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계사 영산회상도 파계사석가모니불회도, 杷溪寺 靈山會上圖않은 관계로 이 불화는 그 자료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뛰어난 작품이다. 내용 석가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외 4구의 보살과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십대제자(十大弟子), 4구의 타방불(他方佛), 2구의 신장(神將) 등의 청중이 에워싼 군도(群圖) 형식이다. 주형 광배(舟形光背)를 지니고 낮은 사각...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 北長寺 靈山會 掛佛幀▽에 그렸다. “靈山掛佛一會(영산괘불일회)” 라는 명칭이 쓰여진 이 괘불탱은 정면 석가불 입상을 중심으로 팔대보살(八大菩薩), 십대제자(十大弟子),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4구의 금강(金剛)이 둘러싼 군도(群圖)식 배치 구도이다. 화면에 석가불을 크게 묘사하고 그 좌우 여백에 청중(聽衆)을 일렬로 조그맣게 묘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삼척 영은사 괘불 영은사영산회상도, 三陟 靈隱寺 掛佛降魔觸地印 :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의 석가불좌상이 중심이다. 그리고 8대보살 · 10대제자 ·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 · 사천왕 · 팔부신중 · 천중(天衆) 등 많은 권속이 둘러 선 군도(群圖) 형식이다. 높은 사각 연화대좌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키 모양의 광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남양주 봉선사 괘불 봉선사비로자나삼신불화, 南楊州 奉先寺 掛佛이 괘불탱을 중심으로 18-19세기 서울, 경기지역에 성행한다. 상단에는 비로자나삼신불입상을, 하단에는 조그맣게 묘사된 6대보살 ·10대제자 · 범천과 제석천 · 주악(奏樂) 천인상 등이 나타난 삼신불괘불탱이다. 가슴 앞에서 오른손이 왼손을 감싸 쥔 지권인(智拳印)의 손 모양을 한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측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무량사 극락전 후불탱 無量寺 極樂殿 後佛幀▽배치는 아미타삼존좌상을 중심으로 시립한 측면향의 6대 보살(문수보살, 보현보살, 미륵보살, 지장보살, 금강장보살, 제장애보살), 4대 제자,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신중, 타방불 등의 권속이 둘러서 있다. 여유 있는 공간에 건장한 아미타불과 늘씬한 보살상의 모습을 뛰어난 균형감각으로 처리했는데, 때문에 아미타...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진주 청곡사 목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晉州 靑谷寺 木造 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인왕 등의 권속들까지 봉안하여 군집을 이루는 명부전 지장시왕상 도상은 17세기 이후 크게 유행하는 전형적인 형식이다. 미적 감각과 조각수법이 탁월한 목조제석천 · 대범천의상은 1995년 보물로 별도 지정되었고, 인왕상도 사실성이 뛰어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가 지장시왕상과 일괄...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 七長寺 三佛會 掛佛幀▽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를 지니고 결가부좌한 석가불은 8대보살, 10대제자(十大弟子), 사리불(舍利弗),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신중(神衆), 신장(神將) 등으로 에워싸여 있다. 즉 군도식(群圖式) 배치 구도를 보인다. 내용 좁은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 어깨에 걸침)의 법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安心寺 靈山會 掛佛幀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를 지닌 석가불좌상을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 사천왕, 14명의 제자들, 용왕과 용녀, 팔부신중, 타방불(他方佛) 등이 에워싼 군도식(群圖式) 구도이다. 보개(寶蓋)를 갖춘 낮은 사각 연화대좌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의성 대곡사 지장보살도 義城 大谷寺 地藏菩薩圖구성 및 형식 1764년(영조 40)에 수화승 치삭(稚朔)을 비롯하여 총 14명의 화승이 조성한 지장시왕도로서 지장보살삼존을 중심으로 시왕, 6대보살, 범천, 제석천, 사천왕, 선악동자 등 권속을 좌우로 배치하였다. 내용 1764년(영조 40) 작. 세로 175㎝, 가로 194.5㎝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의 중앙에는 승형의 지장...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 聞慶 金龍寺 靈山會 掛佛圖지정되었다. 세로 947㎝, 가로 702㎝에 달하는 화면의 중앙에 큼직하게 그려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협시보살을 비롯한 8대보살, 10대제자, 화불, 범천, 제석천, 용왕, 용녀, 사천왕, 팔금강, 팔부중 등이 좌우 대칭으로 질서정연하게 표현한 석가모니괘불도이다. 내용 이 괘불도는 1703년에 수원(守源)을 비롯한 탄주...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서울 조계사 석가불도 서울 曺溪寺 釋迦佛圖결가부좌하였고 석가모니의 좌우에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 등 좌우 협시를 비롯하여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비롯한 10대 제자, 문수보살, 보현보살, 범천, 제석천 등이 본존을 둘러싸고 있다. 내용 키형의 광배를 배경으로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석가모니는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작게 표현되었으며, 나발의 머리...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