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천 직지사 괘불도 직지사 괘불(直指寺 掛佛), 金泉 直指寺 掛佛圖
    했다는 기록은 괘불을 직지사에 소장하는 『축원(祝願)』 현판에서 그 내용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현판 기록에 의하면 괘불의 중수 시에 대왕대비, 즉 정순왕후(貞純王后, 1745~1805)의 전교로 주상전하(순조, 1790~1834)와 왕비전하가 장수하고, 세자를 얻고자 하는 바람으로 괘불을 발원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동구릉 신들의 정원에서 왕도 사랑했네
    능을 조성했다 한들 그것이 무슨 소용일까. 왕릉의 자연주의 건원릉에서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조 씨의 휘릉을 지나서는 영조의 능인 원릉이다.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김 씨의 무덤이 쌍릉을 이룬다. 그의 치세를 말해주듯 화려하다. 하지만 태조의 건원릉과 동병상련한다. 그는 원비였던 정성왕후의 홍릉(서오릉)을...
    소재지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가는 법 :
    지하철 중앙선 구리역 3번 출구. 마을버스 2, 6번 환승. 동구릉 하차
    이용 시간 :
    오전 6시~오후 5시 30분 입장(3~10월)오전 6시 30분~오후 4시 30분 입장(11~2월)
  • 항라 항라(杭羅), 亢羅
    나타난 것은 1600년대부터이며, 1623년 4월 3일 『승정원일기』에서 ‘항라혜(亢羅鞋)’의 지급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1759년에 거행된 영조와 정순왕후의 가례를 기록한 『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에는 낙영(絡纓)에 항라가 사용되며, 『뎡미가례시일긔』를 비롯하여 각종 궁중 발기에는 단니의, 겹봉디...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숙모전
    숙모전은 계룡산 동학사 안에 있는 사당으로 비운의 왕인 조선 단종과 정순왕후의 위패가 모셔진 곳이다. 숙모전 앞에는 계유정난에 원통하게 죽은 황보인, 김종서, 정분 등의 세 재상과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의 종실, 단종의 복귀를 꾀하다 발각돼 참형당한 사육신, 생육신, 그 외 죽음을 당한 많은 원혼과 의인들의...
    위치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462
    문화재 지정 :
    [숙모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1984.05.17 지정)
  • 영빈정동 英嬪亭洞
    종로구 창신동에 있던 마을로서, 조정에서 단종비 정순왕후를 위해 영빈정을 지어준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조선 제6대 단종이 영월로 유배당한 뒤 그의 비 정순왕후 송씨가 동대문 밖에서 눈물로 이별하고 영월 쪽을 바라볼 수 있는 이곳에 작은 초가를 짓고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암자 동쪽에 솟아 있는 동망봉...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수정전 현판 壽靜殿 懸板
    효종 5)에 인조 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 1624~1688)를 위해 지은 것으로 본래는 전(殿)이 아닌 당(堂)이었다. 1794년(정조 18) 12월 18일에 영조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 1745~1805)의 51세와 정조의 생모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1735~1816)의 회갑을 기념하여 존호와 함께 책보(冊寶)∙책인(冊印)을 올리고, 혜경궁...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152cmcm, 세로: 59cmcm
    재질 :
    나무 / 잣나무
  • 영조 가상존호 옥책 英祖 加上尊號 玉冊
    것이다. 1776년 1월 7일 영조는 숙종, 인경왕후, 인현왕후, 인원왕후, 숙빈 최씨의 존호 추상이 정해진 후 자신의 존호를 허락하였으며, 아울러 정성왕후와 정순왕후에게도 존호를 올리도록 하였다. 이때 숙종(肅宗)의 존호는 ‘배천합도 계휴독경(配天合道 啓休篤慶)’이라 하고, 인경왕후의 존호는 ‘혜성(惠聖)’이라...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4.8cm, 길이: 211.9cm, 두께: 1.7cm, 폭: 17.2cm, 편폭(片幅): 3.2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원릉지 元陵誌
    유물설명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년)와 계비(繼妃) 정순왕후(貞純王后, 1745~1805년)의 능인 원릉(元陵)에 대한 능지로, 이왕직(李王職)에서 옮겨 적은 책이다. 권1에는 영조의 행록(行錄)과 행장을 담고 있으며, 권2에는 영조를 위해 지은 지문, 죽책문, 옥책문 등을 포함해 능침, 상설(象設), 비각(碑閣), 수라간...
