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상범 (1943년) 朴相範
    군인 정보 박상범(朴相範, 1943년 4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충청북도 옥천 출생이다. 대통령 경호실 실장과 국가보훈처 처장을 지냈다. 1977년 대통령 경호실 수행계 계장. 1980년 대통령 경호실 수행과 과장. 1983년 대통령 경호실 경호처 처장. 1993년 제9대 대통령 경호실...
    도서 위키백과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慶尙北道獨立運動記念館
    과정에서 기념관의 명칭이 안동독립운동기념관으로 구체화되었고, 2002년 12월 이를 추진할 “안동독립운동기념사업회”가 만들어졌다. 이어 2003년 2월 국가보훈처로부터 사단법인 승인을 얻고, 4월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본격적인 건립준비에 나섰다. 2007년까지 약 4년의 준비 끝에 부지 25,424㎡에 연면적...
    시대 :
    현대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독립기념관길 2
    설립 :
    2007년 8월 10일
    성격 :
    박물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사단법인 안동독립운동기념사업회
    분야 :
    역사/근대사
  • 김교수
    제 132호)과 화랑무공훈장, 방위포장을 수여하였다. 그리고 故 김교수 대위 추모비가 강원도 철원군 구월정역 월정공원에 세워졌다. 또한 2015년 6월, 국가보훈처에서 발표한 '6.25 전쟁 10인의 호국 영웅'과 2016년, 전쟁기념관에서 '10월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해마다 7월 14일이 되면, 6사단에서는 김교수 대위...
    도서 위키백과
  • 오승남
    일어난 시위는 중단되고 그는 주동자로서 일경에 체포되어, 1919년 6월 30일 고등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참고 문헌> 판결문(1919. 5. 21 대구복심법원)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614·615·616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292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546·1547면
    도서 위키백과
  • 김철수 묘 金喆秀 墓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용소리 산162번지이다. [변천] 묘역에는 김철수 묘를 비롯하여 10여 기의 무덤이 있었는데, 1984년 국가보훈처에서 양산 지역 독립 유공자의 유적을 정화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일제 강점기 김철수의 애국 활동을 기리기 위해 애국 지사 사업 기금과 양산군의 보조 기금...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채찬
    각주 부족 채찬(蔡燦, ? ~ 1924년 9월 2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웹아카이브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공훈록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일명 백광운(白狂雲). 충북 충주(忠州) 사람이다. 1905년 이강년(李康秊)을 따라 문경(聞慶)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제와 무력투쟁을 전개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하여 한국...
    도서 위키백과
  • 6·25 참전 영도 유격 부대 유적지비 六·二五 參戰 影島 遊擊 部隊 遺蹟址碑
    못 잊어 작은 돌 하나 깎아 영도 유격 부대 유적지의 거룩한 자취를 남기노라.” 영도 유격 부대 생존자 일동. [현황] 6·25 참전 영도 유격 부대 유적지비는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 시설 제40-2-1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 옆에는 무명용사비, 공수 낙하 및 해상 침투도...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 홍종억
    각각 받았다. 홍종억은 평리원 재판장으로서 총 28건의 의병 재판에 참여했다. 이 가운데 징역형 또는 유형 5년 이상의 선고가 내려졌고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해당 의병장에게 훈장을 추서한 주요 판결은 다음과 같다. 선고 날짜 의병장 이름 주활동 지역 국가보훈처 서훈 내역 판결 1907년 10월 24일 김득수 충청남도...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
    바꿀 것이라는 얘기였다. 이후 1985년 1월 물질적 지원이 중심이었던 유공자에 대한 보상을 정신적 예우도 포함하도록 하기 위해 원호처를 국가보훈처로 개편했다. 보훈처로 개편된 이후에는 보훈부로의 승격 문제가 자주 언급됐다. 차관급 기구로 출발한 군사원호청은 이후 장관급으로 격상됐다가 차관급으로 격하되기...
    도서 위키백과
  • 백정기 Baek Jeong-gi, 白貞基
    세력들도 이날만큼은 좌우의 입장 차를 버리고 거족적 행사에 동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국가보훈처가 발간한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그의 활동을 이렇게 소개한다. 아래의 '남화'는 남중국이다. 1925년 상하이에서 재중국 무정부주의자연맹에 가입...
    도서 위키백과
  • 국립영천호국원
    귀감으로 승화시키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2001. 01. 01.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영천호국원 개원 2006. 01. 30. 국립묘지 승격 2007. 01. 01. 국가보훈처 직제 편입(국가보훈처 직제령) 2008 .09. 13. 봉안묘 만장 / 충령당(1관) 개관 2012. 02. 24. 충령당(2관) 개관 총무팀 시설팀 현충팀 전례팀 국립이천호국원 국립임실...
    도서 위키백과
  • 조병세 (1949년) Cho Byoung-se
    인물 정보 조병세(趙炳世, 1949년 3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제18대 국가보훈처 차장(1999. 1.~2000. 2.)을 지냈다. 충청북도 제천시 출생이다. 1965~1968 대전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행정학 석사 수료 고려대학교 경영학 석사 수료 1982~198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학사 졸업 1985~1988 서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4건

국가보훈처 청사
한상호(국가보훈처)
윤준희(국가보훈처)
김강(국가보훈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