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일기 신라의 정치와 사회
    왕실 및 관청, 귀족들이 필요로 하는 물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해내는 관영수공업 부문이 특히 발달했다. 수공업의 발달은 상업의 발달을 촉진시켜 695년(효소왕 4)에는 수도에 종전의 동시 외에 서시(西市)와 남시(南市)가 설치되기도 했다. 또한 귀족사회가 번영함에 따라 대외무역도 활발해졌다. 신라와 당 사이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삼국시대의 수학
    차례의 일식을 기록했다. 또한 〈니혼쇼키 日本書紀〉에 의하면 553년 일본의 요청으로 역법을 담당하는 천문학자를 일본에 파견했다. 그후 백제는 701년(효소왕 17), 718년(성덕왕 17) 2차례에 걸친 율령의 반포로 중국식 율령제도를 수용했지만, 산학제도(算學制度)는 중국의 것과 약간 달랐다. 즉 당나라 명산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삼국시대
  • 의박사 醫博士
    내용 의약을 가르치던 전문직이다. 신라는 692년(효소왕 1)에 의학(醫學)을 처음으로 설치하고, 여기에 박사 2인을 두어 학생들에게 『본초경(本草經)』·『갑을경(甲乙經)』·『소문경(素問經)』·『침경(針經)』·『맥경(脈經)』 등의 의학서를 가르쳤다. 그리고 717년(성덕왕 16) 2월에는 의박사와 산박사(算博士) 각...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692년(효소왕 1)
    분야 :
    과학/의약학
  •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寶林寺 四天王像 腹藏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소의경전(所依經典) 가운데 하나로, 예로부터 불교전문강원 사교과 과정의 필수과목으로 학습되고 있는 책이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판본은 693년(효소왕 2) 북인도의 승려 불타다라(佛陀多羅)의 한역본이나, 이것의 산스크리트어 원본이 없어 중국에서 만든 위경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이 경은 1권 12장으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경주 동궁과 월지 慶州 東宮과 月池
    679년에 궁궐을 매우 화려하게 고쳤다고 하였고, 804년(애장왕 5), 847년(문성왕 9), 867년(경문왕 7)에는 임해전을 중수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697년(효소왕 6) 9월과 769년(혜공왕 5) 3월, 860년(헌안왕 4) 9월, 881년(헌강왕 7) 3월에는 군신들이 연회를 가졌다고 하였으며, 931년에는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 태조...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선석사(경북)
    가장 커다란 사찰이다. 경북 지역의 다른 사찰들과 마찬가지로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버려 창건 연대, 창건 인물 등은 정확히 알 길이 없으나, 단지 692년(효소왕 1) 의상대사가 신광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며, 창건 당시는 지금보다 서쪽이었고 고려 말 나옹 스님이 지금의 자리로 옮기려 터를...
    위치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16-33 (월항면)
  • 남시전 南市典
    내용 동시전·서시전과 함께 서울인 경주 안의 시장을 감독하는 기능을 맡았다. 695년(효소왕 4)에 설치되었다. 소속관원으로는 감(監) 2인, 대사(大舍, 일명 主事) 2인, 서생(書生) 2인, 사(史) 4인을 두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695년(효소왕 4)
    분야 :
    역사/고대사
  • 남시전 南市典
    동시전·서시전과 함께 시장을 감독하는 일을 맡았다. 695년(효소왕 4) 동시·서시가 세워지면서 서시전과 함께 설치되었는데, 관원은 감 2명, 대사 2명, 서생 2명, 사 4명이 있었다.→ 동시전, 서시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소금강산 청송사 小金剛山 靑松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다. 신라 효소왕 때 처묵(處默)이 창건했고, 1896년 대웅전(大雄殿)을 중건하였으며, 1917년 춘담(春潭)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산령각(山靈閣), 요사채가 있다. 대웅전 안에는 고려시대의 철불인 아미타여래좌상이...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가귀 可歸
    개설 효소왕 때 승려인 승전(勝詮)의 제자이다. 생애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으나, 『삼국유사』에 “가귀는 자못 총명하여 도리를 알았으며 승전의 법등을 이어받아 심원장을 지었다(新羅沙門可歸 頗聰明識道理 有傳燈之續 乃撰心源章).”고 하였다. 활동사항 저서로는 『화엄경의강(華嚴經義綱)』·『심원장(心源章...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대표작 :
    화엄경의강, 심원장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술랑 述郎
    내용 이른바 사선(四仙)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효소왕 때에 남랑(南郎)·영랑(永郎)·안상(安詳)과 함께 지금의 강원도 통천군 총석정에서 노닐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리고 『해동금석원』에 의하면 강원도 고성군 삼일포에는 ‘술랑도남석행(述郎徒南石行)’이라는 석각(石刻)이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화랑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국선 화랑국선, 國仙
    국선을 살펴보면, 초대 국선은 진흥왕 때의 설원랑(薛原郎)이었다. 제26대 진평왕 때의 국선으로는 구참공(瞿旵公)과 김유신(金庾信)이 있었으며, 제32대 효소왕 때에는 부례랑(夫禮郞)이 있었으며, 제48대 경문왕 때에 요원랑(邀元郞)이라는 국선이 있었다. 경문왕의 경우, 왕이 되기 전인 18세에 국선이 되었다. 고려...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제도
    분야 :
    종교·철학/도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신라 효소왕릉 정면
경주 효소왕릉
효소왕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