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내복에도 과학이 숨어있다고?!이문세의 노래 ‘빨간 내복’의 일부다. 1990년대 평범한 가정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추억의 장면에는 빨간색 내복이라는 아이콘이 있다. 팔꿈치와 무릎에 구멍이 나고 고무줄이 헐렁해진 빨간 내복이라도 한 벌만 걸치고 있으면 추운 겨울을 거뜬하게 날 수 있었다. 부모님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과거...
-
수선화 Narcissus빠지는 벌을 받게 되지요.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가까이 다가가면 그 모습이 흐트러져 버리고, 너무 멀리 물러나면 자신의 모습은 이내 사라져 버렸답니다. 자신의 모습이 비친 물가에서 떠나지 못한 나르키소스는 결국 물에 빠져 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여러 요정과 신들은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나르키소스가...
- 분류 :
- 수선화과
- 학명 :
- Narcissus spp.
-
-
동령 청동방울, 銅鈴한 벌을 이루지만, 개별적으로 한국식 동검인 좁은놋단검〔細形銅劍〕과 함께 출토되기도 한다. 초기 철기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서기전 3세기 중반에서 제작되기 시작하여 서기전 1세기 전반 경까지 유행하였다. 방울이 달린 것은 전기 유적인 아산 남성리 유적에서도 나오는데, 방울에 알맹이가 없어 제작 시기에는...
- 시대 :
- 선사/철기
- 성격 :
- 무구/청동방울
- 유형 :
- 유물
- 재질 :
- 청동
- 제작시기 :
- 초기철기시대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백령대굴 百嶺大窟작은 굴과 연결되어 있다. 미로굴은 원굴의 '명사십리'의 왼쪽에 난 좁은 구멍에서부터 시작된다. 여기에도 천정에 드리운 돌고드름이 소젖처럼 생기었다고 하여...형성되어 있어 그 모양이 넓은 논벌을 연상시키는 '만답동', 돌순이 벌의 둥지처럼 생긴 '봉소동', 돌고드름모양이 포도송이처럼 보이는 '포도동'을 비롯...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81호, 명승지 제5호
- 성격 :
- 동굴, 석회암동굴
- 유형 :
- 지명
- 면적 :
- 길이 5㎞, 넓이 2만㎢
- 소재지 :
- 평안북도 구장군 대풍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부산반여동고분군 釜山盤如洞古墳群확인되지 않았으나 중심부에서 2개의 주기둥구멍[主柱穴]이 확인되었다. 출토유물은 심발형무문토기, 각목무문토기, 지석 등이 발견되었다. 고분은 토광목곽묘...토광을 만든 후, 그 안에 냇돌과 괴석으로 벽을 축조하였다. 개석은 있는 것과 없는 것 두 종류가 있다. 바닥은 고운 흙을 한 벌 깔고, 잔돌을 띠엄띠엄...
- 시대 :
- 고대/삼국
- 건립시기 :
- 청동기시대, 가야시대
- 성격 :
- 주거지, 고분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제주 방선문 濟州訪仙門목욕하던 선녀들을 몰래 훔쳐보다가 들킨 선비가 옥황상제에게 끌려가 그 벌로 흰 사슴이 되어 백록담을 지키게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내용 방선문이...반석(磐石)과 소(沼) 등 다양한 마식지형이 발달한다. 방선문은 마식작용으로 구멍이 뚫린 아치형의 바위를 가리키는데, 규모가 큰 아치형의 지형을 자연교...
- 시대 :
- 현대
- 문화재 지정 :
- 명승 제92호
- 성격 :
- 명승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15,353㎡
- 소재지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등동 48-26번지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꼬마장수말벌퇴절 정단부, 경절 및 부절은 적갈색이다. 제1-2복절은 적색 및 오렌지색의 이색조이며, 제3-6절의 후연에 오렌지색의 띠무늬를 가지고 있다. 참고사항 사회성벌로서, 지난해 가을부터 다음 해 가을까지 군체를 형성하는 1년생이다. 생태 주로 지붕의 안쪽, 나무로 된 벽의 안쪽, 나무에 구멍이 뚫린 곳, 땅 속 등 주로...
- 분류 :
- 벌목 > 말벌과
- 학명 :
- Vespa ducalis Smith, 1852
- 출현시기 :
-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