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연평해전 延坪海戰북한은 약 30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SO · 1급 초계정 등산곶 684호가 반파된 채로 퇴각하였다. 정부는 2008년 4월 ‘서해교전’으로 불리던 이 전투를 ‘제2연평해전’으로 명명하고, 추모행사도 국가보훈처 주관하에 정부기념행사로 승격시켰다. 의의와 평가 대한민국 해군은 연평해전을 계기로 교전규칙을 소극적...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
연평·대청해전 延坪·大靑海戰윤영하 대위를 포함하여 6명이 전사하였으며, 19명이 부상당했다. 참수리호는 예인 중 침몰했다. ‘서해교전’으로 불리다가 2008년 4월 ‘제2연평해전’으로 격상되었다. 연평해전을 계기로 소극적 대응의 1997년의 교전규칙을 적극적 응전 개념으로 수정했다. ‘경고방송-시위기동-차단기동(밀어내기 작전)-경고사격...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99년 6월 15일(제1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제2연평해전), 2009년 11월 10일(대청해전)
- 성격 :
- 해전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현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한국 해군, 북한 해군
- 관련 장소 :
- 서해 북방한계선, 연평도·대청도 인근
-
-
-
제2함대 (대한민국) 第2艦隊 (韓国海軍)PKG-716 서후원 PKG-717 박동혁 PKG-721 지덕칠PKMR-211 참수리 PKMR-213 참수리 PKM-315 참수리 PKM-325 참수리 PKM-335 참수리 1946년 4월 15일 - 남조선해안경비대 인천 해군기지 1949년 6월 - 인천경비부. 1973년 7월 - 제5해역사령부. 1986년 2월 1일 - 제2함대. 한국 전쟁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대청해전 대한민국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