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관가야 金官伽耶
    가야연맹체의 한 나라.|개설 금관가야(金官加耶)는 6가야(六加耶)의 하나로, 서기 전후부터 532년까지 경상남도 김해를 중심으로 존속했다. 금관가야라는 이름은『삼국유사(三國遺事)』오가야조(五伽耶條)에 인용된『본조사략(本朝史略)』을 통해 알려졌다. 가락국(伽落國: 駕洛國)이라고도 했으며, 초기에는 여러 ...
    시대 :
    고대/삼국/가야
    성격 :
    가야 소국(小國)
    유형 :
    지명
    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 일대
    분야 :
    역사/고대사
  • 금관가야 金官加耶
    기원 전후 시기부터 532년까지 경상남도 김해를 중심으로 존속했던 고대국가.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삼국유사〉 5가야조에 인용된 〈본조사략〉에 보이고 있으나, 〈삼국지〉 위지동이전에는 구야국으로, 왜인전에는 구야한국으로, 〈삼국사기〉에는 금관국으로 되어 있다. 〈가락국기〉에 의하면 시조는 수로왕이라 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대 , 삼국시대 , 가야
  •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
    전기 가야연맹의 중심인 금관가야가 신라에 합병됐다. 수로왕이 건국한 이래 491년 만의 일이다.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은 훗날 신라의 삼국 통일에 공헌하는 김유신의 증조할아버지이다. 참조
    시대 :
    532년
    국가/대륙 :
    한국
  • 금관가야 金官加耶
    삼국 시대 부산 및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 발전한 가야의 한 소국.|[개설] 금관가야(金官加耶)는 ‘9간 사회(九干社會)’로 대표되는 청동기 문화의 기반 위에 성립하여, ‘수로왕(首露王)’으로 상징되는 철기 문화를 소유하고 이른바 ‘전기 가야’의 맹주 국가로서 부산의 독로국[혹은 거칠산국]을 비롯한 여러...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금관가야 (관련어 금관 가야) Geumgwan Gaya, 狗邪韓国
    한국사 금관국(金官國) 또는 가락국(駕洛國), 통칭 금관가야(金官加耶)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오늘날의 김해시에 존재했던 가야계 국가이다. 임나 역시 금관가야를 가리키는 말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금관가야는 1세기 중엽부터 4세기 말까지 전기 가야 연맹의 맹주였으나, 4세기 말에 백제, 왜와 연합하여 신라를...
    도서 위키백과
  • 임나 (동의어 금관가야) 任那
    6가야의 하나인 금관가야의 다른 이름.|일본 기록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여러 가야국을 총칭하는 표현으로 나온다. '임나'라는 명칭은 광개토왕비문에 '임나가라'(任那加羅)라고 보이는 것이 가장 오래되었다. 그러나 여기에 보이는 것이 금관가야를 말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또 〈삼국사기〉 강수전에서 강수가 스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가야
  • 구야국 변진구야국(弁辰狗耶國), 狗邪國
    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魏書 東夷傳)에 ‘변진구야국(弁辰狗耶國)’ 또는 ‘구야한국(狗耶韓國)’으로 기록되었으며, 본가야국(本伽耶國), 즉 금관가야(金官加耶)의 모체로서『삼국사기(三國史記)』·『삼국유사(三國遺事)』·『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가락(駕洛·伽落)’·‘가라(加羅)’·‘가라〔加良...
    시대 :
    고대/초기국가
    성격 :
    변한(弁韓) 소국(小國)
    유형 :
    지명
    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 일대
    분야 :
    역사/고대사
  • 금관 金冠
    금동관의 형식도 눈에 띄는데, 이 경우 입식의 수나 장식 등에서 금관에 비해 훨씬 간략하게 처리되고 제작기술면에서도 뒤지는 편이다. 그밖에 가야지역에서도 몇 점의 금관이 출토되었는데, 그 형식은 신라의 것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신라금관의 전형에서 다소 간략하게 만들어진 점이 다르다. 테두리 위에 출자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삼국시대
  • 신라의 성장
    제도보다 중앙의 행정 관부 발달이 늦었던 것과도 연관이 있다. 법흥왕은 지증왕의 업적을 토대로 병부의 설치, 율령의 반포, 불교의 공인, 상대등의 설치, 금관가야 병합, 연호 사용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다. 특히 법흥왕 18년(531)에 설치된 상대등은 귀족의 통솔자이자 대표자로 기능하며...
  • 하가야 본가야, 下加耶
    개설 1∼6세기 동안 김해 지방에 있었던 소국으로, 가락(駕洛·伽落), 구야(狗邪), 가야(加耶·伽耶), 임나가라(任那加羅), 금관가야(金官伽耶), 금관국(金官國), 남가라(南加羅), 남가야(南加耶)라고도 하였다. 원래는 가락 또는 가야로 불리다가, 5세기 이후 고령의 대가야가 대두한 이후로는 그와 구별해 ‘남가라...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대사
  • 가야연맹
    소국들이 있었다. 교통의 요지인 낙동강 하구를 거점으로 일찍부터 성장한 구야국은 앞선 제철 기술을 선보이며 초기 가야연맹의 맹주인 금관가야로 성장하였다. 금관가야는 외교와 전쟁 등 가야연맹의 중대사에는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지방관을 파견하거나, 연맹 전체를 통제하는 법령을 제정하지 못했다. 당시 가야...
    시대 :
    42년~562년
  • 금관 金冠
    많은 영락을 매단 순금제의 관식도 나타난다. 가야고분에서 발견되는 관모류는 기본적으로 신라고분에서 출토되는 관모류와는 양식상 커다란 차이를 찾아볼 수...비슷하고, 금동제의 관모가 대부분이다. 이 지역의 특수한 형태의 관모는 경상북도 고령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금관인데, 테두리 위에 3단으로 이루어...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중 금관
가야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리움 소장 가야금관 복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