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교사료관 세계와 나눈 약속의 기록
    집중해서 살펴보며, '부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우리 아이들이 해야 할 일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면 좋겠다. 최초로 맺은 조약이자 불평등했던 조약, '강화도 조약'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한·일 수호조규조인서'다. 이 조약은강화도에서 맺어졌다고 해서 '강화도 조약'이라고 부른다. 강화도 조약은 1876년 우리...
    소재지 :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센터
  • 고려천도공원
    ㎡에 민통선 안보 관광코스 조성사업의 하나로 2019년에 개장한 역사 테마공원이다. 강화천도는 고려-몽골 전쟁 때 항전하기 위해 고려 고종이 1232년 도읍을 강화도로 옮긴 일이다. 이후 38년간 고려의 임시수도였던 강화도의 역사를 천도문을 시작으로 고종사적비까지 강화 해안가를 따라 돌아볼 수 있다. 천도문을...
    위치 :
    인천광역시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388-7
  • 문수산성 김포 문수산성, 文殊山城
    건립 경위 문수산성은 왕실의 보장처인 강화도 방어를 위해 1694년(숙종 20)에 삼군문(三軍門)을 동원하여 쌓은 것이다. 효종~숙종 재위 기간 동안 강화도 연안을 따라 다수의 진(鎭) · 보(堡)를 배치하였고, 이후 돈대와 외성을 차례로 쌓아 섬의 방비를 강화하였다. 여기에 병자호란 당시 강화 갑곶 건너편이 청군의...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조선 25대 철종 즉위
    헌종이 후사 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왕후는 강화도에 유배 가 있던 왕족 이원범을 데려오도록 조치했다. 이원범은 궁중에 들어가 덕완군에 책봉된 뒤 곧바로 25대 임금 자리에 올랐다. 이가 철종으로, 사도세자(장헌세자)의 증손자이다. 1844년(헌종 10년) 정부에 불만을 품은 중인 출신 민진용이 철종의 이복형인...
    시대 :
    1849년
    재위 :
    1849년~1863년
    국가/대륙 :
    한국
  • 서검도 西檢島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서검리에 속한 섬. 강화도에서 서쪽으로 약 34.1km 떨어져 있다. 주위에 석모도·교동도·볼음도·주문도 등의 큰 섬들이 둘러싸고 있다. 강화도 서쪽에 있다 하여 서검도라 하며, 동쪽에 동검도가 있다. 섬은 삼각형이며, 높이 56m와 52m의 낮은 구릉지가 남쪽해안 양끝에 솟아 있을 뿐...
    인구 :
    77 (2013)
    면적 :
    1.44㎢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서검리
    길이 :
    해안선 5.7k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피부미용에 좋은 건강채소, 순무 밭의 화장품
    순무는 임금님에게 진상했다고 알려지는 고급 식재료다. 국내에서는 강화에서 조선 중엽 무렵부터 순무를 재배했다는 문헌이 전해오며, 지금도 강화도의 흙과 해풍, 기온이 순무를 재배하기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다. 강화순무의 생김새는 팽이모양의 둥근형으로 회백색 또는 자백색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강화지역...
    원산지 :
    유럽
    크기 :
    지름 10~15cm
    학명 :
    Brassica Rapa
    영양 성분 :
    단백질, 칼슘, 비타민
  • 윤선거 길보(吉甫), 尹宣擧
    사신이 입국하자 성균관의 유생들을 규합, 사신의 목을 베어 대의를 밝힐 것을 주청하였다. 그 해 12월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가족과 함께 강화도로 피신하였다. 이듬 해 강화도가 함락되자 처 이씨가 자결하였으나 평민의 복장으로 탈출하였다. 1651년(효종 2) 이래 사헌부지평·장령 등이 제수되었으나, 강화도에서...
    시대 :
    조선
    출생 :
    1610년(광해군 2)
    사망 :
    1669년(현종 10)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가례원류, 후천도설, 노서유고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파평(坡平)
  • 운요호 사건 발발
    운요호는 부산 앞바다에서 함포 사격 훈련을 하며 무력시위를 벌였다. 뒤이어 동해안을 순항하고 다시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을 거슬러 올라간 뒤 9월 20일 강화도 앞 난지도에 도착했다. 운요호 함장 이노우에는 작은 보트에 일본군 수십 명을 태우고 식수를 보급한다는 명목으로 강화도 초지진에 접근했다. 일본군 보트...
    시대 :
    1875년
    국가/대륙 :
    한국
  • 강화천도 江華遷都
    왕공(王公) · 대관(大官)의 어린 자식들까지도 요구하는 등 고려를 괴롭혔다. 이에 고려에서는 몽골군과 싸울 것을 결심하고, 강화천도(江華遷都)를 단행하였다. 강화도(江華島)는 조석 간만의 차가 크고 조류가 빨라 공격이 쉽지 않은 곳이었고, 국도 개경과 가깝고 지방과의 연결 혹은 조운(漕運) 등이 유리한 곳...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사건/전쟁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이동휘 李東輝
    졸업하고 궁성수비대에 근무하다가 1901년 삼남지방 검사관(檢査官)으로 임명되어 6개월간 지방 관료의 부정부패를 다스린 후 1902년 참령(參領)으로서 강화도 진위대장으로 전출되어 1907년 군대해산 때까지 근무했다. 진위대장으로 있으면서 강화도에 신식교육기관으로서의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운영했는데, 이...
    출생 :
    1873(고종 10), 함남 단천
    사망 :
    1935
    국적 :
    한국
    호 :
    성재(誠齋), 모산(茅山), 이광(李光)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광해군묘 光海君墓
    빈민구제와 국방에 주력하는 등 치적이 많았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고 1623년(인조 1) 3월 광해군으로 강봉되었으며, 같은 해 3월 폐비 유씨와 함께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도로 이배(移配)되었다. 1641년 7월 이배지에서 죽어 그 곳에 장사지냈다가 1643년 10월에 지금의 묘소로 천장(遷葬)하였다. 문성군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거류지 무역 居留地貿易
    한 나라의 영토 내에서 다른 나라와의 협정을 맺어 일부를 외국인에게 영업과 거주의 목적으로 허락하는 것을 말한다. 1876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강화도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1876년 부산, 1879년 원산, 1880년 인천을 개항했다. 이후 미국, 독일, 러시아, 프랑스 등 구미 열강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면서 개항장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2건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강화도 초지진
강화도 나루
전등사. 고구려에 불교를 처음 전한 아도가 지었다고 하며, 대웅전 · 약사전 · 범종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강화 대교. 경기도 김포와 연결되어 서울과의 교통이 편리해졌을 뿐더러, 지역 개발에 크게 도움이 된다.
강화 부근리 고인돌. 선사 시대의 거석 기념물로 높이가 약 260cm이며, 모습이 웅장하고 당당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