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갈라치기 (바둑)
    갈라치기(splitting)는 포석에서 '상대방의 세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모양의 한가운데'에 두는 것이다. 즉, 두 귀에 위치한 상대의 모양 전체가 연결되어 그대로 집이 되는 것을 막고 상대방 집의 크기를 줄일 목적으로 '변의 중앙에 침입'하는 것이다. 상하 또는 좌우의 벌림을 맞보기로 착점한다. 참고로, 상대방 돌...
    도서 위키백과
  • 분할통치 (관련어 갈라치기) Divide and rule, 分割統治
    다른 뜻 넘어옴 분할통치(分割統治, 한 사람이나 특정 집단 등이 통치를 함에 있어서 피지배자들을 분열시키거나 서로 적대하게 만들어 통치를 용이하게 하는 수법이다. 특히 제국주의 국가가 식민지지배를 유지하기 위하여 식민지 주민의 민족·경제·종교상의 대립을 이용하여 주민의 내부적인 다툼을 일으켜서 단결을...
    도서 위키백과
  • 다가서다 (바둑용어)
    바둑에서, 주로 포석 단계에서 상대방의 돌에 가깝게 가는 행마. 상대방이 포석을 위해 착점한 요처에 한 칸 정도의 간격을 두어 착수하는 것으로, 상대방 세력을 견제하거나 갈라치기를 위해 시도한다.
  • 장단법
    것을 '갈라친다'고 하며, 이렇게 치는 이유는 채편과 북편 사이의 시가로 곡의 속도를 지정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장구의 채편은 복판을 치는 경우와 가장자리를...가곡·가사·시조 등의 노래를 반주할 때 역시 채편의 가장자리를 친다. 단 가곡 중 편수대엽이나 태평가 등의 일부 곡에서는 채편의 복판을 치기도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스트라이크존이 좁다는 건 무슨 뜻일까
    이유로 “치기 쉬운 공을 던지라고 투수에게 권장하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타자의 눈에서 가까울수록 쉽게 칠 수 있다는 의미로, 장강훈 기자의 의견과 배치된다. 스트라이크존, 허공에 떠 있는 가상의 공간 소설가 박상은 《이원식 씨의 타격 폼》에서 이렇게 말한다. “야구란 허공의 접전...
  • 자치기
    자치기라는 명칭은 '자'와 '치기'의 합성어로 자로 치는 놀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여기서 자는 측량도구의 자가 아니라 나무막대기를 가지고 놀되 그 거리...붙여진 이름이다. 땅바닥에 금을 긋거나 홈을 파서 집을 정하고, 편을 갈라 한편은 집에서 어미자(긴 막대기)로 새끼자(짧은 막대기)를 쳐서 날려 보내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고래실봉답윷놀이
    개설 고래실과 봉답으로 편을 갈라 놀면서 풍년을 점치는 놀이이다. 고래실은 기름진 논이고 봉답은 척박한 논으로, 봉답 쪽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하고...올라가는 오래된 놀이로, 오락에서 벗어나 내기를 하기도 하며 윷점을 치기도 한다. 계원리에서는 이러한 의례적 윷놀이가 언제부터 성행했는지 알 수 없지만...
    시대 :
    현대
    성격 :
    성인남녀놀이, 윷놀이
    유형 :
    놀이
    놀이시기 :
    정초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당산제 당산굿, 堂山祭
    샘굿·조왕굿·마당굿 등 집안 구석구석을 돌면서 굿을 치는데, 이를 매구치기 또는 마당밟기·지신밟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당산굿은 당산제를 전후하여 2, 3일...당일이나 그 이튿날 밤에는 마을사람들이 동서 또는 남녀로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여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이기는 쪽이 풍년이 드는데, 특히...
    성격 :
    마을제사
    유형 :
    의식행사
    장소 :
    호남·영남 지역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함안화천농악 咸安化川農樂
    치기에 앞서 서낭당에 아뢰며, 정초의 지신밟기를 비롯하여 단오, 백중, 9월 그믐의 성황제, 시월 초하루의 대제(大祭) 및 섣달 보름의 농악놀이가 모두 서낭나무를 중심으로 행하여짐으로써 화천농악은 풍농과 태평을 기원하는 제의농악과 두레노동농악에서 발전되어 왔음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속성이...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의미 변화 Semantic change, 意味変化
    어리다: 어리석다, 둔하다 → 나이가 적다 장가가다: 장인 집에 살러 들어가는 것 → 여자를 배우자로 맞아 사는 것 의미가 넓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갈라치기: 바둑에서 상대방의 세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모양의 한가운데에 두는 것 → 피지배자들을 분열시키거나 서로 적대하게 만드는 것 (분할통치 참고) 대포: 무기...
    도서 위키백과
  • 내로남불 Naeronambul, 我羅他不
    문재인 정권을 아우르는 말로 '내로남불' (Naeronambul)을 사용하며 원문 그대로 소개하였다. 문화일보의 논설위원 황성규는 내로남불을 ' 나와 남으로 갈라치기 해 놓고 시비를 가르는 위선적인 정치인과 그 주변 세력들'로 인해 만들어진 단어라며, '조어법상 태어나지 않았어야 할 말, 시쳇말로 귀태어(鬼胎語)'라고...
    도서 위키백과
  • 뛰어들기
    뛰어들기는 상대의 세력권에 단독으로 침입하는 수단이다. 갈라치기를 할 여유가 없을 경우, 상대 세력을 집으로 굳혀줄 수 없을 경우에 '수를 내기 위해' 한번의 착수로 결행한다. 바둑용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