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혹등고래 humpback whale
    때로는 내해안 가까이 근접한다. 심지어는 항구로 오거나 강을 거슬러 오르기도 한다. 여름에는 극지방의 해양으로 가고, 겨울에는 번식지인 열대나 아열대의 바다로 이동한다. 고래 가운데 소리를 가장 잘 내는 고래로 소리들을 '노래'로 배열하는데, 노래가 5~35분간 계속되기도 한다. 형태 일반적인 긴수염고래류의...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고래목 > 수염고래과 > 혹등고래속
    원산지 :
    대서양, 태평양
    먹이 :
    크릴새우
    크기 :
    약 11m ~ 16m
    무게 :
    약 30000kg ~ 40000kg
    학명 :
    Megaptera novaeangliae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360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항상풍 恒常風, prevailing wind
    탁월풍이라고도 한다. 이런 바람은 지구의 회전, 공기의 상승과 하강 등 복합적인 영향으로부터 기인된다. 대표적인 항상풍으로 아열대 고기압대에서 적도 저기압대로 부는 무역풍, 아열대 고기압대로부터 고위도 저압대로 부는 편서풍, 그리고 고위도 지방의 극동풍 등이 있다. 항상풍은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북반구...
    도서 다음백과
  • 아르헨티나 자연환경
    아르헨티나는 북동부 평원, 팜파, 파타고니아, 안데스 산맥 등 최소한 4개의 큰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북동부의 아열대 평원지대는 파라나 강을 경계로 동부의 메소포타미아, 그란차코에 속하는 서부 및 북부 지역으로 나뉜다. 메소포타미아의 몇몇 우림지대를 포함한 삼림지대의 대부분은 북동부 평원에 분포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열대거세미나방 Fall Armyworm
    이다. 옥수수를 비롯한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끼치기 때문에 '잃어버린 열매'라는 뜻의 라틴어 'frugiperda'에서 학명이 유래했다.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이 원산으로, 기후에 따라 옮겨다니면서 인간의 식량이 되는 많은 작물에 피해를 입히는데, 1797년 미국 조지아 주에서 이 곤충에 의해 광범위한 피해...
    분류 :
    나비목>밤나방상과>밤나방과>거세미나방속
    크기 :
    날개편길이 32~40mm
    학명 :
    Spodoptera frugiperda
    분포지역 :
    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곤충
  • 리치 荔枝, litchi
    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하다.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고대부터 귀한 과일로 여겨져 왔다. 중국 남부, 타이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 아열대 지역에서 과실수로 재배한다. 얄매의 겉모양은 산딸기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껍질을 벗겨내면 과육은 새하얗고 가운데에는 진한 갈색의 큰 씨앗이 하나 있다...
    분류 :
    농산물 > 과일류 > 일반과일류
    용도 :
    생식용, 가공용
  • 계절풍지역
    대상성이 잘 나타나 있다. 그림에서 굵은 실선으로 연결된 부분이 동일한 계절풍대에 속하는 지역으로, 각 계절풍대는 적도로부터 북쪽으로 열대 계절풍대, 아열대 계절풍대, 중위도 계절풍대, 한대 계절풍대라 불려지고 있다. 이러한 계절풍의 대상성은 그림2의 계절풍 모형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림2에서 보듯, 대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갯메꽃 해안메꽃, sea bells
    개요 중부지방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 흔하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전 세계 온대 및 아열대지역에 폭넓게 분포한다.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땅 위를 기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길이 30-80cm다. 잎은 어긋나며, 신장형,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메꽃과 > 메꽃속
    서식지 :
    바닷가 사구
    학명 :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국내분포 :
    중부지방 이남
    해외분포 :
    전 세계 온대 및 아열대 지역
  • 쥐치류 filefish
    근연인 쥐치류는 때때로 쥐치복류와 함께 쥐치복과(Balistidae)에 포함되기도 한다. 주둥이가 작고 몸이 납작하며, 크기는 2cm에서 1m에 이른다. 온대와 아열대의 산호암초 지대에 서식한다. 한국에서는 쥐치와 말쥐치 등 일부 종을 생식하거나 어포로 만들어 먹는다. 형태 쥐치류는 환경에 잘 적응하며, 종에 따라 천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어류
  • 대기대순환 大氣大循環,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구(球)일 경우 지표 상에는 4개의 고기압대, 3개의 전선대, 그리고 6개의 탁월풍대가 나타나게 된다. 고위도에 나타나는 한대전선대는 극 고기압대와 아열대고기압대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전선대이며, 열대전선대는 남반구의 열대기단이 적도 부근에서 수렴하여 그곳에서 대기의 상승운동이 일어나는 무풍지대...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감귤박물관 柑橘博物館, citrus museum
    운영하다 2006년 제주도가 제주특별자치도로 통합되어 직제가 변경되면서 서귀포감귤박물관에서 감귤박물관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그리고 2008년 12월 아열대식물원을 신설하여 개관하였다. 현황 감귤박물관(건물면적 4,786㎡)은 감귤나무, 아열대식물, 감귤관련 및 제주민속 농기구를 소장하고 있다. 테마전시실에는...
    시대 :
    현대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효동 산 1번지
    설립 :
    2005년 2월 25일
    성격 :
    박물관, 공립박물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제주특별자치도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계절풍기후의 특징
    아시아, 서아프리카, 북오스트레일리아 등의 계절풍지역에서도 우계와 건계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중국 동부와 한국, 일본, 옌하이저우[沿海州] 등의 아열대 계절풍대와 중위도 계절풍대(둘을 합하여 온대계절풍대라고도 함)는 열대 계절풍대만큼 우계와 건계의 구분이 뚜렷하지는 않다. 여름 계절풍은 그 지역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용담목 龍膽目, Gentianales
    식물의 줄기에는 유관(乳官)이 있어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적인 유액이 나온다. 155속 1,000여 종의 대부분은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 자라는 관목이나 교목이다. 적어도 33속의 식물이 재배되고 있다. 이 과에는 협죽도·빈카·고무 등을 만드는 유액을 얻기 위하여 재배하는 푼투미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2건

아열대 고기압
아열대 습지
아열대 제트
아열대 생물상
아열대 고기압(subtropical high)
유메노시마아열대식물관의 카카오 열매(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의 파파야나무(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의 파파야 꽃(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의 커피나무(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에서 자라는 어린 파인애플(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의 구아바 어린 열매(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에서 자라고 있는 구아바나무(일본)
유메노시마아열대식물관에서 자라는 카카오의 꽃(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에서 자라는 사포딜라나무의 열매(일본)
미야자키아열대식물원에서 재배 중인 사포딜라 나무(일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