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양래 尹陽來
    탄핵을 받아 갑산부에 위리안치 되었다. 영조가 즉위해 노론이 권력을 장악하자 귀양에서 풀려나, 승지·공조참판을 거쳐 대사간으로서 영조의 세자책봉과 대리청정에 관련된 유봉휘(柳鳳輝)와 조태구(趙泰耉)의 처벌을 주장했다. 그뒤 병조참판·안동부사·경기감사·도승지·한성판윤·형조판서·공조판서·호조판서...
    출생 :
    1673(현종 14)
    사망 :
    1751(영조 27)
    국적 :
    조선, 한국
  • 권규 權珪
    갑술환국 때는 당진으로 유배되었다가 1697년 풀려났다. 그 뒤 노·소론의 대립에서는 소론의 처지를 도와, 1721년(경종 1) 세제(世弟) 연잉군(延礽君)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 1722년 신임옥사로 소론이 집권하자 공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소론 조태억(趙泰億) 등의 주장에 의해 공조판서에 추증되었으나...
    시대 :
    조선
    출생 :
    1648년(인조 26)
    사망 :
    1722년(경종 2)
    경력 :
    공조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박필몽 양경, 朴弼夢
    승리하자 지평에서 경성판관으로 좌천되었다. 1721년(경종 1) 김일경(金一鏡)·이명의(李明誼)·이진유(李眞儒) 등과 함께 왕세제(王世弟:뒤의 영조)의 대리청정을 주장한 노론 4대신의 처벌을 주장하는 상소를 함으로써 신임사화를 일으켰다. 소론이 재집권하자 다시 지평이 되었다. 그 뒤 헌납·부제학·승지·대사성...
    출생 :
    1668(현종 9)
    사망 :
    1728(영조 4)
    국적 :
    조선, 한국
  • 김창하 의선, 金昌河
    등이 있고, 당악정재로는 장생보연지무·연백복지무·제수창·최화무(崔花舞) 등이 있다. 세종대왕과 박연이 짝을 이루어 국악에 크게 이바지 했듯이 19세에 대리청정하여 22세로 세상을 마친 효명세자와 빼어난 안무가 김창하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를 고루 통합하고 겉보기의 구성보다는 내면적인 민족 고유의 심성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이사관 숙빈(叔賓), 李思觀
    우의정이 되었으며, 1774년 벼슬을 떠나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듬 해 병으로 영중추부사의 한직을 맡았다가 영조가 은퇴하고 세손(世孫: 정조)이 대리청정을 하게 되자, 1776년 다시 우의정이 되어 국사를 돌보던 중 등청하다가 죽었다. 영조는 직접 제문을 지어 승지를 보내 치제(致祭)하였다. 문장에 매우...
    시대 :
    조선
    출생 :
    1705년(숙종 31)
    사망 :
    1776년(영조 52)
    경력 :
    호조판서, 형조판서, 한성부좌윤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정호 鄭澔
    그도 여기에 적극 가담해 결국 문집의 각판을 깨뜨려 없애고, 윤선거 부자의 관직도 추탈하게 했다. 1717년 소론의 반대를 물리치고 세자(뒤의 경종)의 대리청정을 시행하게 했다. 1718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1721년(경종 1) 실록청총재관으로서 〈숙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다가 신임사화로 파직되어 강진으로 유배...
    출생 :
    1648(인조 26)
    사망 :
    1736(영조 12)
    국적 :
    조선, 한국
  • 최석항 여구(汝久), 崔錫恒
    평판을 들었다. 1721년(경종 1)부터 2년에 걸친 이른바 신임사화에서 소론이 승리하는 데에 큰 구실을 하였다. 1721년 10월 왕세제(王世弟: 뒤의 영조) 대리청정의 지시가 내렸을 당시 좌참찬으로서 왕을 만나 그 부당성을 지적하여 그것을 철회시키기도 하였다. 이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고, 나이 70이 되어...
    시대 :
    조선
    출생 :
    1654년(효종 5)
    사망 :
    1724년(경종 4)
    경력 :
    좌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손와유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 사충서원 四忠書院
    위하여 노론계 관료와 유생이 추진하고 국가의 보조에 의하여 경기도 과천에 건립되었다. 이들 4대신은 경종 때 왕세제(王世弟 : 후일의 英祖)를 책봉하고 대리청정(代理聽政)을 하는 문제로 소론의 미움을 사서 1722년(경종 2) 노론계의 역모사건(신임옥사)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하였는데, 왕세제가 영조로 즉위한 뒤...
    시대 :
    조선 후기
    건립시기 :
    1725년(영조 1)
    성격 :
    서원, 교육시설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분야 :
    교육/교육
  • 이관명 자빈, 李觀命
    진사가 되었고, 1698년 알성문과에 급제한 뒤 지평·교리·이조참판·부제학·도승지·대사헌·예조판서·형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1721년(경종 1) 세제의 대리청정을 추진했던 노론4대신 등이 소론의 공격을 받고 파출(罷黜)되자 공조판서였던 그도 삭출(削黜)되었다. 이듬해 목호룡의 고변으로 시작된 신임사화에서...
    출생 :
    1661(현종 2)
    사망 :
    1733(영조 9)
    국적 :
    조선, 한국
  • 연잉군 왕세자 책봉
    우의정 조태구 등 소론은 시기상조라며 반대했으나 노론의 뜻대로 연잉군은 왕세제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노론이 한발 더 나아가 왕이 허약하니 왕세제가 대리청정하는 것이 좋겠다고 주장하자, 소론은 왕의 권위를 깎아내리는 것이라며 반격에 나섰다. 이 일로 노론 4대신은 탄핵을 받고 귀양길에 올랐다(신축옥사...
    시대 :
    1721년
    국가/대륙 :
    한국
  • 인릉기사 仁陵紀事
    절목(庶孼疏通節目)을 만든 사실이 수록되었다. 제10책(1824.1.∼1827.3.) : 경복궁 실화, 청주성내 괴서(掛書) 죄인 김치규(金致奎) 등을 처형, 왕세자 대리청정 등이, 제11책(1827.4.∼1830.윤4.) : 향약책자(鄕約冊子)를 태운 이경순(李景純)의 처벌과 천주교 탄압, 원손탄생, 한강 하류에 수적(水賊) 출몰, 심의학...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4권 12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봉교엄변록 奉敎嚴辨錄
    는 등의 조재호에 관한 10가지 죄목이 실려 있고, 본문에는 장헌세자를 죽이고 난 뒤, 홍봉한 등이 조재호의 죄를 물어 죽인 사정을 자세히 수록했다. 당시 대리청정을 맡은 장헌세자가 학문을 소홀히 하고 궁녀·내시를 죽이며 기생·여승들을 희롱한다는 죄목으로 죽음을 당할 위기에 처하자 조재호는 이에 맞서 장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대리청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