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복 守僕
    조선시대 단(壇)·묘(廟)·원(園)·능침(陵寢)·전(殿)에서 청소하는 일을 맡은 사람.|내용 고려시대 이래 단묘·능침 등에서 청소하는 사람을 상소(上所)라 하였는데, 1438년(세종 20)에 그것이 별다른 의미가 없다는 의정부의 건의로『주례』에 따라 수복으로 개칭하였다. 예조의 천묘를 맡은 환관 8인과 5개 능침의...
    시대 :
    조선
    성격 :
    신분, 지위
    유형 :
    제도
    시행일 :
    1438년(세종 20)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수복 Restoration (cultural heritage)
    다른 뜻 수복(修復)은 미술품 등 문화유산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뜻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보존과학(保存科學)이라고도 불리며,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학문을 뜻한다.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대만을 청나라의 통치 아래 두다, 대만 수복
    네덜란드의 코예트는 더 버티지 못하고, 정성공이 내민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1662년 초, 네덜란드가 떠남으로써 정성공은 대만을 완전히 되찾았다. 대만 수복 후 정성공은 대만에 행정 기구를 설치하고 대만성을 평안진, 적감성을 안평성으로 고쳤다. 또한 천흥과 만년, 두 현을 두어 군현제를 실시했으며, 법률 제정...
    시대 :
    1661년
  • Conservation-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수복
    The conservation-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focuses on protection and care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artworks, architecture, archaeology, and museum collections. Conservation activities include preventive conservation, examination, documentation, research, treatment, and educ...
  • 복합레진 수복 composite resin restoration
    물리적 혼합물)을 사용하여 치아 우식(충치)이나 마모, 파절 등으로 생긴 치아 내의 빈 공간을 메우는 치료 방법 종류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수복, 치아 사이 공간 폐쇄 - 1급 : 어금니의 교합면 - 2급 : 어금니의 인접면 - 3급 : 앞니의 인접면 - 4급 : 앞니의 인접면과 절단면 - 5급 : 치아와 잇몸 경계 부위...
    진료과 :
    치과보존과
  • 9·28 서울 수복 구이팔 서울 수복, 九二八 서울 收復
    성공은 심리적으로 국군의 사기를 크게 제고시키고 북한군의 사기를 결정적으로 떨어뜨렸다. 또한 서울을 탈환함으로서 북한군의 병참선이 차단되었으며 낙동강 전선에 몰려 있던 북한군 배후를 위협함으로써 북쪽으로의 철수를 이끌어 내었다. 결국 서울수복은 전쟁의 국면을 전격적으로 전환시킨 작전이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아말감 수복 amalgam restoration
    수은, 은, 주석 등으로 이루어진 아말감 합금을 사용하여 치아 우식(충치)이나 마모, 파절 등으로 생긴 치아 내의 빈 공간을 메우는 치료 방법 종류 1급, 2급 수복 - 1급 : 어금니의 교합면 - 2급 : 어금니의 인접면 치료질병 치아 우식, 치아 마모, 치아 파절 진료과 - 대분류 : 치과병원 - 소분류 : 치과보존과 해당...
    진료과 :
    치과보존과
  • 백자 청화 칠보수복문 호 白磁 靑畵 七寶壽福文 壺
    개설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청화칠보수복문호는 2009년 1월 2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작품은 높이 31.6㎝의 입호(立壺)로, 호의 상단부에는 길상문이, 하단에는 화훼문이 장식되어 있다. 내용 조선 백자에 시문되는 길상문(吉祥紋)의 주요 주제는 대체로 복(福...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수복칠보석류보상화문 황갈단 당의 壽福七寶石榴寶相花紋 黃褐緞 唐衣
    없다. 겉당의의 크기는 길이 73㎝, 화장 64.5㎝, 품 31㎝, 고대 12.5㎝, 진동 16㎝, 수구 12.5㎝이다.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된 수복칠보석류문 황갈단 당의에 비해 크기가 다소 큰 편이다. 의의와 평가 현재 학계에서는 이 유물과 동일한 형식의 당의에 대해 ‘두벌당의’로 명명하고...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생활/의생활
  • 수복칠보석류문 황갈단 당의 壽福七寶石榴紋 黃褐緞 唐衣
    개설 색상이 전체적으로 갈변되어 있는 출토된 복식으로, 겉감은 칠보석류무늬의 문능(紋綾)에 ‘수(壽)’·‘복(福)’자가 당의 전체에 직금(織金)되어 있고 안감은 세주(細紬)를 받친 겹당의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청연군주(淸衍郡主, 1754∼1821)의...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생활/의생활
  • 경성수복공신 수복경성공신(收復京城功臣), 京城收復功臣
    펴서 성을 만들고 그 위에 물을 부어 얼려 사람이 기어오르지 못하게 하였고, 또한 사람을 닥치는 대로 죽여서 먹기까지 하였다고 한다. 의의 및 평가 경성수복공신은 실제 군사력을 동원하여 전공을 세운 인물들이었으므로 이후 고려의 군권은 이들에 의해 장악되었다. 특히 안우경, 최영, 우제 등은 같은 날 흥왕토적...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수복돼지국밥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수복돼지국밥은 소문난 돼지국밥 맛집이다. 연산역 10번 출구로 나와 400m 정도 연산 터널 가는 방향으로 걷다 보면 좌측에 자리해 있다. 건물 1층에 주차장이 있어 주차 걱정도 없다. 2층, 3층은 식당으로 운영하며 3층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회식, 가족 모임 등 단체 모임 장소로 이용...
    위치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41-1 2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3건

백화수복
석제 '수복' 인장
석제 '수복' 인장
석제 '수복' 인장
석제 '수복' 인장
석제 '수복' 인장
석제 '수복' 인장
'수복'자문 목판
'수복'자문 목판
'수복'자문 목판
'수복'자문 목판
'수복'자문 목판
'수복'자문 목판
'수복'자문 목판
'수복'자문 목판
종묘 수복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