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육도 六道
    훨씬 고통이 심한 곳이므로 무상(無常)을 쉽게 느낄 수 있고, 업보에 따른 과보를 받을 때 의지에 따라서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주어져 있다고 하여...아수라는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신이지만, 불교에서 수용하여 이를 육도 속에 포함시킨 것이다. 아수라는 지혜는 있으나 싸우기를 좋아하는 존재로서 얼굴...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육도 (불교) Six Paths, 六道
    는 장소 또는 공간 그리고 의식 상태 면에서 서로 섞이지 않으며 엄격히 구분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도 또는 6취는 대체로 3계를 업에 따라 받는 과보라는 관점에서 6가지로 나눈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런 측면에서 흔히 3계와 병용하여 3계 6도(三界六道), 3계 6취(三界六趣)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한편...
    도서 위키백과
  • 육도
    육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육도》(六韜)는 태공망이 지은 병법서이다. 육도는 밭에서 재배하는 쌀이다. 육도(六道)는 불교 교의에서, 중생이 스스로 지은 업에 따라 그 과보로 태어나는 지옥도.cw아귀도.cw축생도.cw아수라도.cw인간도.cw천상도의 여섯 세계이다. 육도(六度)는 대승불교의 수행법인 6바라밀(六波...
    도서 위키백과
  • 지옥 地獄
    인간·천(天)의 육도(六道)로 대별되는데, 지옥은 그 최하층에 속한다. 생명체는 무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끊임없이 업을 짓고, 그 과보로 생사의 굴레에서 헤어나지 못해 육도의 이곳 저곳에서 태어나고 멸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윤회 관념이다. 그 점에서 보면 지옥이나 천상도 업에 따른 생사고리의 한 부분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삼도 삼악도(三惡道), 三道
    미혹된 마음〔妄心〕을 가리킨다. 업도는 번뇌로 미혹된 마음에 의해 일어난 신(身) · 구(口) · 의(意)의 삼업이 낳은 과보를 가리킨다. 고도는 미혹된 마음과 과보로 인해 초래된 삼계(三界)의 육도를 윤회하는 고통을 가리킨다. 이 3가지 길은 어리석은 번뇌로 인해 업을 일으키고, 업으로 인해 고통이 발생하며...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지장보살과 염라대왕, 그리고 시왕
    죽인 과보가 나타나는 것을 머리채를 잡힌 채 확인한 죄인은 쇠절구에 넣어 쇠방아로 찧는다. 대애(碓磑)지옥이다. 칼이나 몽둥이로 남을 괴롭혔던 망자는 옥졸이 창으로 몸을 꾀어 날카로운 칼로 된 산에 던져 꽂는다. 도산(刀山)지옥이다. 형틀에 묶인 죄인을 옥졸이 양쪽에서 톱으로 썬다. 거해(鋸解)지옥이다. 철판...
  • 부천 만불선원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제5 자비도량참법, 富川 萬佛禪院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권2는 발보리심(發菩提心) · 발원(發願) · 발회향심(發廻向心), 권3은 현과보(顯果報), 권4는 출지옥(出地獄), 권5와 권6은 해원석결(解寃釋結), 권7은 자경...봉위과거부모예불(奉爲過去父母禮佛) · 봉위사장예불(奉爲師長禮佛), 권9는 육도중생을 위한 예불과 발원 등을 서술하였으며, 권10은 보살회향법(菩薩廻向...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십계 十界
    수승한 과보를 받는 좋은 곳으로, 욕계천(欲界天) · 색계천(色界天) · 무색계천(無色界天)으로 분류되며, 빼어난 십선(十善)을 닦으면 이들 세계에 태어나서 복을 받게 된다. 인계(人界)는 인간의 세계로서 과거에 오계(五戒)나 중품(中品)의 십선을 실천한 이가 태어나는 세계이다. 아수라계는 지혜는 다소 있으나...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권2에 발보리심(發菩提心) · 발원(發願) · 발회향심(發廻向心), 권3에 현과보(顯果報), 권4에 출지옥(出地獄), 권5와 권6에 해원석결(解寃釋結), 권7에 자경...봉위부모예불 · 봉위과거부모예불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9에 육도중생을 위한 예불과 발원 등을 서술하였으며, 권10은 보살회향법(菩薩廻向法)과 발원으로...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창원 내광사 지장보살본원경 창원 내광사 지장경, 昌原 內光寺 地藏菩薩本願經
    육도 세계의 모든 곳에서 구제의 손길을 뻗친다. 지장보살은 구제를 바라는 중생의 고통스러운 소리가 들리면 어디든지 달려가서 중생을 구제해 준다. 지장보살은 “지옥에 중생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성불하지 않겠다.”라는 서원을 세운 보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장보살은 관세음보살과 더불어 동아시아에서...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7~10 양황참문(梁皇讖文), 詳校正本 慈悲道場懺法 卷七∼十
    권2에 발보리심(發菩提心) · 발원(發願) · 발회향심(發廻向心), 권3에 현과보(顯果報), 권4에 출지옥(出地獄), 권5와 권6에 해원석결(解寃釋結), 권7에 자경...봉위과거부모예불(奉爲過去父母禮佛)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9에 육도중생을 위한 예불과 발원, 권10은 보살회향법(菩薩廻向法)과 발원이 수록되어 있다...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9~10 양황참문(梁皇讖文), 詳校正本 慈悲道場懺法 卷九∼十
    권2에 발보리심(發菩提心) · 발원(發願) · 발회향심(發廻向心), 권3에 현과보(顯果報), 권4에 출지옥(出地獄), 권5와 권6에 해원석결(解寃釋結), 권7에 자경...禮佛) · 봉위과거부모예불(奉爲過去父母禮佛)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9에 육도중생을 위한 예불과 발원, 권10은 보살회향법(菩薩廻向法)과 발원이 수록...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