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명안 백우(百愚), 明眼
    화엄사(華嚴寺)·감로사(甘露寺)·연곡사(燕谷寺) 등지에 머물면서 수선(修禪)에 몰두하거나 설법하였다. 만년에는 오직 염불왕생문(念佛往生門)에 귀의하여 정토(淨土)에 태어나고자 하였다. 1709년 지리산의 칠불암(七佛庵)에 주석하면서 70여 명의 동지를 모아 서방도량(西方道場)을 결성하였고, 같은 해 겨울 회계의...
    시대 :
    조선
    출생 :
    1646년
    사망 :
    1710년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조선시대 고승, 휴정 현응, 休靜
    외우고 마음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이익이 없으니, 생각하고 또 생각하라. 부처님은 근기가 높은 사람을 위해서는 마음이 곧 부처요, 마음이 곧 정토이며, 자신의 청정한 성품이 아미타불이라 했으니, 이것은 이른바 서방정토가 멀지 않다는 뜻이다. 또 근기가 낮은 사람을 위해서는 10만 8천리나 된다고 했으니...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신란 親鸞, Shinran
    본명은 마쓰와카 마루. 시호는 겐신대사[見眞大師]. 스스로 깨달음을 얻을 능력을 타고난 사람들이 아닌 무지몽매한 중생을 구제하는 데 관심을 갖고 정토진종(淨土眞宗)을 창시했다(1224). 정토진종은 오늘날 일본에서 가장 큰 불교 종파이다. 그의 기념비적인 문집 〈교교신쇼 敎行信証〉(1224)는 행동과 깨달음 사이...
    출생 :
    1173, 일본 교토[京都] 근처
    사망 :
    1263. 1. 9, 교토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한국의 불교
    용화향도(龍華香徒)라 불렸는데 용화수는 미륵불이 출현할 때 그 밑에서 성불한다는 나무이름이다. 이는 말하자면 신라가 미륵불의 출현과 더불어 이루어질 정토와도 같다는 생각이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신라의 이러한 불교적 애국심의 배후에는 원광(圓光)·자장(慈藏)과 같은 뛰어난 승려들이 있었다. 원광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고려의 불교
    사회화되어 실생활의 일부로 편입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선·교의 대립과 지양 신라말에 선법(禪法)이 전래됨으로써 그 이전에 수용한 유식·화엄·정토 등 교학의 여러 방면과 더불어 상호 대립하거나 화해하는 양상으로 고려 불교는 전개된다. 이처럼 선·교의 대립과 지양이 고려 불교의 일대 특징이기 때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대승불교의 기원과 역사
    과거의 부처들은 모두 열반에 들어가 생사의 세계와는 아무런 관련을 갖지 않는 존재로 이해되는 반면에, 대승에서의 제불은 우주의 각방에서 보살과 함께 정토(淨土)를 이루며 거기서 활동하고 있는 존재로 간주된다. 대승불교의 사상가들은 이러한 불타관의 변화를 밑받침하기 위하여 부처의 3신설(三身說)을 전개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극락회상도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極樂會上圖
    열리는 이상세계·극락정토는 염불을 통해 자기만이 도달하는 피안의 낙원이 아니다. 그것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현실이다. 자신의 이익이 사회화된 곳에 정토의 세계가 열린다. 개인적인 해탈의 사회화가 바로 정토이다. 여기에 아미타불 본원력의 진정한 의미가 있다. 그런데 극락은 윤회를 넘어선 해탈의 경지이다...
  • 교학 敎學
    신도에 기초한 종파에 의거한 중국불교는 구사종학, 성실종학, 삼론종학, 열반종학, 지론종학, 섭론종학, 법상종학, 율종학, 밀종학, 천태종학, 화엄종학, 정토종학, 선종학 등 13종학을 전개하였다. 국가와 황제를 부정해 폐교 당한 민중불교인 삼계교는 13종에서 제외한다. 내용 1. 인도의 교학 1.1. 아함[니가야]교학...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미타경 阿彌陀經, Sukhavativyuho nama mahayanasutrm
    大經)이라 하고, 〈아미타경〉을 소경(小經)이라 하여 구별한다. 〈무량수경〉·〈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과 함께 정토사상의 소의경전으로서 이들을 합하여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이라 한다. 〈아미타경〉은 여러 차례에 걸쳐 한역되었는데, 그 가운데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본이 가장 널리 유포되었다.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미륵보살 자씨보살, 彌勒菩薩
    아래에서 널리 중생을 구제할 때에 그 세계에 태어나 설법에 참여함으로써 성불하고자 하는 하생신앙(下生信仰)이다. 상생신앙은 아미타불의 서방정토에 왕생하고자 하는 정토신앙이 흥성하면서 점차 쇠퇴했으나, 하생신앙은 역사를 통틀어 면면히 이어져왔는데, 특히 어지러운 시대에 성하게 일어났다. 그것은 고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염불 念佛
    부처를 관찰하는 관상이나 관불도 염불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대승불교는 찬불승이라는 입장에서 부처들의 덕을 칭송·공양하기를 강조했기 때문에 선정에 들어 염불하는 염불삼매를 널리 설했다. 특히 아미타불의 정토에 왕생하길 바라는 정토신앙이 성행하자 아미타불의 이름을 듣고 부르는 것이 염불로 간주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지장보살도 地藏菩薩圖
    미술관 소장된 〈아미타삼존도〉가 대표적인 예이다. 다섯째, 관음보살지장보살 병립도이다. 이와 같은 도상은 이미 둔황 석굴 등의 불화에서 보이는 것으로 정토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본 사이후쿠 사와 미나미호게 사에 있는 것은 고려시대인 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토사상을 더욱 심화시킨 듯...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국조정토록
정토의범
정토의범
정토의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