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리식혜 보리감주
    밥 속에 묻어 두면 맛이 향기롭고 밥알도 알알이 모두 온전하여 색깔이 희고 깨끗하며 달다.'' 고 하였다. ·보리단술은 쌀이 부족할 때 주로 보리밥을 많이 해먹던 시절에 식은 보리밥을 이용하여 단술을 만들었다. 새콤달콤하고 맛이 좋으며, 매미 우는 나무그늘 밑에 밀짚방석을 깔고 둘러앉아 뚝배기로 떠 먹었다...
    분류 :
    다과류 > 음청류 > 식혜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호박지찌개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려 붉게 물들인 후 다진 마늘과 다진 생강, 실파와 멸치젓을 넣고 고루 버무린다. 잘 버무려졌으면 항아리에 넣고 돌로 눌러 익힌다. 5. 4의 호박지가 익으면 뚝배기에 담고 쌀뜨물울 부어 약한 불에서 끓인다. 된장을 풀어 넣어 간을 맞춘다. 참고사항 호박지는 그대로 먹지 않고 대부분 끓여...
    분류 :
    부식류 > 전골 및 찌개류 > 찌개 > 채소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우리말바로쓰기사전]자장면 곱배기로 먹을까? 곱빼기로 먹을까?
    가 혼동될 수 있는 단어는 세 가지 규칙에 따라 구분하여 적는다. 먼저 '대짜배기', '진짜배기'처럼 [배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로 적는다. 다음으로 '뚝배기'처럼 한 형태소 안에서 'ㄱ, ㅂ' 받침 뒤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로 적는다. 마지막으로 '고들빼기', '곱빼기'처럼 다른 형태소 뒤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어 , 맞춤법 , 표준어
  • 두부샐러드 식단
    두부는 깍두기 모양으로 썬다. 배추김치는 3~4cm 폭으로 썰고 풋고추, 대파는 어슷하게 썬다. 2. 소금물에 모시조개를 담가 해감을 제거한 후 깨끗이 씻는다. 3. 뚝배기에 쌀뜬 물, 다시마, 멸치를 넣은 후 육수를 우려낸다. 육수를 다 우려내면 다시마와 멸치를 건져낸다. 4. 2번에 모시조개와 김치를 함께 넣어 끓인다...
    분류 :
    다이어트 식단
    도서 추천식단 | 태그 음식 , 레시피
  • 몽고식품 야마다(山田)장유양조장, 蒙古食品
    제품 개발에 나서, 1988년에 송표몽고간장, 1급몽고간장, 몽고순간장, 몽고진간장, 몽고된장, 몽고메주된장을 선보였고, 1990년에 몽고참간장, 1991년에 몽고뚝배기된장을 차례로 출시하였다. 그리고 1994년에는 최고급 간장이자 최고가 장류 제품인 몽고메주간장을 시중에 내놓았다. 또한 2000년에 장류 기술 연구소를...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생활/식생활
  • 디포리쌀뜨물국 디포리쌀뜬물
    1/2개, 붉은 고추 1/2개, 국간장 1큰술, 고춧가루 1/2작은술, 깨소금 1/2작은술, 다진 파 약간, 다진 마늘 약간, 마른 디포리 50g 조리방법 1. 국그릇이나 뚝배기에 디포리와 쌀뜨물을 넣는다. 2. 솥에 밥을 안칠 때 그 위에 국그릇을 올려 밥을 짓는다. 밥이 끓으면서 밥물이 디포리국 안으로 들어간다. 3. 풋고추와...
    분류 :
    부식류 > 국 및 탕류 > 맑은국 > 해조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설렁탕
    마늘을 넣고 사태, 양지머리, 우설, 유통 등의 고기도 덩어리째 넣어 같이 삶아 고기가 완전히 무르면 꺼내어 0.5cm의 편육으로 썬다. 3. 간을 하지 않고 뚝배기에 밥을 담고 국물을 부은 후 다진 파, 소금, 후춧가루, 고춧가루를 곁들인다. 참고사항 ·홍선표의『조선요리학(1940)』은 설농탕에 대해 “세종대왕이...
    분류 :
    부식류 > 국 및 탕류 > 토장국 > 육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전통쌈장
    법 1. 쇠고기를 곱게 다져서 볶는다. 2. 볶은 쇠고기에 된장, 고추장, 다진 파, 다진 마늘, 설탕, 깨소금, 참기름을 분량대로 섞는다. 전통쌈장 활용방법 • 중탕으로 찌기도 하고, 뚝배기에 넣고 물을 조금 섞어 숟가락으로 저어가며 익히기도 좋다. • 고추, 당근, 오이 등을 찍어 먹기도 하고, 쌈에 얹어 먹기도 한다...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그릇
    주로 음식을 저장하거나 먹기 위해 담아 두는 물건. 접시, 뚝배기, 종지 등이 그릇에 해당한다. 만드는 재료로는 흙을 비롯해 금속, 유리, 나무, 플라스틱 등 다양하며, 담아내는 음식의 종류나 모양에 따라 그릇의 형태도 천차만별이다. 가장 최초의 그릇은 아마도 음식을 저장하기 위해 발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호박김치
    주로 겨울철에 뚝배기에 담아 지져 먹는 찌개용 김치로, 청둥호박, 우거지, 무청 등을 이용한다. 충청도 향토음식이며, 황해도 호박김치도 유명하다. 재료 및 분량 청둥호박 1통(2kg), 배추(小) 1통(1kg), 무청 1kg, 호박·배추·무청 절임용 소금 300g, 대파 100g, 마늘 3통, 생강 1톨, 고춧가루 1¼컵, 황석어젓 1/2컵...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호박지찌개
    담그는 것이 적기이므로 김장 때 쓰고 남은 무·배추를 이용하여 담글 수 있다. 젓갈도 아무것이나 김장 때 쓰고 남은 것을 사용하면 된다. 날김치로는 못 먹고, 뚝배기에 담고 쌀뜨물을 알맞게 부어 중불 이하로 끓여서 먹는데, 구수하여서 겨울철에 먹기 좋은 음식이다. 황해도에서는 여름철에 푸른 호박과 열무로...
    성격 :
    음식, 국, 탕, 찌개
    유형 :
    물품
    재질 :
    호박, 무, 배추, 젓갈
    용도 :
    부식용
    분야 :
    생활/식생활
  • 고추장찌개 ─醬─
    있다. 고추장찌개를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쇠고기를 곱게 다진다. 표고버섯은 골패모양으로 썬다. 마늘은 얇게 저민다. 파는 굵게 채 썬다. 냄비나 뚝배기에 고기·파·마늘·버섯·고추장을 함께 무쳐 담고 쌀뜨물이나 물을 부어 잠깐 끓인다. 쇠고기나 버섯 외에도 계절에 따라 채소를 넣고 끓여도 좋다. 거의 다...
    성격 :
    음식, 찌개
    유형 :
    물품
    재질 :
    고추장, 고기, 파, 두부
    용도 :
    식생활, 안주용
    분야 :
    생활/식생활
    주재료 :
    고추장, 고기, 파, 두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뚝배기
뚝배기
뚝배기
뚝배기
뚝배기 요리
김치콩나물국밥 뚝배기에 담기와 끓이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