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럴 해저드 Oral Hazard
    있는 능력이 못 되는데도 잘 아는 것처럼 발언해 경제 정책의 일관성을 해치고 금융 시장에 큰 혼란과 불안을 가져오는 현상을 설명할 때 쓰인다. 사회정치적 차원에서는 사회지도층 인사나 고위 공직자, 정치인의 ‘막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용된다. 오럴 해저드는 개인의 품성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지만 깊이...
  • 가족 살해
    김상원은 “(가족 살해는)가족에 대한 모든 책임을 가장인 아버지가 결정하는 가부장적 문화의 잘못된 유산”이라며 “가족 구성원 개체를 존중하는 서구 사회에서는 아무리 상황이 어려워도 동반자살이나 가족 살해는 생각조차 하기 어렵다”고 했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무한책임주의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
  • HIV 낙인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면역결핍증)를 유발하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감염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받는 등 사회에서 배제되는 현상을 말한다. HIV 감염자는 관리만 잘 받으면 전염 위험이 거의 없지만, 이들은 직장과 학교는 물론 치료를 해야 할 의료...
  • 노 키즈 존 no kids zone
    적지 않다. 어린이를 둔 부모들은 그럼 자신들은 어디로 가야 하느냐고 고충을 토로한다. 노 키즈 존의 등장을 저출산 시대의 산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한국 사회가 저출산 시대에 돌입하면서 아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해져 어린이를 ‘남에게 피해를 주는 존재’로 바라보는 기류가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이런 구조적...
  • 개시개비 皆是皆非
    때문에 ‘모두 틀렸다’고 했다. 개시개비는 원효가 주장한 화쟁론(和諍論)의 핵심으로 평가받는다. 2014년 6월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조성택은 한국 사회에는 개시개비 정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중요한 사회적 현안이 등장할 때마다 한국 사회는 극심한 정치적 갈등과 진영 논리에 의해 분열의 몸살을 앓고 있는...
  • 세대 간 도둑질
    하는데, 후손들에게 부담을 떠넘긴다고 해서 ‘금전적 후손(後孫) 학대’라고 표현하는 언론도 있다. LG경제연구원은 2012년 7월 발표한 보고서 「조세 · 사회보장 부담과 혜택, 세대 간 격차 크다」에서 2011년 현재 60대 이상은 세금과 건강보험 · 연금 같은 사회 부담금으로 평생 9억 3,000만 원을 부담하고, 복지...
  • V로거 Vlogger
    방송이 인기를 얻으면서 몇 가지 우려되는 점도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경우 콘텐츠 이용자들이 점점 외면하고 있는데도 그동안 사회적인 이슈를 제기하거나 토론을 진행하고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등 공공성의 문맥을 갖춰온 게 사실이다. 이에 비해 MCN을 통해 유통되는 영상 콘텐츠들은...
  • 탈공업화사회 脫工業化社會, postindustrial society
    비롯한 여러 선진국은 자연의 변형이나 이의 가공을 통한 물질적인 부의 취득을 사회적 재생산의 중심으로 하던 공업사회에서 정보와 지식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사회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이런 사회에서는 정보와 지식의 획득·분배가 사회의 성격과 구조를 규정하는 1차적인 요소가 된다. 20세기 이후 컴퓨터의 발전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사회
  • 기부 마케팅
    기부 마케팅은 이른바 '착한 소비'를 하는 소비자들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업이 이윤 추구뿐만 아니라 일정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형성되면서 기업의 사회 공헌을 중요시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2014년 12월 대한상공회의소가 실시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
  • 무역이득공유제
    에 부합한다면서 이렇게 말한다. "국가 정책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국민이 있는데도 그 책임 소재가 있는 정부와 이익을 취한 쪽에서 외면하는 사회는 정의로운 민주 사회가 아니다. 상생과 통합을 위한 무역이득공유제 도입은 경제 민주화의 길이기도 하며, 사회정의와 국가 통치 철학에 해당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 문과 · 이과 통합교육
    사라졌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고등학교는 고교 2학년 때부터 문과와 이과로 반을 나눠 가르치고 있다. 대학들이 입시에서 인문 · 사회계 학과는 사회탐구 과목을, 자연계열은 과학탐구 과목의 수능 점수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과 · 이과 구분이 반쪽짜리 인재만 생산한다는 비판이 있다. 예컨대 이덕환은...
  • 탈산업 사회
    자본과 노동이 부가가치를 창출했던 기존의 산업 사회에서 정보와 지식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 사회로의 이동을 뜻한다. 정보 사회에서는 정보와 지식의 획득·분배가 사회의 성격과 구조를 규정하는 1차적인 요소가 된다. 20세기 이후 선진국 수준에 이른 국가는 예외 없이 국가의 주요 사업으로 초고속 정보 통신 도로...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인문학적 소양뿐 아니라 사회 과학적 통찰과 자연 과학적 지식까지 두루 활용하며 기존 비평의 경계를 넓혀놓은 김인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