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8세기 초에 간행된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본이다. 이 경은 1966년 10월 13일 경주 불국사의 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였을 때, 제2층 탑신부에 봉안되어 있던 금동제 사리외함(舍利外函)에서 다른 여러 사리 장엄구(舍利莊嚴具)와 함께 발견된 것이다. 서지 ...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존하는 목판 인쇄물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 1966년 석가탑 해체·복원공사를 진행하던 중 탑신부 제2층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통일신라 700년대 초에서 751년 사이에 '다라니경'이 출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보 제126호로 현재 국립 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두루마리 1축이 6.6m×7m이다.
-
삼국시대의 과학기술상감한 뛰어난 금속기술의 산물이다. 또한 금동대향로는 금속공예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신라에서는 8세기 초 세계 최초의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만들기도 했다.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신라의 금관 또한 뛰어난 제작기법으로 화려하게 만들어졌으며, 신비한 종소리를 내는 성덕대왕 신종은...
- 시대 :
- 기원전 1세기~기원후 10세기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탑 내부에 사리봉안을 위한 공간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중심부에 놓여졌던 사리외함과 함께 안에는 알형으로 생긴 은제의 사리 내·외합과 금동사리합,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각종 구슬과 함께 있었다. 사리함의 주위에는 청동제비천상과 동경, 목탑, 경옥제곡옥, 구슬, 향목 등이 놓여있었다. 사리함의 바깥 기단부...도서 위키백과
-
창림사 무구정광탑원기 창림사무구정탑지(昌林寺無垢淨塔誌), 昌林寺..개설 「창림사무구정탑원기」는 문성왕이 855년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多羅尼經)』의 내용에 따라 무구정탑을 만들며 발원한 내용과 참여자의 명단을 적어 놓은 기록이다.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 불사활동에는 왕족 여러 명이 참여하였다. 발원문은 문한관인 한림랑(翰林郞...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석가탑(釋迦塔),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복원되었다. 해체수리 과정에서 2층 탑신의 상면 중앙에 있는 네모난 사리공(舍利孔) 안에서 사리를 비롯한 사리용기와 각종 장엄구(莊嚴具) 및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이 다라니경은 당나라의 측천무후자(則天武后字)를 사용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로서 학계에...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목판본 木板本언제라도 손쉽게 다량으로 찍어낼 수 있어 매우 편리하였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목판본은 경주 불국사의 삼층석탑에서 나온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다. 이 경은 751년(경덕왕 10) 무렵에 간행된 소형 목판 권자본으로, 판각이 자못 고졸하며 자획에 필력이 약동하고 글자체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화엄사 서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華嚴寺 西 五層石塔 舍利莊嚴具다라니경에는 질이 좋은 한 종류의 종이가 사용되고 탑인에는 네 종류의 종이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유물들은 불국사 석가탑 출토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보, 1967년 지정), 리움미술관 소장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국보, 1979년 지정)에 이어 우리나라 제지술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