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친왕비 금호도잠 英親王妃金胡桃簪유물설명 비녀는 수식품(首飾品)의 일종으로 ‘계(笄)’, ‘잠(簪)’, ‘채(釵)’ 등으로 불린다. 쪽진 머리나 관(冠) 등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꽂는 도구이다. 왕실 여성들은 계절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비녀로 치장하였다. 봄에는 모란잠(牡丹簪), 봄 · 가을에는 매죽잠(梅竹簪), 여름에는 민옥잠...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길이: 18.7cm
- 재질 :
- 금 · 진주 · 은사
-
영친왕비 진주장잠 英親王妃珍珠長簪유물설명 비녀는 수식품(首飾品)의 일종으로 ‘계(笄)’, ‘잠(簪)’, ‘채(釵)’ 등으로 불린다. 쪽진 머리나 관(冠) 등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꽂는 도구이다. 왕실 여성들은 계절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비녀로 치장하였다. 봄에는 모란잠(牡丹簪), 봄 · 가을에는 매죽잠(梅竹簪), 여름에는 민옥잠...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길이: 31.3cm
- 재질 :
- 옥 · 은 · 진주 · 청파리 · 홍파리
-
이지강 중잠(仲潛), 李之剛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잠(仲潛). 아버지는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한 이집(李集)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82년(우왕 8) 과거에 급제, 중서문하성의 녹사(錄事)를 거쳐, 1392년(태조 1) 기거주(起居注)로서 조선 건국에 참여하였다. 특히, 이방원(李芳遠)의 측근이라는 이유로 1393년 정도전(鄭道傳...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63년(공민왕 12)
- 사망 :
- 1427년(세종 9)
- 경력 :
- 호조판서, 예조판서, 대사헌, 의정부참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광주(廣州)
-
간단하게 잠 쫓는 법졸음이 쏟아지는 여름, 할 일은 많은데 잠이 쏟아진다. 이때 간단한 호흡법으로 잠을 물리칠 수 있다. 1. 허리를 곧게 펴고 몸에 힘을 뺀다 2. 코로 숨을 천천히 그리고 깊게 들이마신다. 3. 복부에 몰린 숨을 내쉬지 말고 참을 수 있을 때까지 참는다. 4. 숨을 못 참을 정도가 되면 코로 천천히 내쉰다. 가볍게 들숨...
-
옥잠화 옥춘봉, 玉簪花개요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Hosta plantaginea'이다. 옥비녀꽃 또는 백학석이라고도 한다. 형태 둥근형의 잎은 잎자루가 길며 길이 15~22cm, 너비 10~17cm 정도로 끝은 뾰족하고 기부는 오목한 심장형이다. 잎맥은 가장자리와 평행한 나란히맥이다. 꽃줄기는 뿌리에서 높이 올라오는데 길이가...
- 분류 :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아스파라거스목 > 용설란과 > 옥잠화속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
- 크기 :
- 약 40cm ~ 56cm
- 학명 :
- Hosta plantaginea (Lam.) Aschers.
- 꽃말 :
- 침착, 조용한 사랑
-
화유옹주 백옥석류잠 和柔翁主白玉石榴簪공사로 인한 묘이장 작업 중 발견 · 출토되었으며, 황인점의 8대 종손 황선욱씨가 우리 관에 기증한 것이다. 비녀는 수식품(首飾品)의 일종으로 '계(笄)', '잠(簪)', '채(釵)' 등으로 불린다. 쪽진 머리나 관(冠) 등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꽂는 도구이다. 석류잠은 석류꽃과 씨앗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길이: 30cmcm
- 재질 :
- 옥
-
-
화유옹주 도금석류잠 和柔翁主鍍金石榴簪공사로 인한 묘이장 작업 중 발견 · 출토되었으며, 황인점의 8대 종손 황선욱씨가 우리 관에 기증한 것이다. 비녀는 수식품(首飾品)의 일종으로 '계(笄)', '잠(簪)', '채(釵)' 등으로 불린다. 쪽진 머리나 관(冠) 등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꽂는 도구이다.석류잠은 석류꽃과 씨앗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길이: 28.3cmcm
- 재질 :
- 금속
-
옥잠화 백학선(白鶴仙), 玉簪花잎 뿌리줄기에서 긴 잎자루에 달린 잎이 많이 모여나온다. 잎몸은 길이 15~22cm, 나비 10~17cm의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서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8~9쌍의 맥이 오목하게 들어가 또렷하게 나타난다. 끝이 갑자기 좁아지고 밑은 심장 밑 모양이다. 가장자리는 물결처럼 너울거린다. 꽃 8~9월에...
- 학명 :
- Hosta plantagine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과 들, 관상용 재배
- 번식 :
- 분주
- 약효 부위 :
- 온포기
- 생약명 :
- 옥잠화근(玉簪花根)
- 키 :
- 40~60cm
- 과 :
- 백합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개화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고, 달고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5~20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영친왕비 백옥호도잠 英親王妃白玉胡桃簪유물설명 비녀는 수식품(首飾品)의 일종으로 ‘계(笄)’, ‘잠(簪)’, ‘채(釵)’ 등으로 불린다. 쪽진 머리나 관(冠) 등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꽂는 도구이다. 왕실 여성들은 계절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비녀로 치장하였다. 봄에는 모란잠(牡丹簪), 봄 · 가을에는 매죽잠(梅竹簪), 여름에는 민옥잠...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길이: 17.6cm
- 재질 :
- 옥(연옥)
-
영친왕비 도금호도잠 英親王妃鍍金胡桃簪유물설명 비녀는 수식품(首飾品)의 일종으로 ‘계(笄)’, ‘잠(簪)’, ‘채(釵)’ 등으로 불린다. 쪽진 머리나 관(冠) 등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꽂는 도구이다. 왕실 여성들은 계절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비녀로 치장하였다. 봄에는 모란잠(牡丹簪), 봄 · 가을에는 매죽잠(梅竹簪), 여름에는 민옥잠...
- 분류 :
- 유물 > 장신구
- 크기 :
- 길이: 17cm
- 재질 :
- 은 · 산호 · 비취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