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수법 敎授法교수법의 특징은 교수학습의 과정이 교사를 중심으로하여 이루어진다. 교사는 교과의 전문가로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교육방법을 채택하는 권한을 가진다. 학습자는 근본적으로 능동적인 참여자가 아니고, 교사가 하는 대로 따라서 순응하고 적응하기만 하면 되는 수동적인 수용자가 된다. 따라서 교수법은 기본적으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
-
-
이러닝 e-learning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습 방식.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등장한 이러닝은 전자(electronic)와 학습(learning)이 합쳐진 말로 ‘전자학습’을 의미하였다. 하지만 정보기술의 발달로 전자의 의미가 확대되고, 학습이나 교육...
-
-
시-에이-아이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L(computer assisted learning)이라고도 한다. 교육에 대한 컴퓨터 이용방법의 하나. 컴퓨터가 학습자에게 교육내용을 설명하거나 연습문제를 주거나 하여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것을 가능케 한 시스템. 가르치는 방법의 어프로치의 차에 따라 다음 5가지로 분류된다. ①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문제를...
- 분야 :
- 정보 시스템과 사회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外國語─韓國語敎育Language)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이 구분되어 사용된다. 국외에서 수업 중에만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가 KFL 환경에 있다고 한다면, 한국에 들어와 장기 체류나 영구 체류를 하는 유학생이나 이주민은 KSL 환경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용어들을 응용...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