    분류 :
    유물 > 전적
    크기 :
    세로: 26.9cm, 가로: 19.5cm
    재질 :
    종이에 먹
  • 현종 추상존호 옥책 顯宗 追上尊號 玉冊
    돈덕수성(昭休衍慶 敦德綏成)’이라는 존호(尊號)를 추상(追上)하면서 제작한 옥책이다. 이때 존호 추상의 배경은 영조가 79세를 맞이하여 즉위 49년, 정순왕후 책봉1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현종 외에도 그의 비 명성왕후, 영조와 그의 비 정성왕후, 정순왕후의 존호를 올렸다. 옥책문에서는 해처럼 밝은 임금의...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5.3cm, 길이: 221.5cm, 두께: 1.7cm, 폭: 18.0cm, 편폭(片幅): 3.4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현종비 명성왕후 추상존호 옥책 顯宗妃 明聖王后 追上尊號 玉冊
    1641~1684)에게 ‘희인(禧仁)’이라는 존호(尊號)를 추상(追上)하면서 제작한 옥책이다. 이때 존호 추상의 배경은 영조께서 79세를 맞이하여 즉위 49년, 정순왕후 책봉 1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명성왕후 외에도 현종, 영조와 그의 비 정성왕후, 정순왕후의 존호도 올렸다. 옥책문에서는 현종의 존호를 추가할 때...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5.4cm, 길이: 182.5cm, 두께: 1.7cm, 폭: 17.8cm, 편폭(片幅): 3.5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영조비 정성왕후 상휘호 옥책 英祖妃 貞聖王后 上徽號 玉冊
    정성왕후도 같이 부묘하면서 휘호를 추상한 것이다. 정조는 즉위하던 해인 1776년 3월 10일에 왕세자빈이었던 효의왕후를 왕비로 삼았다. 그리고 이날 정순왕후를 왕대비로, 생모인 혜빈(惠嬪)을 혜경궁(惠慶宮)으로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효의왕후의 책봉식이 거행된 것은 영조의 삼년상이 끝난 1778년 5월 6일이었다...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5.0cm, 길이: 141.8cm, 두께: 1.7cm, 폭: 17.2cm, 편폭(片幅): 3.4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숙종 추상존호 옥책 肅宗 追上尊號 玉冊
    啓休篤慶)’이라는 존호(尊號)를 올리면서 제작한 옥책이다. 1776년 정월 영조의 꿈에 선왕(先王)의 신명(神明)이 나타나 영조의 효성과 영조의 계비(繼妃) 정순왕후(貞純王后)의 어짊을 칭찬한 것을 계기로 신하들이 존호를 올릴 것을 아뢰자 왕이 이를 허락하였다. 영조는 자신에게 존호를 올리기 전에 숙종과 숙종의...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4.9cm, 길이: 211.8cm, 두께: 1.7cm, 폭: 17.1cm, 편폭(片幅): 3.3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58건

정순왕후
단종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
단종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 / 반차도
구리 동구릉 중 조선 영조와 정순왕후 원릉 능침 정면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반차도
가례도감의궤 중 친영거동반차도
가례도감의궤 중 친영거동반차도
가례도감의궤 중 친영거동반차도
가례도감의궤 중 친영거동반차도
가례도감의궤 중 친영거동반차도
가례도감의궤 중 표지
남양주 사릉
남양주 사릉
원릉
정순왕후 생가
정순왕후생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