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통성정 心統性情
    정의 모습을, 하도에는 기질이 섞였을 때의 성과 그 성의 발현인 정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이는 주희의 이기이원론적 견해를 더 철저히 파고든 것이다. 여기에 나타난 사단칠정과 이기의 관계에 대한 견해를 두고 이이(李珥) 학파와 계속 논쟁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조선 성리학의 대표적인 논쟁인 사단칠정논쟁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유교
  • 소무헌집 素無軒集
    주염계(周濂溪)의 태극도(太極圖)에 대한 저자의 학문적 견해가 잘 드러난다. 잡저는 저자의 학문과 사상을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사단칠정횡관과요의의(四端七情橫貫過了疑義)」는 사단칠정의 이기분배(理氣分配)에 대해 이황의 설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사단은 이발(理發)이고 칠정은 기발(氣發...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대통추보관 추보관(推步官), 大統推步官
    설치 목적 조선에서는 세종시대에 명나라에서 반포한 대통력(大統曆)의 방법을 토대로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과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을 편찬하여 이를 토대로 매년 역서(曆書)를 편찬하였다. 그러다가 1654년(효종 5) 이후 시헌력(時憲曆)의 계산법을 도입하고 그 계산법을 토대로 상용력인 『일과력(日課曆...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제도/관직
    분야 :
    과학/과학기술
  • 방언 하려선생방언(下廬先生放言), 放言
    등의 시에 화운(和韻)하였다. 서(書)에는 안정복 · 조민중(趙敏中) · 한치후(韓穉厚) · 최인지(崔麟之) · 이선시(李善始) 등 당대의 학자들과 태극(太極) · 사단칠정(四端七情) 등 성리학의 주요 논쟁점과 상례(喪禮) · 제례(祭禮) 등에 대해 토론한 장편의 글이 많다. 서(序)는 자신의 저서인 『일용집요(日用...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원나라 시대 무슬림이 남긴 문화유산
    이슬람 문화가 한반도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헤지라력으로 알려진 순태음력인 이슬람 역법(회회역법)의 도입이다. 《칠정산외편》은 세종의 명령에 따라 이슬람의 역법을 연구하여 해설한 책이다. 세종이 농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역법을 정비하려고 할 때, 기존의 중국...
  • 만세력 천세력(千歲歷), 萬歲曆
    목판본. 1777년부터 100년간의 역을 계산하여 편찬하였다. 이 역은 10년마다 다시 10년씩의 역을 추가 보충하도록 한 것으로, 1772년(영조 48)에 간행한 『칠정백중력(七政百中曆)』을 인계, 확충하였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은 매년의 태세(太歲), 매월의 월건(月建)과 대소(大小), 매일의 일진(日辰), 달의 삭(朔...
    시대 :
    조선 후기
    저작자 :
    관상감
    창작/발표시기 :
    1782년
    성격 :
    역법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간행/발행 :
    관상감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인심도심설 人心道心說
    도심의 문제를 전개한다. 그에게 있어서 인심도심설의 문제는 단순히 윤리 혹은 심리 현상뿐만 아니라, 그의 철학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황은 “인심은 칠정(七情)이 되고, 도심은 사단(四端)이 된다.”고 말함으로써, 인심도심설의 문제를 이른바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의 문제와 관련시키고 있다. 그리고 인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사칠변증 四七辨證
    심성정도(心性情圖)」를 소개하면서 이를 분석, 비판하고 있다. 저자는 주리적 입장(主理的立場)에서 주로 이이의 인심(人心)·도심(道心)에 관한 설명과 사단칠정(四端七情)에 관한 논변에 대하여 선현들의 말과 상충되는 점을 지적하였다. 주돈이(周敦頤)·정이(程頤)·주희(朱熹)·육구연(陸九淵) 등 송대학자들의 설...
    시대 :
    조선
    저작자 :
    홍중인
    성격 :
    유학서, 변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홍첨한(편집)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백중력 百中曆
    大統曆日通軌)』·『사여전도통궤(四餘纏度通軌)』·『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七政算內篇丁卯年交食假令)』·『칠정산외편』·『칠정산외편정묘년교식가령』·『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 등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강보(姜保)에게는 『수시력첩법입성(授時曆捷法立成)』, 이순지에게는...
    시대 :
    조선 후기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780년
    성격 :
    역법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난곡집 蘭谷集
    방법을 알게 된다는 것과, 도(道)의 유행은 어느 곳에나 있고 어느 때나 있어서 일용행사에 충만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성리학에 관한 내용으로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논변과 천명지설(天命之說)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정(李象靖)과의 서신(書信)·혹인문답(或人問答)·가아문답(家兒問答) 등에서는 예(禮)에...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강한
    성격 :
    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구암유고 久菴遺稿
    기자유제설 箕子遺制說〉·〈기전도 箕田圖〉는 평양성 밖의 기자유전을 보고 은나라 때의 전제로 추정·설명한 것으로 뒤에 실학자들의 토지개혁사상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사단칠정설 四端七情說〉·〈사단칠정도〉는 그의 의리학설을 밝힌 것으로 이와 기의 일원론을 주장하고 있다.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김장생 희원, 金長生
    관계에서 율곡의 이통기국설(理通氣局設)과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을 이해했다. 또한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견지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인심도심(人心道心)을 일원적으로 해석하여, 사단과 칠정이 이정(二情)이 아니며 인심과 도심이 이심(二心)이 아니라고 보았다. 따라서 심(心...
    출생 :
    1548(명종 3), 서울
    사망 :
    1631(인조 9)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5건

칠정백중력
칠정보법
칠정세초
칠정백중력
칠정백중력
칠정백중력
칠정백중력
칠정제장
칠정세초
칠정보법
칠정보법
칠정세초
칠정산외편
칠정산외편
칠정산외편
칠정산외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