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변론고적기 중변론고적기(中邊論古迹記), 辯中邊論..
    찬술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잡술록(雜述錄) 4(대정장 제55권)에는 1권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는 산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내용 『변론』은 현장(玄奘, 602∼664)이 번역한 인도 유가행파의 문헌이다. 게송은 미륵이 짓고 산문 주석은 세친이 저술한 것이라고 전한다. 현장 이전에 같은 문헌이...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변론 辯中邊論疏
    않는다. 내용 통일신라 초기에 활동한 승려 도증(道證)이 인도 유식학파의 창시자인 미륵(彌勒, Maitreya)의 저작이자 현장(玄奘, 602∼664)이 한역한 『변론』을 주석한 책이다. 신라 유식불교는 현장 – 원측(圓測) - 도증(道證) - 태현의 계보로 이어진다. 즉 도증은 원측의 제자이자 태현의 스승으로 신라 유식...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도증(道證)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변론고적기 中邊論古迹記
    1101)의 불교관계 목록집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제3권과 일본의 흥륭(興隆)이 편찬한 『불전소초목록(佛典疏鈔目錄)』에는 1권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일실되어 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한편 『변론고적기(辯中邊論古迹記)』와 동일본으로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태현(太賢)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중변분별론소 중변소(中邊疏), 中邊分別論疏
    Maitreya)이 지었고, 송에 대한 주석은 세친(世親, Vasubandhu)이 지었다. 한역으로는 진제(眞諦)가 한역한 『중변분별론』 2권본과 현장(玄奘)이 한역한 『변론(辯中邊論)』 3권본이 있는데, 이 책은 진제의 2권본에 대한 주석이다. 진제의 2권본은 상품(相品) · 장품(障品) · 진실품(眞實品) · 대치품(對治品...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본겁본견
    또는 상견론(遍常見論)이라고도 한다. 《유가사지론》 제87권에서는 상론을 상견론(常見論)이라 부르고 있다.sfn 그런데, 모든 경론에서의 상론 4견에 대한...어디까지인가에 따라 다음의 표와 같은 차이가 있다. 달리 말해, 6신통 숙명통의 성취도에 대해 경론 간에는 차이가 있다. 특히 《대비바사론》의 경우...
    도서 위키백과
  • 의리 義理辯
    주희(朱熹)의 성리학과 심성론에 대하여 선유들의 논술이 많은데 그 논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을 발취하여 후인들에게 참고가 되게끔 한 편자의 의도가...도심을 체(體)로 본다든가 또는 인심의 바른 것과 바르지 않음에 대한 변론과, 이(理)와 기(氣)에 대하여 발하고 발하지 않을 때의 상태에 대한 견해 등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반야바라밀다심경찬 반야심경찬, 般若波羅蜜多心經贊
    책에서 인용되고 있는 제경론(諸經論)의 빈도수는 다음과 같다. 『성유식론(成唯識論)』 17,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10, 『해심밀경(解深密經)』 1, 『변론(辨中邊論)』 4,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 5, 『불지론(佛地論)』 8, 『불지경(佛地經)』 4,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 2, 『현양성교론(顯揚...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성유식론술기 유식론술기(唯識論述記), 成唯識論述記
    등의 세 사람과 함께 검문(檢文) · 찬의(纂義) 등의 역할을 맡았지만, 『성유식론』의 한역 과정에 있어서는 규기 한 사람만 참여하였다. 이후 현장이 『변론(辯中邊論)』 · 『이십유식론(二十唯識論)』 등을 한역할 때도 규기가 필수의 일을 맡았고, 이후 그에 대한 주석서도 지었다. 51세를 일기로 자은사의...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언론·출판/출판
  • 태현 대현(大賢), 太賢
    1권, 『섭대승론세친석론고적기(攝大乘論世親釋論古迹記)』 1권, 또 『섭대승론무성석론고적기(攝大乘論無性釋論古迹記)』 1권, 『변론고적기(中邊論古迹記)』 1권, 『변론고적기(辨中邊論古迹記)』 1권, 『현양론고적기(顯揚論古迹記)』 2권, 『잡집론고적기(雜集論古迹記)』 4권, 『보살장아비달마고적합집(菩薩...
    시대 :
    고대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보살장아비달마고적합집 菩薩藏阿毘達磨古迹合集
    論)』,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 『성업론(成業論)』, 『오온론(五蘊論)』, 『장진론(掌珍論)』, 『광백론(廣百論)』, 『변론(辯中邊論)』,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불지론(佛地論)』, 『무성섭론(無性攝論)』, 『세친섭론(世親攝論)』 등 고적기 총 10석(釋) 17부론을 모은...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태현(太賢)
    성격 :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헌문집 重軒文集
    필변(猥筆辨辨)」 등은 전우(田愚)가 기정진(奇正鎭)의 주리적(主理的) 입장의 학설을 비판하자 스승 정재규(鄭載奎)의 뜻을 받들어 전우의 설을 반박한 장문의 논설이다. 이기(理氣)·명덕(明德)·성(誠)·사단칠정(四端七情)·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등에 걸쳐 조목조목 자신의 철학적 견해를 밝히고 있다. 따라서...
    시대 :
    근대
    저작자 :
    황철원
    창작/발표시기 :
    1948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4책
    간행/발행 :
    황기채, 황오채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전주대학교 도서관
  • 도증 道證
    저술을 통해서 알 수 있는데, 대체로 원측의 학설을 따르고 있다. 그는 유식학을 근본사상으로 삼고 있으면서도 반야부 계통의 경전, 인명학, 정토신앙에도 관심이 있었다. 저서로는 〈성유식론강요 成唯識論綱要〉·〈변론소 辯中邊論疏〉·〈인명입정리론소 因明入正理論疏〉 등 13종이 있으나 모두 전하지 않는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