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색 (불교) (관련어 색법) Rūpa, 色 (仏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불교에서 색은 넓은 뜻으로는 물질적 존재, 즉 변화하고 소멸되며, 일정한 공간을 배타적으로 점유하여 다른 것과 그 공간을 공유하지 않는 사물을 총칭한다. 이것은 색(色) 일체법의 다른 분류 체계 중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五位七十五法)과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五位百法) 중 1개의...
    도서 위키백과
  • 유가론기 瑜伽論記
    四識說)과 태생(胎生)·난생(卵生)·습생(濕生)·화생(化生) 등 사생을 주석하였다. 제4권에서는 선정의 체성과 번뇌, 해탈(解脫) 또는 열반(涅槃) 등과 색법(色法)과 심법(心法) 및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타기성(依他起性)·원성실성(圓成實性) 등을 관찰하는 공관(空觀)을 설명하였다. 동시에 견도(見道)와 수도...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둔륜(遁倫)
    창작/발표시기 :
    신라시대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4권 또는 48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율종 律宗
    도 아닌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이라고 했으며, 상부종도 이를 따랐다. 반면에 동탑종에서는 〈구사론 俱舍論〉에 의거하여 계체를 무표색(無表色)으로 보아 색법(色法)이라 했다. 그리고 남산종에서는 유식학(唯識學)에 입각하여 계체를 아뢰야식(阿賴耶識) 가운데에 생하는 마음의 종자(種子)라고 했다. 이처럼 도선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법상 法相
    인식하기 위해서 일체 모든 현상을 다섯 종류 백 가지 법으로 자세히 분별해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일체의 현상을 심법(心法) · 심소법(心所法) · 색법(色法) ·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 무위법(無爲法)의 종류로 구분하고, 각각에 일체 현상을 나누어서 백 가지 법으로 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그러나...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유대법과 무대법
    2법(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 유위법 유루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에 이런 뜻의 여러 가지 2법(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sfn 유견법(有見法) 일체의 색법 즉 물질을 유견유대색(有見有對色) 법처소섭색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연기론인 아뢰야연기의 종자설과 깊은 관련이 있다.sfnsfnsfn 《구사론...
    도서 위키백과
  • 유색법과 무색법
    2법(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 유위법 유루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에 이런 뜻의 여러 가지 2법(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sfn 유색법(有色法) 즉 색법(色法) 즉 물질[色]은 그 성질에 따라 유견유대색(有見有對色) 법처소섭색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연기론인 아뢰야연기의 종자설과 깊은 관련이 있다...
    도서 위키백과
  • 유견법과 무견법
    2법(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 유위법 유루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에 이런 뜻의 여러 가지 2법(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sfn 유대법(有對法) 일체의 색법 즉 물질을 유견유대색(有見有對色) 법처소섭색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연기론인 아뢰야연기의 종자설과 깊은 관련이 있다.sfnsfnsfn 《구사론...
    도서 위키백과
  • 오위칠십오법 五位, 五位七十五法
    경험을 구성하는 조건 또는 요소로서, 개별적이고도 더 이상 환원 불가능한 독립된 실체(實體, dravya)이다.sfn 이러한 입장에서 설일체유부는 일체법을 색법(色法) 11가지, 심법(心法) 1가지, 심소법(心所法) 46가지,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가지, 무위법(無爲法) 3가지의 5위 75법으로 분류하였다. 즉 색법(色法...
    도서 위키백과
  • 법처소섭색
    또는 체계에 속한다.sfn 초기불교의 5온의 법체계에서 색온에, 6경에서 법경에 속하는 물질[色]이다.sfn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색법 가운데 하나이다.sfn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물질[色] 즉 색온 또는 색법을 크게 4대종의 두 그룹으로 분류할 때, 법처소섭색은 소조색...
    도서 위키백과
  • 안근
    법체계에서 안계(眼界)에 해당한다.sfnsfn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22근(二十二根) 가운데 하나이다.sfnsfn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색법 가운데 하나이다.sfnsfn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색법 가운데 하나이다.sfnsfn 4대종으로 만들어진 이차적인 물질(색...
    도서 위키백과
  • 마음 (불교) Chitta (Buddhism), 心 (仏教)
    5위 100법의 법체계는 모두 크게 유위법과 무위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유위법에는 4종류, 즉 4위(位)가 있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이 4종의 유위법을 색법(色法)·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이라 하고,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
    도서 위키백과
  • 대승백법명문론
    시작을 다음과 같이 시작하고 있다.이후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분류, 즉, 5위(五位)로 나누어 이 순서대로 100법을 나열하고 있다. 심법: 51개의 법이 있다. 색법: 24개의 법이 있다. 무위법 즉 아공(我空)과 법공(法空), 즉, 2무아(二無我) 즉 인무아(人無我)와 법무아(法無我)를 천명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 논서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