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노리오 3세 Honorius III
    교황(1216~27 재위). 본명은 Cencio Savelli.|교황청 역사상 손꼽히는 행정가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로마 귀족 출신으로 1188년 교황청 회계원장이 되었고,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사제급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1216년 7월 18일 그를 계승하여 교황이 되었다. 전임교황의 정책들을 발전시켜 나갔는데,...
    출생 :
    ?, 로마
    사망 :
    1227. 3. 18,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호노리오 3세 (관련어 호노리오 3세) Pope Honorius ..
    교황 호노리오 3세이다. 사벨리 가문의 일족인 그는 로마에서 아이메리코의 아들로 태어났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의전사제로 장기간 있었다가 1188년 1월 교황 궁무처장이 되었으며, 1193년 2월 20일에는 산타 루치아 인 실리체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3세와 교황 첼레스티노 3세 ...
    도서 위키백과
  • 호노리오 4세 자코모 사벨리, ─ 四世
    본명은 자코모 사벨리. 교황 호노리오 3세의 조카손자인 자코모는 파리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261년에 교황 우르바노 4세에 의해서 추기경이 되었다. 비록 연로하고 신체가 불편했지만 그는 1285년 4월 2일에 교황 마르티노 4세의 뒤를 이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교황 임기 동안 탁발수도회(즉 이동을 하면서 청빈...
    출생 :
    1210?, 이탈리아 로마
    사망 :
    1287. 4. 3,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Pope Honorius III 교황 호노리오 3세, ホノリウス3世 (ローマ教皇)
    Pope Honorius III (1150 – 18 March 1227), born as Cencio Savelli, was Pope from 18 July 1216 to his death in 1227. He was born in Rome as son of Aimerico, a member of the Roman Savelli family.For a time he was canon at the church of Santa Maria Maggiore, then he became Camerlengo of the Holy...
  • 호노리오 2세 Honorius II
    평화를 이루었으며, 슈플린부르크의 백작 로타르 2(3)세가 독일 왕으로 선출되도록 지원했다(1125). 또한 로타르의 정적 호헨슈타우펜의 콘라트(뒤의 독일 왕 콘라트 3세)를 파문하여 로타르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시칠리아와 칼라브리아의 백작 로제르 2세(뒤의 시칠리아 왕)가 아폴리아의 공작으로 자임(自任...
    출생 :
    ?, 로마냐 이몰라 근처 파냐노
    사망 :
    1130. 2. 13,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호노리오 4세 Pope Honorius IV, ホノリウス4世 (ローマ教皇)
    대해서는 강경하게 대처했지만, 아라곤의 알폰소 3세와의 관계는 좀 덜 적대적이었다.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의 중재로 호노리오 4세와 알폰소 3세 간에 평화 협상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호노리오 4세는 협상이 끝날 때까지 오래 살지 못하고 결국 1302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 때에 와서야 아라곤과 시칠리아 문제가...
    도서 위키백과
  • 교황 호노리오 2세 Pope Honorius II, ホノリウス2世 (ローマ教皇)
    2세는 브르타뉴 지방의 범죄를 뿌리뽑기 위한 라바르댕의 힐데베르트 대주교가 주재한 낭트 시노드의 결의사항을 확인했다. 같은 해 호노리오 2세는 브르타뉴 공작 코난 3세가 반항적인 봉신들을 굴복시키는데 도와주었다. 또한 그는 아랍 해적들로부터 끊임없이 피해를 입는 레랭 제도의 수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도서 위키백과
  • 그레고리오 9세 Gregorius IX
    이전에 교황 인노첸시오의 사절로 두 번 독일에 파견되었다. 1206년 인노첸시오는 그를 로마의 항구도시 오스티아의 주교 추기경으로 승진시켰다. 교황 호노리오 3세(1216~27 재위) 때에도 계속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교황뿐 아니라 시칠리아 왕이었다가 신성로마제국 황제로 선출된 젊은 프리드리히 2세의 지지도...
    출생 :
    1170 이전
    사망 :
    1241. 8. 22,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프란치스코 Franciscus
    문제들을 전담시키기 위해 그는 피에트로 카타니를 자신의 대리자로 임명했고, 1221년 피에트로가 일찍 죽자 코르토나의 엘리아스를 선택했다. 교황 호노리오 3세에게 새로운 탁발수사들을 위해 1년의 시험기간(수련기간)을 두는 법을 제정해주도록 요청했고, 기존의 생활규율을 확대·개정했다. 1223년 11월 29...
    출생 :
    1181/82, 스폴레토 아시시
    사망 :
    1226. 10. 3, 아시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판돌포 Pandolpho
    카르타(1215. 6. 19:대헌장)를 받아내지 못하게 했다. 존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판돌포에게 노리치 주교구를 주었다. 존이 죽은(1216. 10. 18/19) 뒤, 판돌포는 랭턴이 인노첸시오의 뒤를 이은 교황 호노리오 3세를 부추겨 판돌포를 로마로 소환한 1220(또는 1221)년까지 소년 왕 헨리 3세의 섭정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
    출생 :
    ?, 로마
    사망 :
    1226. 9. 16, 로마
    국적 :
    잉글랜드,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종교인
  • 도미니코 도밍고 펠릭스 데 구스만, Dominicus
    채택했다. 이들은 지금도 도미니코 수도회 법의 핵심을 이룬다. 1216년 7월 인노첸시오 3세가 세상을 떠나자, 도미니코는 다시 로마로 갔는데, 결국 교황 호노리오 3세로부터 도미니코 수도회에 대한 공식승인을 받았다(1216. 12. 22). 도미니코는 그의 이상을 구상하고 수도회 사람들을 그의 이상에 따라 단련시키고...
    출생 :
    1170경, 카스티야 칼레루에가
    사망 :
    1221. 8. 6, 로마냐 볼로냐
    국적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프란치스코 수도회 Franciscan
    것을 알게 되었다. 프란치스코는 여러 법률학자에게 도움을 얻어 1223년 좀더 온건한 최종 회칙을 썩 내키지 않는 심정으로 작성했다. 이 회칙은 교황 호노리오 3세에게 승인을 받았다. 1226년 프란치스코가 죽기 바로 전까지 수도회 안에서는 가난에 대한 서약을 의무적으로 해야 하느냐는 문제를 놓고 갈등이 점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호노리오 3세(Honorius II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