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병호 (무용학자)학자 정보 정병호(鄭昞浩, 1927년~2011년 7월 25일)는 대한민국의 무용학자이다.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문화재위원회 위원, 함귀봉 조선교육무용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한국의 전통문화유산을 발굴 및 계승하고 한국 무용학의 초석을 다진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1997년 옥관문화훈장과 2008년 화관문화훈장을...도서 위키백과
-
함양군의 유물·유적·관광靑溪書院,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6호) 등이 있다. 주요 건축물로는 안의면 금천리의 함양 허삼둘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207호)과 지곡면 개평리의 함양정병호가옥(咸陽鄭炳鎬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86호)을 비롯하여 성종 때 무오사화와 관련이 있는 함양학사루(咸陽學士樓,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0호), 함양읍성의...
-
김숙자 金淑子전국신인국극경연대회에서 수상하였으나 주목받지 못했다. 1963년에 다시 서울에 올라와 김숙자민속무용학원을 차리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1976년에 이르러 정병호와 심우성의 주선으로 올린 공간사랑의 공연에서 올림채, 터벌림, 진쇠, 제석춤, 부정놀이, 군웅춤을 추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1979년에 한국무속예술...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무용용어통일위원회 무용용어통일심의위원회, 舞踊用語統一委員會출간되었다. 무용용어통일위원회는 초기에 무용계 인사 20인으로 구성되었고 후에 11인을 추가해 한국무용·발레·현대무용 등 분과별로 구성되었다. 심의위원은 위원장 조동화를 비롯해 강선영·강이문·김정욱·김천홍·안제승·육완순·이병임·임성남·정병호·조흥동·최현·파조·한영숙 등 31인이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73년 10월
- 성격 :
- 문화예술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74년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이장우 가옥 李章雨 家屋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899년에 건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건물들 중에서 안채가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건립 당시의 소유자는 정병호(그의 부친은 정낙규)인데 1965년 현 소유자 이장우가 사들였다. 안채의 평면 형태는 정면 6칸, 측면 4칸 규모에 전후좌우퇴가 있는데, ㄱ자형으로 되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창작 創作창작사(創作社)에서, 제3호는 서울의 세기사(世紀社)에서 각각 발행되었다. 내용 동인은 동경유학생들로, 수록작품은 주로 시가 많은데 주영섭(朱永涉) 5편, 정병호(鄭炳鎬) 5편, 신백수 2편, 한천 3편, 장영기(張泳基) 3편, 황순원(黃順元) 3편 등이다. 희곡에는 한적선의 「장벽 1-3」, 주영섭의 「벌판」이 있고...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한적선, 한천, 신백수
- 창작/발표시기 :
- 1935년 11월(창간), 1937년 7월(종간)
- 성격 :
- 잡지, 문예잡지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창작사, 세기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문철민 文哲民최초의 그리고 유일한 무용평론가로서 한국의 무용비평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제자로 김문숙, 김기전, 평론가 조동화, 김경옥, 정병호, 극작가 차범석과 최창봉 등이 현대무용의 기반을 다지게 되는데, 이들 무용평론 1세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그는 무용의 대중화를 위해...
- 출생 :
- ?
- 사망 :
- ?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용가, 무용평론가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함양 일두고택 咸陽 一蠹古宅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 성종 때의 대학자였던 정여창(鄭汝昌)의 고택이지만 현재의 건물은 대부분 조선 후기에 중건한 것들이다. 사랑채는 현 소유자 정병호의 고조부가 중건하였다고 하는데, 이 사람은 서산군수를 지냈다고 한다. 그러나 안채는 사랑채보다 건축연대가 올라가서 청하(淸河)현감을 지낸 선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칠장 옻칠장, 漆匠생옻칠장, 옻칠장, 황칠장, 채화칠장, 남태칠장으로 분리하여 지정하고, 옻칠장에는 손대현, 황칠장에는 홍동화, 채화칠장에는 김환경, 남태칠장에는 정병호를 기능 보유자로 인정하였다. 경기도는 1997년에 생칠장으로 송복남을 인정하였다. 또 강원특별자치도는 2003년 칠장에 김상수, 2005년 생칠장에 이돈호...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