문화재 보존관리 강화 북한 문화성은 7월 11일 김일성 주석의 ‘주석명령 제35호 문화유적유물 보존관리 사업을 강화할 데 대하여’ 발표 20돌을 맞아 문화재 보존과 관리를 강조했다. 문화성의 김석환 문화보존국장은 “지난 20년 동안 3대 시조릉인 단군릉, 동명왕릉, 왕건릉이 새롭게 개건ㆍ확장됐다”며 “성천군(평남) 용산리 순장무덤...
  • [연합] 2000년 > 문화 > 문화재 > 사건 > 경주 경마장 보존 논란 경주시 손곡동 일대 경마장 건설 예정지 또한 보존이냐 개발이냐로 시끄러운 한 해를 보냈다. 천년고도 경주에 경마장을 만든다는 발상 자체가 코미디 같게만 보였지만 1992년 대선 당시 김영삼 후보측이 공약으로 내걸면서 시작된 이 사업을 경주시라는 지방자치단체와 경제인들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계층을 중심으로...
  • [연합] 1993년 > 문화 > 문화재 > 문화재보존예산 전통문화유산의 보존ㆍ전승을 위한 93년도 문화재보존관리예산은 539억9,393만원으로 이는 92년도 예산 507억4,473만원보다 6.4%가 늘어나 32억4,920만원이 증액됐다. 특히 가야(伽倻)문화권과 기념물정비예산이 92년도보다 25억9,622만원이 증액(전체증가분의 79.9%)된 것이 특징이다. 분야별로는 기관운영비 92억...
  • [연합] 1998년 > 정치 > 지방행정ㆍ경찰 > 지방의회 > 기록보존법 첫 제정 2000년부터 대통령 통치문서를 비롯, 공무수행과 관련된 정부자료의 보존이 의무화되며, 이를 무단으로 파기할 경우 형사처벌을 받게 되는 내용의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최초로 제정, 공포했다(99년 1월). 이 법률에 따르면 공문서뿐만 아니라 회의록, 비공식보고서, 비밀기록, 메모노트까지도 보존...
  • [북한] 2004년 > 법전 > 문화유물보호법 > 제4장 문화유물의 보존관리 제22조 제23조 제24조 제25조 제26조 제27조 제28조 제29조 제30조 제31조 제32조 제33조 제34조 제35조 문화유물의 보존관리를 잘하는것은 문화유물의 파손을 미리막고 원상대로 유지할수 있게 하는 근본방도이다. 문화유물보존기관, 해당 기관, 기업소, 단체와 공민은 문화유물을 그 특성에 맞게 과학기술적으로 보존...
  • [연합] 2000년 > 문화 > 문화재 > 사건 > 부여 화지산 보존 계백 오천결사대 충혼탑을 세우겠다며 사전 매장문화재 발굴 없이 무단 파괴한 부여 화지산 일대가 9월 8일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 예고됨으로써 보존됐다. 해발 10~48m에 지나지 않는 야트막한 산인 이곳에서는 지난 86년 충남대박물관 발굴결과 건물 터와 수많은 기와가 발굴돼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됐으나...
  • [연합] 2001년 > 문화 > 문화재 > 사건 > 을숙도 보존 이런 흐름은 인공 철새 도래지인 부산 낙동강 하구 을숙도의 보존으로 이어졌다. 문화재정책 심의의결 기구인 문화재위원회 제5분과(천연기념물)는 11월 21일 을숙도 남단 인공철새 도래지를 관통하는 명지대교 건설안에 대한 심의를 벌인 결과 “부산시 계획은 생태계 보고인 철새도래지를 파괴할 우려가 크다”면서 이...
  • [북한] 2007년 > 문화ㆍ체육 > 문화 > 문화재 > 고구려 고분벽화 보존 작업 본격화 위한 작업이 본격화했다. 조선신보는 11월 17일자 ‘고구려벽화 무덤 수복(복구)작업 추진’이라는 제목의 평양발 기사에서 북한 문화성 문화보존관리국이 벌이고 있는 보존 작업을 소개하고, “(평안남도) 덕흥리 벽화 무덤 앞 칸 남쪽 벽에 구멍을 내고 ‘레단’을 주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신보는 “지난 시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0건

각운동량 보존
에너지 보존
동결보존(cryopreservation)
올림수 보존가산기
보존문서기록부
보존문서기록부
보존색인표
유문 보존 위 절제술
한국판소리보존연구회
한국판소리보존연구회
보존문서 기록장부
보존문서 기록장부
전주 한옥보존지구
문서보존관리대장
문서보존관리대장
보존파일 목록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