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4대강유역종합개발 四大江流域綜合開發식량 증산을 기대하였다. 그리고 하굿둑 개발을 통한 효과로는 용수 공급 3억㎥과 관개 개선 1만 7300㏊를 예상하였다. 결과 4대강유역종합개발계획은 개발 과정에서 계획이 일부 수정되거나 목표에 미달된 부분도 있었으나 대체로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였거나 초과 달성하였다. 그 결과 한강 유역에는 소양강댐(1973...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한강 漢江곳곳에 모래톱이 넓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여울이 마포 부근까지 나타났었다. 그러나, 특히 1970년대부터 골재가 엄청나게 채굴되고, 1981년부터 한강종합개발계획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지금과 같이 넓어지는 한편 양안에 고수부지가 들어서게 되었다. 1980년대 말까지 서울의 건물은 주로 한강의 모래와 자갈로 지어...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한강시민공원 조성계획녹지축으로 개발해 시민의 휴식 및 체육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있다(한강시민공원). 한강변의 공간이용은 강변에 수상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지원을...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설정되었다. 고수부지 13개 지구별 공원조성계획은 다음과 같다. 광나루지구 총면적 67만 4,400㎡이다. 수영장을 주된 이용시설...
-
1960년대 이후의 국토개발수립됨으로써 비로소 부문적·지역적으로 체계화된 독자적 종합개발계획으로 발돋움했다. 이 계획은 공업화를 바탕으로 경제의 고도성장을 지향한 제3, 4차 경제...방식을 택했다. 그리고 계획지역에 권역(圈域) 개념을 도입하여 전국을 한강·금강·낙동강·영산강 유역권의 4대권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8중권(수도권...
-
-
제2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특별우표(5) 원자력 발전소건설부에서 금년부터 앞으로 10년 동안 추진키로 된 4대 강 유역 종합개발 계획에 관한 것을 채택하였다. 원자력 발전소는 현대과학 기술의 종합결정체로서 핵...강 유역 개발은 국토의 핵심부(核心部)를 이루는 4대 강(낙동강, 영산강, 한강 및 금강) 유역에 대한 치산(治山), 다목적 댐 건설, 하천개수(河川改修...
- 발행일 :
- 1971.12.5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원자력 발전소
- 우표번호 :
- 792
- 인면 :
- 33×2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10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제2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특별우표(5) 4대강 유역개발건설부에서 금년부터 앞으로 10년 동안 추진키로 된 4대 강 유역 종합개발 계획에 관한 것을 채택하였다. 원자력 발전소는 현대과학 기술의 종합결정체로서 핵...강 유역 개발은 국토의 핵심부(核心部)를 이루는 4대 강(낙동강, 영산강, 한강 및 금강) 유역에 대한 치산(治山), 다목적 댐 건설, 하천개수(河川改修...
- 발행일 :
- 1971.12.5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4대강 유역개발
- 우표번호 :
- 793
- 인면 :
- 33×2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10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홍원숙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서울특별시의 도시계획다핵적 구조로 개편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91)의 하나로 마련된 '수도권정비기본계획'(1982~91)은 서울의 도시계획...산업시설을 지방의 성장거점도시들로 분산시키는 것을 대강(大綱)으로 하고, 한강 이북지역의 산업입지를 제한하는 대신 이들을 한강 이남지역으로 적극...
-
국토개발 國土開發하천은 한강·낙동강·대동강 등 15개 하천이었다. 한편 일본은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제1차 수력조사를 실시하였다. 제2단계는 1921∼1931년까지의 11년간으로...또한, 1925년부터는 철도 건설을 비롯한 도로·항만·치수·수리사업 및 수력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철도 건설은 1897년부터 시작되었으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인문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