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가야 초기에 있던 9명의 전설적인 수장.
김해지방 부근의 읍락사회를 지배하고 있었다.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보면 9명의 추장(酋長)이 백성을 다스렸는데, 그 이름은 아도간(我刀干)·여도간(汝刀干)·피도간(彼刀干)·오도간(五刀干)·유수간(留水干)·유천간(留天干)·신천간(神天干)·오천간(五天干)·신귀간(神鬼干)이었다고 한다. 구간에 관한 기사는 가락국기 이외에는 보이지 않으며, 이들은 수로왕에 의하여 통합되기 전까지 가야를 다스린 것으로 되어 있다.
9명의 추장 가운데 아도간은 하늘에서 내려온 6개의 황금알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갔고 하는데 아마 구간의 대표자라고 여겨진다. 유천간과 신귀간은 수로왕비 황옥(黃玉)이 올 때 그녀를 맞이한 추장들이다. 그뒤 수로왕은 구간들의 지위나 명칭이 모두 소인·농부의 칭호로, 고관직위의 칭호가 아니므로 만약 다른나라에서 알게 되면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며 구간의 명칭을 바꾸었다.
그래서 아도를 아궁(我躬)으로, 여도를 여해(汝諧)로, 피도를 피장(彼藏)으로, 오도를 오상으로, 유수와 유천을 유공(留功)과 유덕(留德)으로, 신천은 신도로, 오천은 오능(五能)으로, 신귀는 음은 바꾸지 않고 그 훈만 고쳐서 신귀(臣貴)로 했다고 한다. 이는 읍락수장들이 보다 강력한 권력자를 중심으로 독립성이 약화되면서 편제되는 흔적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구체적인 사항은 알 수 없다.→ 가락국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