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북한] 1999년 > 외교 > 개관 > 지역 및 국가별 동향 관계증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북한이 공공연히 아세안파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다. 북한은 97년 8월 8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결성 30주년에 즈음해 노동신문 논설을 통해 “우리인민은 앞으로도 새로운 아시아건설을 위한 아세안의 활동을 지지할 것이며 아세안성원국들과의...
  • [북한] 2000년 > 외교 > 북한-비동맹 관계 > 대 동남아 외교 > 개요 북한은 99년 1월 7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인 브루나이와 수교한 데 이어 1월 11일 외무성 대변인의 기자회견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앞으로도 자주, 평화, 친선에 기초해 우리에게 우호적인 모든 국가들, 특히 지역적으로 가까운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북한] 1999년 > 외교 > 일반 > 수교 1월 홍순영 외교통상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앞으로 5년간은 남아공에의 북한 상주 공관을 허용하지 않을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북한은 99년에 들어서도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회원국인 브루나이와도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당초 아세안의 지역안보협력체인 아세안안보포럼(ARF) 가입의 전제조건을 충족시키기...
  • [북한] 2001년 > 외교 > 개관 > 정책변화 과정 역시 2000년 들어 북한은 EU 회원국가들을 비롯한 서방 자본주의국가와의 잇달은 수교를 통해 대외관계의 폭을 크게 넓혔으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을 포함한 아시아국가들과의 관계증진에도 외교적 노력을 집중해 왔다. 특히 2000년 7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SEAN Regional Forum)에 가입, 아시아국가들과...
  • [북한] 2002년 > 외교 > 개관 > 정책변화 과정 2000년 들어 EU 회원국가들을 비롯한 서방 자본주의 국가들과 잇달아 외교관계를 수립함으로써 대외관계의 폭을 크게 넓혔으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을 포함한 아시아국가들과의 관계 증진에도 외교적 노력을 집중해 왔다. 특히 2000년 7월에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SEAN Regional Forum)에 가입, 아시아...
  • [북한] 2000년 > 외교 > 북한-비동맹 관계 > 대 동남아 외교 체결 인도네시아와 투자협정 체결 싱가포르 관광전서 상품홍보 백남순, 아세안회원국 순방 말레이시아와 비자면제 협정 ARF 가입 북한은 99년 1월 7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인 브루나이와 수교한 데 이어 1월 11일 외무성 대변인의 기자회견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앞으로도 자주, 평화, 친선에...
  • [북한] 2000년 > 외교 > 개관 > 외교정책 기조 중국과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복원했으며, 이탈리아 및 오스트레일리아와 수교 및 복교하는 등 서방 자본주의국가들과의 관계도 크게 개선했다. 이와 함께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을 포함한 아시아국가들과의 관계증진에도 외교적 노력을 집중해 왔다. 특히 2000년 1월 4일 이탈리아와의 수교를 계기로 북한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건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태국,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20주년 기념우표
태국,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20주년 기념우표
태국,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20주년 기념우표
태국,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20주년 기념우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