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요카와 豊川, Toyokawa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증했으나 군수산업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쇠퇴했다. 1957년에 이전의 군사기지가 공업지대로 바뀌면서 자동차 부품, 광학기계, 인형, 재목을 생산해오고 있다. 도요카와 신사에서는 해마다 여러 차례 축제를 열어 전국에서 참배자들이 모여든다. 나고야대학[名古屋大學] 부설 대기연구소가 있다.
    위치 :
    일본 아이치 현 동부, 도요카와 강 유역
    인구 :
    161,595명 (2022년 추계)
    면적 :
    161.14㎢
    언어 :
    일본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내소사대웅보전
    진 살미첨차에는 모두 연봉형을 새겼으며 소위 운궁이라는 장식적 형태로 변모되어 있다. 대들보는 앞뒤 기둥 위의 공포에 걸쳐졌는데 자연 그대로의 굽은 재목을 사용했다. 대들보 위에 동자형(童子形)의 대공(臺工)을 세워 종보[宗樑]를 받치고 우물천장을 가설했다. 대들보에서 건물 측면의 가운데 기둥에 걸치도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 구연서원 龜淵書院
    위한 산고수장비(山高水長碑)만 남아 있다. 구연서원의 경내의 관수루(觀水樓)는 서원의 문루(門樓)로서 1740년에 창건된 것이다. 자연 암반을 활용하고 자연 재목을 틀어진 그대로 하부 기둥으로 사용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중층 누각이다. 누각의 하부 정면에 출입을 위한 문을 달았고, 나머지 공간은...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교육
  • 랜스우드 lancewood
    lanceolata)를 길이 4m, 작은 쪽의 지름을 13㎝로 잘라 스파(spar)로 만들어 파는데 스파는 선체 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운 기둥을 만드는 데 쓰는 둥근 재목이다. 전에는 마차 제조업자들이 끌채를 만드는 데 썼으며, 더 작은 목재로는 채찍의 손잡이나 낚싯대 끝부위를 만들거나 그밖에 결이 고운 탄력성 목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술라웨시텡가 Central Celebes, Sulawesi Tengah
    이루어진 빽빽한 숲이 나타난다. 농업이 주요생계수단이며 농산물로는 등·수지·사탕수수·코프라·쌀 등이 재배된다. 경질재 수목과 흑단도 중요한 재목으로 손꼽힌다. 공업으로는 목각·정미·제약과 돗자리·바구니 제조, 야자유 채취가 이루어진다. 운송은 강과 주로 해안을 따라 나 있는 도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위치 :
    인도네시아 중부 셀레베스 섬 북동부
    인구 :
    3,086,750명 (2023년 추계)
    면적 :
    61,841.29㎢
    언어 :
    인도네시아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인도네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자수궁 자수원(慈壽院), 慈壽宮
    한때 5,000여 명의 여승이 살았다. 그 뒤 1661년(현종 2)에 여승의 폐해가 심하여 부제학 유계(兪棨)의 상계(上啓)로 폐지시키면서 어린이들은 환속시키고 늙은이들은 성 밖으로 옮기게 하였다. 1663년자수원의 재목으로 성균관 서쪽에 비천당(丕闡堂)을 세우고, 또 일량재(一兩齋)와 벽입재(闢入齋)를 세웠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건립시기 :
    1616년(광해군 8)
    성격 :
    궁궐
    유형 :
    유적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소나무 소오리나무, Korean red pine
    잎이 연한 녹색을 띠면서 잘 비틀리지 않고 겨울철에 발달하는 동아에 수지가 없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줄기가 자라는 형태, 잎이나 구과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개의 하위 분류군이 기재되어 있다. 꽃가루와 잎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고, 재목은 건축재로 쓴다(Yim et al. 2006; Choi 2007).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분류 :
    나자식물문 > 소나무강 > 소나무목 > 소나무과 > 소나무속
    서식지 :
    산지의 능선
    학명 :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동북부, 일본
  • 보은 법주사 팔상전 법주사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4면에 열반상을 포함한 삼존불상을 각각 배치했으며 이어서 3열로 천불상을 봉안했다. 이 건물은 1968년 해체·조사된 바로는 각 층마다 구조가 다르고, 재목의 사용이나 공포구성법·체감률 등 건축법식면에서도 무질서하고 혼란해 부정적 평가를 받았지만 국내에 현존하는 유일한 5층목탑으로서 중요성이 인정되고...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라이베리아의 자연환경
    ㎜이지만 내륙으로 갈수록 적어져 내륙 오지는 1,800㎜이다. 국토의 약 40%가 열대 우림지대로, 이곳에는 쇠나무·캠우드·위스모·마호가니 등 여러 종류의 재목이 자란다. 또한 원숭이·침팬지·영양·뱀·악어 등과 같은 야생동물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코끼리·들소·표범도 살지만 멸종위기에 놓여 있다. 경작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로스라고스 Los Lagos
    북부에서 경제성장에 박차를 가했다. 경제활동은 감자·쇠고기·낙농제품·밀·귀리·과일 생산 등의 농업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발디비아 군에서 생산되는 재목은 칠레에서도 경제성이 매우 높다. 로스라고스 주의 산업은 대부분 농산품과 임산물이 가공에 관련되어 있지만 철 및 강철 제련소, 주조소, 생선통조림공장...
    위치 :
    칠레 남부
    인구 :
    847,500명 (2016 추계)
    면적 :
    48,583.6㎢
    언어 :
    에스파냐어
    대륙 :
    남아메리카
    국가 :
    칠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소반 小盤
    일반적 크기는 너비가 60cm 이내이며 용도에 따라 다상이나 소상(小床) 등의 작은 상과 여럿이 둘러앉아 먹는 두레반의 경우처럼 넓이가 넓은 것도 있다. 재목은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은행나무·가래나무·피나무·오동나무·소나무 등이 쓰이며, 목재의 연결부분을 튼튼하게 짜맞추어 다리가 무거운 반을 지탱할 수...
    문화재 지정 :
    1992.11.10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난핑 南平, Nan-p'ing
    에 연평 부가 되었고, 1913년에는 난핑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청대에는 상업(임산물·목재·대나무·종이)이 매우 발달했다. 전통적으로 난핑의 상품, 특히 재목은 물길을 통해 푸저우[福州]로 운반되었다. 1949년에 공산정권이 들어선 후에는, 민장 강이 항로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1956년 장쑤...
    위치 :
    중국 푸젠 성 중북부, 민장 강 북서쪽 기슭
    인구 :
    491,287명 (2020년 추계)
    면적 :
    2,660㎢
    언어 :
    중국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중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꾀꼬리큰버섯
재목을 싯고 비탈을 달리는 차를 급정거 시켰을 때의 재목 운동(상)과 정지 관성을 이용한 장난감 떨어뜨리기(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