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컴퓨터 사식 전산사식, computerized typesetting
    레이저 광선의 펄스(pulse)를 만들어 보내거나 스트로보스코프나 음극선관(cathode-ray tube/CRT)으로부터의 이동 광선을 이용한다. 이 시스템은 입력을 위한 자기테이프를 만들어내는(이전에는 천공된 카드를 만들어냄) 키보드와, 하이픈을 붙이거나 각 줄의 끝을 맞추거나 페이지를 짜기 위한 컴퓨터, 그리고 출력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전산사식조판 시스템 시-티-에스(CTS), computerized types..
    주어진 원고를 기초로 인쇄원판을 짜는 조판작업을 컴퓨터로 처리하는 시스템. 간단히 조판 시스템(typesetting system)이라고도 한다. 개념적으로는 원고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시스템, 컴퓨터 내에서 입력된 정보를 편집하는 시스템, 그리고 그 결과를 고품질의 전자식 사식기로 1페이지마다 인화지로 출력하는 시스템...
    분야 :
    소프트웨어 설계법, 정보 시스템과 사회
  • 컴퓨터 사식 조판 시스템 CTS, -寫植組版-
    입력에서부터 지면의 배치(layout), 편집, 인쇄판(machine plate) 작성까지의 공정을 일관적으로 행하는 방식. 일반적으로 CTS라는 약어로 불리며 컴퓨터 사식 조판 시스템(computer typesetting system)이라고도 한다. 문서 처리기, 묘화 프로그램(drawing program), 페인트 프로그램(painting program) 등의...
  • 홍중해 사식(士式), 洪重楷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식(士式). 아버지는 홍문관교리 홍만형(洪萬衡)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민광훈(閔光勳)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처음에는 송준길(宋浚吉)을 섬겼으나, 뒤에 송시열(宋時烈)과 박세채(朴世采)를 사사하였다. 진사시에 합격하여 세마가 되고, 내섬시주부를 거쳐, 공조좌랑을 지냈다. 그...
    시대 :
    조선
    출생 :
    1658년(효종 9)
    사망 :
    1704년(숙종 30)
    경력 :
    공조좌랑, 돈녕부판관, 공조정랑, 김천군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 사식 五沙息曲
    내용 『삼국사기』권32 잡지 악조에 거문고의 명인 옥보고가 지은 30곡의 곡명이 전하는데 이 곡은 그 중의 한 곡이다. 가사와 악보가 전하지 않아 곡의 내용은 알기 어렵다. 또한, 곡명에 있어서 지방명을 나타낸 우륵(于勒)의 12곡(가야금곡)과도 비교된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옥보고
    창작/발표시기 :
    신라시대
    성격 :
    거문고 악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계산기 지원 사식 CTS, 계산기 지원 寫植
    계산기 응용 용어. 도큐멘트작성의 각 단계에 계산기를 응용하는 것. 예를 들면, 문서의 서식설정, 워드프로세서에서 직접 입력지원, 페이지마다 편집배정처리 등이 있다.
  • 사진 식자 (관련어 사식) Phototypesetting, 写真植字
    인쇄의 역사 사진 식자는 사진 기술을 이용한 조판 방식이다. 글꼴 모양의 사진 네거티브 판을 사진 식자기에 걸고 한 글자씩 암통 안에 들어 있는 인화지의 감광시켜 조판한다. 사진 원판은 정상적인 사용으로는 손상되지 않아 반영구적이며 사진 기술을 이용하므로 렌즈를 이용해 글자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
    도서 위키백과
  • 이세영 Lee Se Young
    작업에 기여해 오고 있다. 어떻게 북디자인에 대해 흥미를 느끼게 됐나? 1988년 겨울 ‘안그라픽스’에 입사했다. 초임 디자이너 시기엔 사식 보낼 활자 명세를 매기고 사식이 오면 소위 대지 작업이란 것으로 업무의 대부분이 이루어지던 시절이다. 한 글자 한 글자, 글자 사이, 글줄 사이를 칼질로 오가며 검은 것은...
  • 곽낙원 郭樂園
    하고 있던 일본군 육군 중위를 죽이고 체포되어 인천감리서로 이송되자, 인천항 물상객주 집을 찾아가 바느질과 밥 짓는 일을 해주며 그 대가로 감옥에 매일 사식을 넣으며 아들을 멀리서 돌보았다. 사형선고를 받은 김구가 고종의 특사로 감형된 뒤 복역 중 1898년 탈옥을 하자, 남편과 같이 체포되어 인천형무소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응골방 鷹鶻方
    이왈어을지(二曰於乙只) 하는 식으로 깃의 이름을 들고 이에 대한 풀이를 하고 있다. 논천질(論天質)에서는 매의 천성과 굶주릴 때의 성상변화 등을 논하고, 사식(飼食)에서는 매의 먹이로는 참새·쥐·메추리·비둘기새끼·꿩·닭·멧돼지·노루·토끼 등이 적당하며, 사슴·수탉·고양이 등은 적당하지 않다고 논하고...
    시대 :
    고려
    저작자 :
    이조년(李兆年)
    창작/발표시기 :
    고려 후기
    성격 :
    연구서, 기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과학/동물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전자출판 電子出版
    본 견해이고, 한국의 견해는 아니다. 일본의 각겐·고단샤·헤이본샤에서는 1970년대부터 워크스테이션급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사전 편찬을 하는 등 컴퓨터사식조판시스템인 CTS를 이미 실용화시키고 있었다. 1970년 초의 CTS는 입력기가 직접 디스켓에 입력시키지 못하고 종이 테이프를 펀칭하고, 종이테이프 리더...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유가론기 瑜伽論記
    에 의하여 정화되는 경지를 설명하고 있다. 또 삼계 중생들의 수명과 신장(身長) 등을 기록하고, 식사에 있어 단식(段食)·촉식(觸食)·의사식(意思識) 등 사식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또 중생의 업력(業力)인 숙업(宿業)과 신업(新業) 등의 업력설과 번뇌와 지혜 또는 생사윤회문제 등을 기록하고 있다. 제3...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둔륜(遁倫)
    창작/발표시기 :
    신라시대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4권 또는 48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