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골황목련나무·밤나무·아까시나무 등이 섞여 자라고 있다. 일본목련이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편마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며 토양수분과 거름기는 보통이다. 이 지대의 연평균 기온은 9.6℃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950㎜이다. 나무는 1922년경부터 자라왔다고 한다. 나무는 높이 9m, 뿌리목 둘레 2.2m, 가슴...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147호
- 서식지 :
- 황해남도 은률군 율리
- 성격 :
- 식물, 나무, 일본목련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9m, 뿌리목 둘레 2.2m, 가슴높이둘레 1.8m, 수관 지름 12m
- 분야 :
- 과학/식물
- 수명 :
- 90년
- 개화기 :
- 5월 중순∼6월 초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추식 구근, 오니소갈럼 Onithogalum spp.등 다양하다. 맑은 날에는 꽃이 피고 어두운 날이나 밤에는 꽃이 오므린다. 나. 종류 및 품종 오니소갈럼속에는 약 100종이 포함되어 있지만, 영리적으로 재배...가을 개화종이라는 것이다. 또한, 더비엄만이 황색의 화색을 띄는 것이 차이점이다. 더비엄은 황색과 오렌지색 꽃이 피는 품종, 주로 초장 20∼30cm정도...
-
다식 茶食봄철의 소나무에 피는 송화를 말려두었다가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만든 것이다. 밤다식은 삶은 밤을 속껍질까지 벗겨 곱게 찧는다. 그 다음에 이것에 계피...섞어 다식판에 박아 만든다. 이밖에 콩가루·녹말가루·용안육을 이용한 다식도 있다. 다식은 표면에 壽(수)·福(복)·康(강)·寧(영) 또는 卍자문양·꽃문양...
- 성격 :
- 전통음식
- 유형 :
- 물품
- 재질 :
- 쌀, 밤, 콩, 꿀, 조청
- 용도 :
- 의례용, 접대용, 간식용
- 관련 의례 :
- 혼례, 제례
- 분야 :
- 생활/식생활
-
이우제 (1994년) 李宇濟역 《마녀》 (채널A, 2025년) - 현규 역 《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 (MBC, 2024년) - 신민수 역 《선재 업고 튀어》 (tvN, 2024년) - 김초롱 역 《밤에 피는 꽃》 (MBC, 2024년) - 활유 역 《소방서 옆 경찰서》 (SBS, 2022년) - 하동우 역 《멀리서 보면 푸른 봄》 (KBS2, 2021년) - 한정호 역 《여신강림...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