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계연기 무진연기(無盡緣起), 法界緣起법계연기(法界緣起)는 일체의 모든 것이 상호 조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불교의 진리관이다. 이 교리는 연기라는 불교의 근본적인 교설에 대한 화엄 교학 특유의 해석이며, 나아가 '현상이 곧 진리'라는 동아시아 불교의 사상적 경향을 대표하는 표제어이기도 하다. 개설 법계연기(法界緣起)는 화엄(華嚴) 교학의 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법계연기론 法界緣起論것을 1947년 이규한(李圭翰)이 국한문으로 번역하고 진재석(陳載石)이 필사하였다. 전체가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언에서는 법계연기가 만유의 법계를 총괄하여 하나의 연기로 삼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일체의 만상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고, 한 사물이 일체만물과 인연이 되어 서로 의지하고 원융무애(圓融...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이규한(번역), 진재석(필사)
- 창작/발표시기 :
- 1947년
- 성격 :
-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동국대학교 도서관
-
법계체성지 法界體性智唯識無境)의 이론에서 나아가 마음에 외경의 관계를 더하여 법계체성지의 5지(五智)을 주장한다. 법계체성지는 주관과 객관, 마음과 물질[心色] 법계 전체에 대한 주객일체의 연기성을 상정한 것으로 밀교의 독자적 이론이다. 밀교에서는 오지(五智)를 오방불(五方)·오불(五佛)에 대비하는 종성, 또는 부족사상에 입각...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십현연기문 십현문(十玄門), 十玄緣起門내용 십현연기문은 십현문(十玄門) 또는 십현연기무애법문(十玄緣起無礙法門)이라고도 한다. '십(十)'은 원만한 수[滿數]를 뜻하고, '현(玄)'은 깊고 현묘하다는[深玄] 뜻이며, '연기(緣起)'는 사사무애연기(事事無礙緣起)의 법문이라는 뜻이다. 즉, 모든 현상은 각 현상마다 서로 원인이 되어 밀접한 융합을 유지하고...
- 시대 :
- 고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화엄경요의문답 화엄경요결문답(華嚴經要結問答), 華嚴經要義問答총상(總相) · 별상(別相) · 동상(同相) · 이상(異相) · 성상(成相) · 괴상(壞相)으로서, 존재 또는 세계의 구성을 6개의 각도로 쪼개어 해석함으로서 법계연기(法界緣起)의 실상을 밝히고 있다. 십전유의는 돈의 비유로써 법계연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다. 즉 체(體)와 용(用)의 측면에서 법계연기를 설명...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인다라망 因陀羅網덕용자재(德用自在)의 측면을 더욱 잘 보여준다는 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의상과 동문수학한 법장(法藏: 643~712)도 스승 지엄의 십현문을 받아들여서 법계연기(法界緣起)를 설명하는 방편으로 적극 활용한다. 법장은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敎義分齊章)』에서 십현문을 이용해 법계의 실상을 밝히면서 인다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