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양강도 김형권군·풍서군·갑산군·삼수군·혜산시를 흐르는 압록강의 주류.
길이는 하구까지 925.5km, 보혜천(普惠川) 합류지점까지 210.7km이며, 유역면적은 4,921.5㎢이다. 김형권군 평산리 명당봉(明堂峰:1,800m) 북동쪽에서 발원해 황수원강이라 불리며, 북동쪽으로 흘러 황수원호·내중저수지(內中貯水池)를 차례로 이루었다가 유로를 북쪽으로 바꾼다. 지경천(地境川)·웅이강(熊耳江:능귀강)·운총강(雲寵江) 등을 차례로 합치고 감입곡류해 혜산시 강구동에서 백두산에서 남류하는 보혜천을 합류한 뒤 압록강 주류가 되어 흐른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강에 서식하는 어류들이 헤이룽 강[黑龍江]의 어류들과 같다는 점에서 이 강이 헤이룽 강의 지류인 쑹화 강[松花江]과 연결되어 있다가 신생대 제4기에 백두산에서 화산폭발이 있을 때 현무암질 용암이 흐르다가 쑹화 강에서 분리되어 압록강에 연결되었다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가뭄이 들면 강바닥이 말라서 드러나므로 '비어 있는 강'이라는 뜻으로 허천강이라 했다. 대부분이 높고 험한 산지로 되어 있는 강유역의 기반암은 대부분 석회암·편암·편마암 등이며, 주요지하자원은 구리·납·아연·유화철 등이다. 강의 상류는 고원지대를 흐르므로 유속이 느리나 하류로 내려오면서 급경사 지역이 많아 유속이 매우 빨라진다.
특히 총설비용량 39만 4,000kVA인 허천강발전소가 건설되어 풍서호·사초평저수지의 물을 동해안의 남대천(단천남대천)으로 유로변경해 발전에 이용하고 있다. 유역일대는 갈색산림토양과 충적토로 되어 있어 산림이 울창하며, 소나무·참나무·잎갈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젓나무·피나무·사스래나무 등이 자라 삼림자원의 보고를 이룬다. 산에는 약초·산나물·산과일이 많으며, 범·곰·사슴·노루·멧돼지·수달 등 동물이 서식하고 있고, 강에는 산천어·열목이·쏘가리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