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2연평해전 서해교전, 第二延坪海戰
    2002년 6월 29일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벌어진 남북한 해군 간의 전투.|북한의 북방한계선(NLL) 침범으로 발생한 전투로, '서해교전'으로 불리다가 2008년 4월 '1연평해전'에 이은 '2연평해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9년 6월 7일에 발생한 1연평해전 이후에도 북한 경비정의 NLL침범은 간헐적으로 발생했으...
  • 2연평해전 (관련어 제2 연평해전) Battle of Y..
    전역상자 한국 전쟁 2연평해전(第二延坪海戰)은 2002년 6월 29일 연평도 근해 북방한계선 부근 해상에서 일어난 남북한 간의 군사적 충돌이다. 대한민국 해군 고속정에 대한 조선인민군 해군 경비정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되어 30분가량 진행된 이 전투에서 양측 모두 피해를 입었다. 북한군의 선제 공격을 당한 대한민...
    도서 위키백과
  • 연평해전 延坪海戰
    북한은 약 30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SO · 1급 초계정 등산곶 684호가 반파된 채로 퇴각하였다. 정부는 2008년 4월 ‘서해교전’으로 불리던 이 전투를 ‘2연평해전’으로 명명하고, 추모행사도 국가보훈처 주관하에 정부기념행사로 승격시켰다. 의의와 평가 대한민국 해군은 연평해전을 계기로 교전규칙을 소극적...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국방
  • 1연평해전 서해교전, 第一延坪海戰
    이어 8일까지 북한어선 15척은 NLL을 4~7㎞까지 침범하였고 북한 경비정은 계속해서 3~4회 침범과 철수를 반복하였다. 남한 해군은 국제법에 의거하여 고속정 2개 편대의 신호로 철수를 요구하다가 북한함정의 행위가 의도적이라고 판단하고 고속정들로 진입차단 기동작전을 펼쳤다. 9일부터 북한은 경비정을 10...
  • 1연평해전 Battle of Yeongpyeong (1999)..
    5척 파손, 사상자 50(전사 20, 부상 30)여명이 발생하였다. 같은 해 7월 3일, 대한민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연평해전'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차후에 2연평해전이 일어남에 따라 이 전투는 1연평해전으로 구분되었다. 1998년 초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햇볕정책'으로 불리는 대북화해협력정책...
    도서 위키백과
  • 연평·대청해전 延坪·大靑海戰
    윤영하 대위를 포함하여 6명이 전사하였으며, 19명이 부상당했다. 참수리호는 예인 중 침몰했다. ‘서해교전’으로 불리다가 2008년 4월 ‘2연평해전’으로 격상되었다. 연평해전을 계기로 소극적 대응의 1997년의 교전규칙을 적극적 응전 개념으로 수정했다. ‘경고방송-시위기동-차단기동(밀어내기 작전)-경고사격...
    시대 :
    현대
    발생 :
    1999년 6월 15일(제1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제2연평해전), 2009년 11월 10일(대청해전)
    성격 :
    해전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한국 해군, 북한 해군
    관련 장소 :
    서해 북방한계선, 연평도·대청도 인근
  • 연평해전 Battle of Yeonpyeong, 延坪島の戦い
    연평해전이란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대한민국과 북한간의 해전을 뜻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을 뜻한다. 1연평해전 : 1999년 6월 15일에 북한의 기습공격으로 발생한 해전 2연평해전 : 2002년 6월 29일에 북한의 기습공격으로 발생한 해전 연평해전 (영화)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연평해전 (영화) Northern Limit Line (film), 延坪海战..
    정보 《연평해전》은 2015년 상반기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2002년 6월에 발발한 서해교전을 모티브로 삼은 영화라는데 일부 잘못된 사실이 있다고 한다 김무열 : 윤영하 대위 역 진구 : 한상국 하사 역 이현우 : 박동혁 상병 역 김지훈 : 조천형 하사 역 장준학 : 황도현 하사 역 주희중 : 서후원 하사 역 이완...
    도서 위키백과
  • 서해 수호의 날
    도발 사건에서 희생된 호국영웅들을 기리는 날. 매년 3월 넷째 금요일이다. 천안함 침몰 사건이 2010년 3월 26일 금요일에 일어난 점을 고려해 정해졌다. 2연평해전과 천안함 피격 사건, 연평도 포격 등 북한의 서해도발 사건을 기억하고 국민의 안보의식을 북돋기 위해 제정되었다. 제정 배경 2연평해전은 2002...
    분류 :
    법정기념일, 비공휴일
    시행일 :
    2016년 3월 25일
    주관처 :
    국가보훈부
    날짜 :
    3월 넷째 금요일
  • 대청해전 Daecheong incident, 大青海戦
    뉴스 인용 ※ 참고 아래의 교전규칙은 1연평해전·2연평해전의 교전규칙과 다르다. 1차연평해전시 NLL상 해군 작전예규는 경고방송-> 퇴각요구 -> 시위기동->차단기동->경고사격 ->위협사격 -> 격파사격 이었다 2연평해전/대청해전의 교전규칙은 '경고방송->시위기동->차단기동->경고사격->격파사격'이었으나 2...
    도서 위키백과
  • 윤영하급 고속함 윤영하급 미사일 고속함, 尹永夏級 高速艦
    넘어 함으로 격상되었다. 한진중공업에서 건조한 윤영하함은 2008년 12월 해군에 인수되었고, 후속함은 SKT조선, 한진중공업에서 건조하여 인도되었다. 2연평해전 때 전사한 고 윤영하 소령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이후 취역한 고속함에도 한상국, 조천형, 황도현, 서후원, 박동혁함 등으로 2 연평해전 전사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조선/해양
  • 2함대 (대한민국) 第2艦隊 (韓国海軍)
    PKG-716 서후원 PKG-717 박동혁 PKG-721 지덕칠PKMR-211 참수리 PKMR-213 참수리 PKM-315 참수리 PKM-325 참수리 PKM-335 참수리 1946년 4월 15일 - 남조선해안경비대 인천 해군기지 1949년 6월 - 인천경비부. 1973년 7월 - 5해역사령부. 1986년 2월 1일 - 2함대. 한국 전쟁 1연평해전 2연평해전 대청해전 대한민국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98건

제2연평해전
판결문(『사상월보』 제2권 제2호, 1935.5.15)
판결문(『사상월보』 제2권 제2호, 1935.5.15)
대중공론 제2권 제2호(창간호) 판권지
대중공론 제2권 제2호(창간호) 표지
모란도 병풍 제1-제2폭
책가도병풍 제1-제2폭
제2사업장 내 에틸렌 2공장 전경
제2금융권
제2전시실
제2전시실
제2범섬
제2문섬
제2송도
제2송도
제2송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