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솔나방과 솔나방과 솔나방, Lasiocampidae띠고 있다. 이들은 6~7월에 나타나며 등불에 잘 모인다. 성충은 밤에 소나무 등의 잎에 알을 낳으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연내에 3~4령에 이르고 유충형태로 겨울을 지낸다. 이들은 다음해 봄에 급속히 자라 소나무와 곰솔, 잎갈나무, 잣나무의 잎을 갉아먹어 큰 피해를 준다. 때때로 엄청나게 큰 피해가 발생하기도...
- 분류 :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솔나방과
- 원산지 :
- 아시아 (일본,중국,대한민국)
- 서식지 :
- 숲, 나무
- 크기 :
- 약 4.5cm ~ 9cm
- 학명 :
- Dendrolimus spectabilis
- 식성 :
- 초식
-
상응봉 上鷹峯매가 두 어깨를 사리고 날려는 기상을 가졌다 하여 상매봉, 상응봉(上鷹峰) 또는 구름에 가려 있다 하여 운무산이라고 한다. 잎갈나무, 소나무, 참나무, 사시나무, 단풍나무, 자작나무가 많고 고산식물인 월귤과 백산차, 만병초, 들쭉나무 아종도 자란다. 숲에는 멧돼지, 노루, 오소리 등 산짐승도 많이 서식하고 있다...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1,308m
- 소재지 :
- 함경북도 명천군 상고면, 함경북도 명천군 아간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관모봉왕대황 冠帽峰王大黃을 중심으로 높은 산지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풀보다 크고 웅장한 것이 특징이다. 이 지역에서는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잎갈나무, 봇나무 등 높은산에서 자라는 나무들과 갖가지 떨기나무류 등의 여러 약초와 초본류가 분포되어 있다. 관모봉의 식물상에서 수직적 분포를 보면 1,800∼2,200m에서 산림대...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377호
- 서식지 :
- 함경북도 연사군 삼포리
- 성격 :
- 식물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키 2m 내외, 지름 5㎝ 정도
- 분야 :
- 과학/식물
- 개화기 :
- 7∼8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만탑산 萬塔山북두일면에서 남대천을 지나 북쪽으로 달리는 소로(小路)가 있어 이 길을 이용하여야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동사면의 신갈나무 숲이 해발 1,600m를 넘어서면 자작나무 숲으로 대치된다. 남서사면에는 잎갈나무 숲을 조성하고 있다. 그 밖에 사스래나무와 삼송류가 퍼져 있다. 돌배, 머루, 다래 등 산과와 황기, 당귀...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2,003m
- 소재지 :
-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 함경남도 단천군 남두일면, 함경남도 풍산군 천남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부전강 赴戰江고원상의 부전강과 그 지류인 달아리강·차일강·여운리강·능구강(릉구강)·대통기강 등은 모두 북류하여 압록강으로 흘러든다. 잎갈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피나무·자작나무·황철나무 등이 울창하고 산천어·정장어 등 찬물에 사는 물고기가 많다. 부전강 유역의 기반암은 편마암·결정편암·화강암이며 장기간...
- 성격 :
- 강
- 유형 :
- 지명
- 면적 :
- 길이 121㎞
- 소재지 :
- 함경남도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와사봉 사자봉, 臥獅峰6∼7℃, 새벽에는 3℃ 정도이고, 겨울에는 최저기온이 -40℃에 가깝다. 산의 능선에는 가솔송, 곱향나무, 담자리꽃나무와 같은 떨기나무가 자라고, 산기슭에는 잎갈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이 밀림으로 덮여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표범ㆍ산양ㆍ사행노루 등이 서식하며, 노루ㆍ사슴ㆍ곰ㆍ멧돼지 등이 많아 예...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2,149m
- 소재지 :
- 양강도 삼지연시 보천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