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문수산성 김포 문수산성, 文殊山城건립 경위 문수산성은 왕실의 보장처인 강화도 방어를 위해 1694년(숙종 20)에 삼군문(三軍門)을 동원하여 쌓은 것이다. 효종~숙종 재위 기간 동안 강화도 연안을 따라 다수의 진(鎭) · 보(堡)를 배치하였고, 이후 돈대와 외성을 차례로 쌓아 섬의 방비를 강화하였다. 여기에 병자호란 당시 강화 갑곶 건너편이 청군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조선 25대 철종 즉위헌종이 후사 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왕후는 강화도에 유배 가 있던 왕족 이원범을 데려오도록 조치했다. 이원범은 궁중에 들어가 덕완군에 책봉된 뒤 곧바로 25대 임금 자리에 올랐다. 이가 철종으로, 사도세자(장헌세자)의 증손자이다. 1844년(헌종 10년) 정부에 불만을 품은 중인 출신 민진용이 철종의 이복형인...
- 시대 :
- 1849년
- 재위 :
- 1849년~1863년
- 국가/대륙 :
- 한국
-
피부미용에 좋은 건강채소, 순무 밭의 화장품순무는 임금님에게 진상했다고 알려지는 고급 식재료다. 국내에서는 강화에서 조선 중엽 무렵부터 순무를 재배했다는 문헌이 전해오며, 지금도 강화도의 흙과 해풍, 기온이 순무를 재배하기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다. 강화순무의 생김새는 팽이모양의 둥근형으로 회백색 또는 자백색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강화지역...
- 원산지 :
- 유럽
- 크기 :
- 지름 10~15cm
- 학명 :
- Brassica Rapa
- 영양 성분 :
- 단백질, 칼슘, 비타민
-
윤선거 길보(吉甫), 尹宣擧사신이 입국하자 성균관의 유생들을 규합, 사신의 목을 베어 대의를 밝힐 것을 주청하였다. 그 해 12월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가족과 함께 강화도로 피신하였다. 이듬 해 강화도가 함락되자 처 이씨가 자결하였으나 평민의 복장으로 탈출하였다. 1651년(효종 2) 이래 사헌부지평·장령 등이 제수되었으나, 강화도에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10년(광해군 2)
- 사망 :
- 1669년(현종 10)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가례원류, 후천도설, 노서유고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파평(坡平)
-
운요호 사건 발발운요호는 부산 앞바다에서 함포 사격 훈련을 하며 무력시위를 벌였다. 뒤이어 동해안을 순항하고 다시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을 거슬러 올라간 뒤 9월 20일 강화도 앞 난지도에 도착했다. 운요호 함장 이노우에는 작은 보트에 일본군 수십 명을 태우고 식수를 보급한다는 명목으로 강화도 초지진에 접근했다. 일본군 보트...
- 시대 :
- 1875년
- 국가/대륙 :
- 한국
-
강화천도 江華遷都왕공(王公) · 대관(大官)의 어린 자식들까지도 요구하는 등 고려를 괴롭혔다. 이에 고려에서는 몽골군과 싸울 것을 결심하고, 강화천도(江華遷都)를 단행하였다. 강화도(江華島)는 조석 간만의 차가 크고 조류가 빨라 공격이 쉽지 않은 곳이었고, 국도 개경과 가깝고 지방과의 연결 혹은 조운(漕運) 등이 유리한 곳...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사건/전쟁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광해군묘 光海君墓빈민구제와 국방에 주력하는 등 치적이 많았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고 1623년(인조 1) 3월 광해군으로 강봉되었으며, 같은 해 3월 폐비 유씨와 함께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도로 이배(移配)되었다. 1641년 7월 이배지에서 죽어 그 곳에 장사지냈다가 1643년 10월에 지금의 묘소로 천장(遷葬)하였다. 문성군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