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데이터 분석 처리 시각화, 집단 분류 集團分類, grouping
    집단 분류는 데이터 내의 각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며 집단의 데이터 수, 총합, 평균값, 중앙값, 표준 편차 등의 집계 명령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집단 분류는 여러 특성 요소를 갖는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공통 특성 요소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 68-95-99.7 규칙 68–95–99.7 rule, 68–95–99.7則
    분포를 나타내는 규칙으로, 경험적인 규칙(empirical rule)이라고도 한다. 3시그마 규칙(three-sigma rule)이라고도 하는데 이 때는 평균에서 양쪽으로 3표준편차의 범위에 거의 모든 값들(99.7%)이 들어간다는 것을 나타낸다. 약 68%의 값들이 평균에서 양쪽으로 1 표준편차 범위(μ±σ)에 존재한다. 약 95%의 값들이...
    도서 위키백과
  • 비대칭도 Skewness, 歪度
    왜도를 Skew[X]로 표현하기도 한다. 로널드 피셔는 \sqrt{\beta_1}로 표현했지만 왜도는 음수가 될 수 있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확률변수 X의 평균 μ, 표준편차 σ에 대해, 왜도를 나타내는 식을 풀어 쓰면 \gamma_1 = \operatorname{E}\bigg[\Big(\frac{X-\mu}{\sigma}\Big)^{\!3} \,\bigg] = \frac{\operatorname{E...
    도서 위키백과
  • 신틸레이션 카운터 에너지분해능 scintillation counter energy res..
    신틸레이션 카운터에 의해 식별가능한 두개의 전이 방사선의 광자 또는 입자간의 최소 에너지차. 정량적으로는 에너지 분포곡선의 분별표준편차(σ /E1)이다. 주 : 에너지 분포곡선이 최대값의 이등분점에서의 분별전폭(全幅)(FWHM/E1)은 종종 신틸레이션 카운터에너지 분해능의 척도로 사용된다. 여기서 E1은 분포곡선...
  • 산포 散布, dispersion
    산포는 측정치의 크기가 가지런하지 못한 것의 정도를 말한다. 산포의 크기를 나타내려면 예를 들어 표준편차를 사용한다. 개개의 오차 요인에서의 기여는 작지만, 요인의 수가 많고 그 집적이 되어서 불규칙하게 생기는 오차를 우연오차라고 하고, 산포는 우연오차에 의해서 생긴다. 주의깊게 이루어진 측정에 있어서는...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통계 , 기계
  • 알포센연질캡슐 400mg Alfocen Soft Cap. 400mg
    통계처리하였을 때,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 0.8에서 log 1.25 이내로서 생물학적으로 동등함을 입증하였다. (AUCt, Cmax, t1/2 ; 평균값±표준편차, Tmax ; 중앙값(범위), n=38) AUCt : 투약시간부터 최종혈중농도 정량시간 t까지의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 Cmax : 최고혈중농도 Tmax :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
    식약처 분류 :
    [01190]기타의 중추신경용약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약효 분류 :
    신경계 작용약 > 뇌기능 개선제 > 아세틸콜린 전달 촉진제 > Acethylcholine Precursor
    제조/수입사 :
    (주)넥스팜코리아
    급여정보 :
    급여
    성상 :
    무색투명의 액을 넣은 담황색의 타원형 연질캡슐
    제형 :
    연질캡슐제
    모양 :
    타원형
    색상 :
    갈색
    식별표기 :
    알포센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호손 효과 Hawthorne effect
    를 충분히 통제하지 않아, 결과가 잘못 해석되었다는 견해이다. 리처드 클라크(Richard Clark)는 새로운 경험에서 오는 효과를 통제하지 않는 경우, 표준편차가 평균 30% 상승하고, 8주쯤 지나면 미미한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여섯째, 요구 효과에 대한 문제이다. 근로자들이 실험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 때...
  • 정규화 크기의 정규화, normalization
    특징공간을 구성하는 데는, 각 특징축을 차원이 없는 양으로 변환하는 특징축의 정규화(normalization of feature axis)를 한다. 가장 간단한 정규화법은 각 축에 관한 평균값 주위의 분산값이 모든 축에 대해서 같아지게 하도록, 각 측정값을 표준편차로 나눈 값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참조어〉 위치의 정규화
    분야 :
    패턴 정보처리
  • 위대한 수학자들
    연도 : 1811~1832 국가 : 프랑스 업적 : 군론 조지 불 연도 : 1815~1864 국가 : 영국 업적 : 논리 프랑수아 갈톤 연도 : 1822~1911 국가 : 영국 업적 : 표준편차, 회귀 베른하르트 리만 연도 : 1826~1866 국가 : 독일 업적 : N차원 기하, 해석학 소냐 코발레프스카야 연도 : 1850~1891 국가 : 러시아 업적 : 해석학...
    도서 손안의 수학 | 태그 수학
  • 재현성 reproducibility
    정도 주 : ⓐ 값은 정해진 일정 시간 내에서 측정치의 차이의 최대치인 스팬(스케일의 눈금의 정부를 갖는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에 드리프트 및 불감응폭을 합한 것이다. 〈참조어〉 측정계 ③ 정밀, 방사선 방호 용어. 연속적인 계측결과에서 계산된 표준편차와 같이 정량적으로 표시된 특성의 반복계측의 일치의 정도
  • 전자펄스파고 분해능 pulse-height resolution, electron
    변동을 통하여 식별되는 것이다. 정량적으로 광전음극에서 펄스 당 특정수의 전자가 나왔다고 할 경우의 출력파고 분포곡선에서 얻을 수 있다. 파고치의 표준편차를 파고치로 나눈 것(FWHM/A1)으로서 주어진다. 주의 : 파고 분포곡선의 반값폭을 파고치로 나눈 값(FWHM/A1)은 종종 분해능을 표시하는 척도로서 사용되고...
  • 가우스 잡음 Gaussian random noise
    잡음원을 시간의 파라미터에 대해 이산적인 하나의 확률 과정으로 간주하고 이 확률 과정이 정상이고 에르고드적이며 임의의 시점에서의 확률 변수의 분포가 모두 가우스 분포일 때, 즉 (m : 평균값, σ : 표준 편차) 으로 표시될 때 이 잡음원을 가우스 잡음이라고 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편차, 분산, 표준편차의 예
표준편차에 따른 평균 그래프
여러가지 평균과 표준편차의 정규분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