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육사외도 六師外道, Six heretics
    서기전 500년 무렵 인도에서 활동하던 6명의 자유사상가를 불교 입장에서 가리키는 불교용어.|개설 육사외도(六師外道)[cha-tīrthika(산스크리트어, 이하 ⓢ로 표기), cha-titthiyā(팔리어, 이하 ⓟ로 표기)]는 붓다와 거의 같은 시기에 활동하였으며, 『베다(Veda)』의 전통과 공개적으로 단절하고, 바라문교의 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6사외도는 누구이고, 그들은 어떤 주장을 했나
    6사외도(六師外道)는 붓다와 거의 같은 시대에 갠지스 강 중류 지역에서 세력을 떨친 여섯 명의 사상가로, 그들은 모두 베다성전(veda聖典)의 권위를 부정했다. 외도(外道)란 불교 이외의 가르침을 뜻한다. ① 푸라나(pūraṇa) : 인연을 부정하고 선악의 행위에 대한 과보도 인정하지 않았다. ② 막칼리(makkhali) : 그...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십대제자 석가십성(釋迦十聖), 十大弟子
    산스크리트어. 이하⒮로 표기), Sāriputta(팔리어. 이하⒫로 표기)]은 브라만 출신으로 왕사성(王舍城)의 북쪽 부근에 있는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육사외도(六師外道)의 한 사람인 회의론자 산자야(Sanjaya)의 제자가 되어 수행하다가, 불제자인 아사지[馬勝]의 설법을 듣고 250명의 제자들과 함께 붓다의 가르침에...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문 沙門
    극단적인 유물론자들도 있지만 대체로 업과 윤회의 사상에 입각하여 고의 세계인 윤회로부터 벗어나 해탈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불교 경전에서 전하는 육사외도(六師外道)가 당시의 대표적인 사문들이다. 불교에서 비구를 사문이라 칭하는 이유는 사문들의 특징이 출가주의를 지향한 점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묀람 첸모 Monlam chenmo, Smon-lam chen-mo
    등으로 어둠을 밝힌 가운데 법좌에서 모든 붓다에게 공양하고 석가모니 붓다의 본생담을 강의하게 되는데, 이것은 매우 아름다운 광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묀람 첸모는 원래 인도에서 석가모니가 입멸한 후 육사외도(六師外道)를 조복시킨 일을 기념해 행했다는 무차대회(無遮大會)를 모방한 것이라고 전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여러 문화를 창조하여 왔다. 복잡다단한 인간역사는 의식의 전개과정이다. 석가모니는 무명(無明)에 사로잡힌 인류중생의 무지몽매를 일깨우기 위하여 그리고 육사외도(六師外道)를 비롯한 당시 대부분 사상가 · 종교가들은 운명적 · 숙명적 인생관을 가지고 있어서 유물주의 · 쾌락주의 · 고행주의가 그 주류를...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지비카교 Ājīvika, アージーヴィカ教
    of Classical Hinduism,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4 아지비카 철학은 카르바카 철학과 함께 고대 인도 사회의 전사, 산업 및 상인 계급에게 가장 큰 호소력을 발휘했다.DM Riepe (1996), Naturalistic Tradition in Indian Thought, Motilal Banarsidass, pages 39-40 육사외도 사문 나스티카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