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슬로베니아 Slovenia
    기구, 유엔 가입국이다. 서기 1000년경부터 아드리아해 연안을 통제해온 베네치아 공화국에 저항하기 위해 주변의 크로아티아·달마티아와 함께 1102년 헝가리 을 군주로 받아들였다. 오스트리아는 슬로베니아를 계속 영유하였고 1919년, 슬로베니아는 오스트리아로부터 독립하였다. 중도좌파 야당 승리(종합...
    도서 위키백과
  • 석골정 昔骨正
    왕족 정보 석골정(昔骨正)은 신라(新羅)의 왕자(王子)이자 갈문왕(葛文王)의 추봉됨 벌휴 이사금(伐休 泥師今)과 차비 김씨(次妃 金氏)아들이다. 9대 벌휴 이사금(伐休 泥師今)의 장남이다.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부왕보다 먼저 죽고, 벌휴왕이 사망할 무렵에는 그의 아들도 어려 그의 동생 이매(伊買)의 아들 내해...
    도서 위키백과
  • 구간 九干
    留水干)·유천간(留天干)·신천간(神天干)·오천간(五天干)·신귀간(神鬼干)이었다고 한다. 구간에 관한 기사는 가락국기 이외에는 보이지 않으며, 이들은 수로에 의하여 통합되기 전까지 가야를 다스린 것으로 되어 있다. 9명의 추장 가운데 아도간은 하늘에서 내려온 6개의 황금알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갔고 하는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뇌질청예 惱窒靑裔
    惱窒朱日)과 금관가야 뇌질청예를 낳았다고 한다. 뇌질주일은 대가야국의 시조라고 하는 이진아시(伊珍阿豉, 또는 內珍朱智)의 별칭이며, 뇌질청예는 수로의 별칭이라고도 하였다. 이 ≪석이정전≫에 전하는 신화는 가야지역의 여러 소국들이 상호 연합하여 가려는 움직임 속에서 가야국 전체의 동질성을 강조하기...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오도간 오상간(五常干), 五刀干
    가장 먼저 태어난 수로는 가락국의 이 되고 나머지 5명도 각각 오가야의 이 되었다. 오도간은 다른 간들과 더불어 가야국 건설의 주역으로 활약했으며 수로이 관제를 정비하면서 그 칭호는 오상간(五常干)으로 개칭되었다. 이 내용은 가야의 건국시조 김수로의 탄생을 기술하는 것으로 전형적인 천강신화(天降...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씨족장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독수리
    참수리·흰꼬리수리 등과 함께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되고 있다. 문헌기록에서는 『삼국유사』 권2의 가락국기조(駕洛國記條)에 수리가 등장한다. 수로이 탈해(脫解)와 변신술 경쟁을 벌이는 이야기가 있는데, 탈해가 매로 변하자 수로은 수리[鷲]로 변하여 이겼다고 한다. 이를 보면 수리는 매보다 더욱 힘...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뇌질주일 惱窒朱日
    뇌질주일과 금관가야 뇌질청예(惱窒靑裔)를 낳았다 한다. 뇌질주일은 대가야국의 시조라는 이진아시(伊珍阿豉, 또는 內珍朱智)의 별칭이며, 뇌질청예는 수로의 별칭이라고 하였다. 이 신화는 산악신앙과 천강신화(天降神話)가 결합된 형태이다. 기본적으로는 여성인 지신족(地神族)과 남성인 천신족(天神族)의...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김해시 금주, 金海市
    망덕리지석묘, 지라지석묘 등이 있다. 서상동의 수로왕릉(首露王陵, 사적 제73호)과 구산동의 수로왕비릉(首露王妃陵, 사적 제74호)은 각각 가락국의 시조 수로과 허왕후의 능으로 전해진다. 전김해왕릉은 가락국 제2대 거등의 무덤, 능동고분군은 가락국의 제4대 거질미의 무덤으로 전하고, 김해구산동고분군...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김해 호계사 金海 虎溪寺
    허황옥이 붉은 돛, 붉은 깃발, 주옥 등 아름다운 것을 싣고 정박한 곳이기에 배가 닿은 곳을 주포(主浦)라고 불렀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수로이 허황옥을 맞이하고 함께 나라를 다스린 것이 150여 년이었다고 한다. 이때까지 해동에 아직 절을 세우고 불법을 받드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사찰은 452년, 제...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인종 인표(仁表), 仁宗
    가계 및 인적사항 재위 1122∼1146년. 이름은 왕해(王楷), 초명은 구(王構). 자는 인표(仁表). 예종(睿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덕왕후(順德王后) 이씨(李氏)이다. 비(妃)는 이자겸(李資謙)의 3녀·4녀인 폐비 이씨, 중서령(中書令) 임원후(任元厚)의 딸 공예왕후(恭睿王后), 병부상서 김선(金璿)의 딸 선평왕후...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탈해 이사금 Talhae of Silla, 脱解尼師今
    含達婆王) 어머니 : 직녀국 공주(本質國 公主) 왕비 : 아효부인 박씨(阿孝夫人 朴氏), 남해 차차웅(南解 次次雄)의 딸 장남 : 석구광(昔仇光) 며느리 : 금관가야 수로(首露王)의 딸 손녀 : 마정부인(摩貞夫人) 손서 : 김알지(金閼智) 차남 : 석구추(昔仇鄒) 며느리 : 지진내례부인 김씨(只珍內禮夫人 金氏) 손자...
    도서 위키백과
  • 김씨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에 499본, 〈성씨대관〉에 600본, 〈조선씨족통보〉에 623본, 〈동국만성보〉에 120본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중 시조가 뚜렷한 것은 100여 본인데, 다시 가락국의 수로을 시원으로 하는 김해김씨계와 신라 왕실의 3성 중의 하나로 알지를 시원으로 하는 경주김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성씨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수로왕
김수로왕과 왕비 영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