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동 안동권씨 능동재사 安東 安東權氏 陵洞齋舍길 왼쪽에 높은 축대를 쌓아 추원루(追遠樓)를 전면에 내세워 문루를 삼았다. 누문 안의 큰마당 건너 우뚝 솟은 재사 큰채와 그 앞 양쪽에 늘어선 동재 · 서재가 튼ㅁ자를 이루었다. 또 동재의 뒤쪽에 임사청 · 전사청 · 주사(厨舍)가 작은 마당을 중심으로 일곽을 이루고 있어서 전체 배치가 日자를 옆으로 뉘어놓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기재기이 기재기, 企齋記異권 9에 「최생우진기」가 재수록되어 있다. 「안빙몽유록」은 주인공 안빙이 꿈 속에서 꽃의 나라를 유람하고 돌아온 이야기이다. 「서재야회록」은 주인공이 서재에서 문방사우와 노닌 이야기이다. 「최생우진기」는 주인공 최생이 수부(水府)의 잔치에 참여하여 신선들과 노닌 이야기이다. 「하생기우전」은 주인공 하생이 무덤...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한문학
-
-
마니산사고 摩尼山史庫위치해 있어 옮길 곳을 찾아보도록 명하였다는 기록의 존재를 고려하여, 전란 직후 재정의 궁핍으로 인해 사고 건물을 새로 짓는 대신 마니산 기슭의 덕포리 서재곡(書齋谷)에 있던 기존의 재궁 건물을 사고로 활용했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1653년(효종 4) 11월 마니산사고 사각(史閣)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이곳...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인동향교 仁同鄕校전신인 옥성학원(玉城學院)이 설립되어 명륜당을 교사로 쓰기도 하였다. 동무(東廡) · 서무(西廡)는 6 · 25 때 소실되었고 동재(東齋) · 서재(西齋)도 그 뒤 철거되어 서재 자리에 관리사(管理舍)를 지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 8칸의 명륜당, 신도문(神道門) · 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명륜당은...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
-
어필현판 御筆懸板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조부인 김생해(金生海, 1512~1558)가 일찍이 백악산(白岳山) 아래 장동(壯洞)의 서울집에 거처하였는데 자신의 작은 서재의 벽에는 한석봉(韓石峯, 1543~1605)이 쓴 ‘岳麓幽居’(악록유거)라는 글씨를 걸고 ‘최락재’라는 현액을 걸어두었다고 한다. 또한 조선 중기의 안동...
- 분류 :
- 유물 > 현판
- 크기 :
- 세로: 44cmcm, 가로: 129.4cmcm, 높이: 3.4cmcm
- 재질 :
- 나무
-
위계서원 葦溪書院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되었다가 1966년에 복원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4칸의 묘우(廟宇), 신문(神門), 4칸의 강당, 각 3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외문(外門), 3칸의 고사(庫舍) 등이 있다. 사우에는 이인형 · 이의형 · 이익인 · 이현 · 이응성 등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중앙의 마루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
-
진도향교 珍島鄕校옥리로 이전하였다가, 정유재란 때 모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에 재건하였으며, 1656년(효종 7)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689년에 명륜당 · 동재 · 서재를 개수하였고 , 제기고(祭器庫) · 포재소 · 대문 등이 지어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 동무(東廡) · 서무(西廡) · 명륜당 · 동재(東齋...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
-
음성향교 陰城鄕校2차례에 걸쳐 중수, 보수하였다. 1979년 내삼문과 명륜당을 보수하고, 막돌담장을 신설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9칸의 대성전, 8칸의 동재(東齋), 4칸의 서재(西齋), 2칸의 명륜당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건축형태는 전학후묘(前學後廟...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
-
퇴수서원 退修書院받아 1957년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경내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중앙의 신문(神門)과 양옆 협문(夾門)으로 된 삼문(三門), 각 2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관리사 등이 있다. 사우에는 조박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조성복과 조견소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동재 · 서재는 제향 때 제관(祭官)의...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
-
서산서원 西山書院그 뒤 1984년 정부의 보조와 유림의 협력으로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4칸의 묘우(廟宇), 신문(神門), 4칸의 강당, 각 3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외문(外門), 육각정(六角亭), 3칸의 고사(庫舍)와 육각비(六角碑), 조려의 사적비 등이 있다. 묘우에는 조려를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 시대 :
- 조선 후기
- 건립시기 :
- 1706년(숙종 32)
- 성격 :
- 서원, 교육시설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사군로 1235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 537-2
- 분야 :
- 교육/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