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경성수복공신

다른 표기 언어 京城收復功臣 동의어 수복경성공신(收復京城功臣)
요약 테이블
시대 고려 후기
유형 개념
분야 역사/고려시대사

요약 경성수복공신은 고려 후기 공민왕 때 홍건적의 제2차 침입을 물리치고 개성을 수복한 공으로 책봉된 공신이다. 1362년(공민왕 11)에 홍건적 10만여 명이 고려를 침입하여 11월에 개성을 함락시켰는데, 이듬해 정월에 고려군 20만여 명이 개경을 포위 공격하여 이들을 몰아내었다. 이때 공을 세운 황상(黃裳), 한방신(韓方信), 안우경(安遇慶) 등을 1등 공신 53명과 2등 공신 53명으로 나누어 책봉하였다.

내용

1361년(공민왕 10) 10월에 홍건적(紅巾賊)이 고려를 침략하였다. 1359년(공민왕 8) 12월의 첫 번째 침략에 이은 두 번째 침략이었다. 이때의 홍건적은 첫 번째에 비해 훨씬 대규모로, 반성(潘誠) · 사유(沙劉) · 관선생(關先生) · 주원수(朱元帥) 등이 이끄는 10만여 명의 대군이었다. 이들은 압록강을 건너온 뒤 고려의 서북면 지역을 차례로 장악한 후, 그해 11월 24일에 개경을 함락하였다. 홍건적은 이후 개경을 장악한 수개월 동안 온갖 만행을 저질렀다고 하는데,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에 따르면 말과 소를 잡아 그 가죽을 펴서 성을 만들고 그 위에 물을 부어 얼려 사람이 기어오르지 못하게 하였고, 또한 사람을 닥치는 대로 죽여서 먹기까지 하였다고 한다.

의의 및 평가

경성수복공신은 실제 군사력을 동원하여 전공을 세운 인물들이었으므로 이후 고려의 군권은 이들에 의해 장악되었다. 특히 안우경, 최영, 우제 등은 같은 날 흥왕토적공신으로 거듭 책봉되기도 하였다. 이들 공신의 권력이 군사력을 바탕으로 커져 가자 공민왕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신돈(辛旽)을 등용해 다수의 공신들을 숙청하였다. 한편 경성수복공신에 이성계와 그의 이복형인 이원계(李元桂), 조인벽(趙仁壁) 등 동북면(東北面) 세력이 이름을 올리면서 이들이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고려사(高麗史)』
  •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 김상기, 『고려시대사』(동국문화사, 1961)
  • ・ Robinson, David, Empire's Twilight(Cambridge: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 ・ 이경희, 「고려말 홍건적의 침입과 안동임시수도의 대응」(『부산사학』24, 부산경남사학회, 1993)
  • ・ 민현구, 「신돈의 집권과 그 정치적 성격」(『역사학보』38·40, 역사학회, 1968)
  • ・ 박진훈, 「고려후기 홍건적의 침입과 안우의 군사활동」(『사학연구』130, 한국사학회, 201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경성수복공신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