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혼 호원(浩原), 成渾것이 없겠다고 생각하여 이이에게 질문한 데서 시작되었다. 1573년 2월에 공조좌랑에, 7월에 장원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그 해 12월에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되었다. 과거 출신이 아닌 사람으로서 헌관(憲官)에 임명되기는 기묘사화 이후 처음 있는 일로서, 이는 이이의 주장으로 이루어진 것...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숙종과 장희빈의 수표교 만남있어 다시 돌로 만들어 세웠다. 이후 영조 때 대대적인 청계천 준설 공사를 하면서 수표석도 새로 만들어 세웠다. 영조는 준천 이후 수표교 교각에 경진지평(庚辰地平)이란 글자를 새겨서 이후 개천 준설의 표준을 삼도록 하였다. 수표교 남쪽, 지금의 서울 중부경찰서 자리에는 역대 어진(御眞: 왕의 초상화)을 모신...
- 관련 장소 :
- 청계천
-
남언경 시보(時甫), 南彦經조선시대 최초의 양명학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학행으로 천거되어 헌릉참봉이 되고, 1566년(명종 21) 조식(曺植) · 이항(李恒) 등과 함께 발탁되어 지평현감(砥平縣監)이 되었다. 1573년(선조 6) 양주목사가 되고, 이듬해 지평(持平)에 임명되었으나 어머니의 병간호를 위해 그대로 머물 것을 요청하여 허락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양평군 楊平郡개명되어 기천군(沂川郡: 지금의 여주시)의 영현이 되기도 하였다. 889년(진성여왕 3)에는 궁예가 이 지방을 공략하여 그들의 활동무대로 삼기도 하였다. 지평군은 고구려시대에는 지현현(砥峴縣)으로 불리다가 삼국통일 후 경덕왕 때 지평현(砥平縣)으로 개칭되어 삭주(朔州: 지금의 춘천)의 영현이 되기도 하였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이적보 혜숙(惠叔), 李迪輔및 활동사항 1756년(영조 32)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에 임명되었다. 1758년에 주서·전적, 병조정랑, 정언·지평을 거쳐 1759년 다시 지평에 임명되었다. 1760년 지평으로서 상소하여 왕세자의 권면을 진달하고 산림의 유일(遺逸: 학식과 덕망이 높아 과거를 거치지 않고 높은 관직에 오를 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3년(경종 3)
- 사망 :
- 1785년(정조 9)
- 경력 :
- 주서, 정언, 지평, 이조좌랑, 집의, 흥양현감, 사복시정, 낭천현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이인영 李麟榮택하자 따라가지 않고 개화파 정부의 해산권유에 응하여 귀가했다. 이후 정미의병이 거의하기 전까지 부모를 모시고 문경에 은거했다. 1907년 8월말 여주 ・ 지평 ・ 원주 일대에서 활약하던 이구채(李球采)와 이은찬(李殷瓚)이 5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찾아왔다. 이들은 4일간이나 시사를 논하며 의병장에 오를 것...
- 출생 :
- 1868년 9월 23일, 경기 여주(驪州)
- 사망 :
- 1909년 9월 20일
- 관련 사건 :
- 정미의병
- 본관 :
- 경주(慶州)
- 주요활동 :
- 1896년 원주 ・ 제천 의병활동, 1907년 관동창의장 활동, 1907~1908년 13도 창의대장 활동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관동창의대진소, 13도창의대진소
-
명주 농사짓기 소리 김매기소리있고 '라'로 끝난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오독떼기 잡가 사리랑 들어를 간다/들어를 간다 삼밭으로 들어를 간다//에루 사리랑 제 일정 노, 노든 사리랑/양근 지평(5)/ 썩 나서니 경개 바람 완연도 하구나/에루 사리랑 제 일정 노, 노든 사리랑 싸대 (1) 줄뽕 : 줄지어 선 뽕나무. (2) 남대천 : 강원도 명주군 왕산면의...
-
양평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전통 교육기관으로 양근향교·지평향교·운계서원·수곡서원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11년에 양평읍 양근리에 양평초등학교가, 1916년에 용문면 광탄리에 광탄보통학교(지금의 용문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2018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25개소, 초등학교 22개소, 중학교 12개소, 고등학교 8개교, 대학 1...
-
오희상 사경(士敬), 吳熙常정조 24) 천거로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가 되고, 장릉참봉(長陵參奉)·돈녕부참봉·한성부주부·황해도도사·사어(司禦) 등을 지낸 뒤, 1818년 경연관·지평 등에 임명되었으나 광주(廣州)의 징악산(徵嶽山)에 은거하였다. 이 동안 지평(持平)·장령(掌令)·집의(執義)·승지 및 이조·형조·공조의 참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63년(영조 39)
- 사망 :
- 1833년(순조 33)
- 경력 :
-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 장릉참봉(長陵參奉), 사어(司禦)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독서수기(讀書隨記), 노주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해주(海州)
-
강석구 姜碩耉이고, 아버지는 강급(姜급)이며, 어머니는 정회원(鄭恢遠)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3년(현종 4) 통덕랑의 신분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3년 지평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않았으며, 다음해 정언을 거쳐 지평에 승진한 뒤, 직강의 관직에 있으면서 진위사(陳慰使) 서장관으로 중국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32년(인조 10)
- 사망 :
- 미상
- 경력 :
- 헌납, 사간, 집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晉州)
-
198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기형도 그토록 불길했던 삶친숙한 것이며, 흔히 일상과 관습이라는 외관을 하고 나타나며, 도덕 · 상식 · 전통 · 풍속 같은 삶의 규범과 체계의 토대가 되기도 한다. 그 예측 가능한 지평 위에서 우리의 욕망은 발화하고, 성취되며, 때로는 좌절을 겪는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끝내 읽히지 않는 의미, 그래서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세계다...
- 출생 :
- 1960년
- 사망 :
- 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