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운갑 鄭雲甲
    총무처 경제국장, 1954년 총무처장관, 1955년에는 내무부차관, 1955~57년 농림부장관 등을 역임했다. 1958년 충청북도 진천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제4대 민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67년 신민당 소속으로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9년에는 '신민당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당시 총재직무대행에 임명되었다.
    출생 :
    1913, 충북 진천
    사망 :
    1985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이기택 李基澤
    1937년 경상북도 영일에서 태어나 1961년 고려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하고, 민주청년회 경상남도위원장으로 활동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후보로 출마,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1971~80년 제8·9·10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동래구에서 출마하여 연속으로...
    출생 :
    1937. 7. 25, 경북 영일
    사망 :
    2016. 2. 20,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유진오 현민(玄民), 兪鎭午
    일제강점기에 보성전문학교 교수, 조선문인보국회 상무이사 등을 지냈으며, 해방 이후에는 헌법기초위원, 법제처장, 한일회담 수석대표, 고려대학교 총장, 신민당 총재 등으로 활동하였다. 1983년 12월부터 투병생활을 하다가 1987년 8월 30일 사망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와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유옥우 劉沃祐
    당선되어 자유당 의원으로 출발하였으나, 1958년 제4대 국회, 1960년 제5대 국회에서는 민주당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61년 이후 민중당 무안지구당 위원장·신민당 당기위원장·정책위원회 의장·중앙상임위원회 의장·전당대회 의장 등을 역임하다가 1971년 제8대 국회의원선거에 서울 동대문을구에서 신민당 소속으로...
    시대 :
    현대
    출생 :
    1914년
    사망 :
    1984년
    경력 :
    국회의원, 민한당 부총재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박기출 朴己出
    받고 6개월만에 보석으로 풀려났다. 제2공화국 때 입후보자난동사건에 연루되어 1년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5·16군사정변 뒤 민정당(民政黨)·국민당·신민당(新民黨)에 가담하였으며, 제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으로 처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1년 국민당의 대통령후보로 나섰으나, 4만 3753...
    시대 :
    현대
    출생 :
    1909년
    사망 :
    1977년
    경력 :
    진보당 부위원장, 제7대 국회의원, 국민당 대통령후보, 대한의학협회 회장
    유형 :
    인물
    직업 :
    의사,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밀양(密陽)
  • 백남운 白南雲
    재정학 교수로 미군정의 임명사령을 받았다. 그리고 다음해인 1946년 2월에는 김두봉(金枓奉) · 한빈(韓斌) 등이 북한에서 결성한 조선신민당의 경성특별위원회(후에 남조선신민당으로 발족)의 위원장을 맡는 한편, 좌익세력의 집결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 의장단의 의장 및 상임위원 · 경제대책위원 등으로 정치활동을...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사회노동당 社會勞動黨
    1946년 8월초 조선인민당의 제안으로 조선공산당·조선인민당·남조선신민당의 합당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조선공산당 내부에서는 박헌영 중심의 지도체제에 대해 반발하고 당 대회를 소집하여 합당 여부를 결정하자는 '반(反)간부파'(또는 대회파)가 출현하는 등, 각 정당은 합당의 방법과 속도를...
  • 정로 正路
    결정으로 11월 1일부터 발행되기 시작했고, 12월부터는 일간으로 바뀌었다. 정치사회화를 위한 대중매체수단으로 활용되다가 1946년 8월 30일 조선신민당과 북조선공산당이 합당한 북조선노동당 창립대회를 계기로 조선신민당의 기관지 〈전진 前進〉과 통합되어 1946년 9월 1일 〈노동신문〉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윤재근 尹在根
    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그 뒤 제헌국회동지회부의장을 지냈다. 이어 제2대 민의원(1950년 국민당), 제4대 민의원(1958년 무소속), 제5대 민의원(1960년 무소속)을 지냈다. 1960년에는 민정구락부에 가입하였고, 같은 해 국회운영위원장을 맡았다. 1969년 신민당강화지구위원장·신민당전당대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출생 :
    1909년
    사망 :
    1972년
    경력 :
    제헌국회의원, 제2, 4, 5대 민의원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조윤형 趙尹衡
    대학교 외교관학교를 수료했다. 1960년 5대 민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으며, 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중당, 1967~73년 7·8대에는 신민당 소속이었다. 1968년 삼성 사카린 밀수사건 당시 박정희 대통령을 공격해 옥고를 치렀고 1972년에는 유신반대로 투옥되었다. 이 후 13년간 정치규제에...
    출생 :
    1932. 11. 26, 충남 천원
    사망 :
    1996. 2. 2,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윤보선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尹潽善
    정치에 관여하는가'라고 항의하자 윤보선은 '국가적인 큰 잘못에 대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말했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결국 민주당 구파는 1960년 11월 신민당을 창당해 독자 노선을 걸었다. 5·16 군사정변과 대통령직 사임 신파와 구파의 분당 사태는 정변세력에게 빌미를 제공했다. 1961년 5월 16일 당시 육군...
    출생 :
    1897. 8. 26, 충남 아산
    사망 :
    1990. 7. 18, 서울
    국적 :
    한국
    직업 :
    정치인,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호 :
    해위(海葦)
  • 북조선노동당 북로당, 北朝鮮勞動黨
    공산당으로 발전하면서 무산계급의 정당을 자처하게 되었고, 1946년 1월에 성립된 연안계 공산주의자를 중심으로 한 일종의 쁘띠 부루조아 정당인 북조선신민당이 북조선공산당과 8월에 합당하여 북조선노동당이 탄생하였다. 이때부터 1949년 6월 북조선노동당(북로당)과 박헌영의 남조선노동당(남로당)이 합당하여 조선...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신민당
신민당 의원총회
신민당 창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