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pheasant
    청색 바탕에 다섯 가지 빛깔이 있는 것을 요(鷂), 흰 것을 한(鶾), 검은 것을 해치(海雉), 꼬리의 길이가 3, 4척 되는 것을 적치(鸐雉)라고 분류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매사냥이 일찍부터 있었는데, 그 주요 대상은 꿩이었다. 『전어지』에는 사치법(射雉法: 꿩을 잡는 방법)이 있는데, 그 한 구절에 “우리나라...
    분류 :
    꿩과
    출산시기 :
    4월 하순∼6월
    성격 :
    동물, 새
    유형 :
    동식물
    학명 :
    Phasianus colchicus
    분야 :
    과학/동물
  • 안숙선 Ahn Sook-sun
    전통예술이라는 대한민국 클래식의 품격을 보여주고 있는 몇 안되는 예인으로 꼽힌다. 1949년 전북 남원 출신. 10대 때는 외당숙인 강도근에게서 판소리 다섯 바탕의 토막소리들을 두루 배웠다. 이후 20대에는 상경하여 만정 김소희(춘향가, 심청가, 흥보가)한테 입문하였으며, 1979년(31세)에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도서 위키백과
  • 오적 五賊
    에 수록되었다. 시인의 사회적 현실 인식과 비판 의식을 구비문학의 풍자 정신을 바탕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형식적으로는 자유시이며 산문시에 속하지만...장르라고 이를 설명하고 있다. 담시는 전통적인 운문 양식인 가사, 타령, 판소리 사설 가락의 문체와 표현의 기법을 빌어, 단형 서정시보다 길고 단편...
  • 숙영낭자전 수경낭자전, 淑英娘子傳
    사상에 바탕을 둔 비현실적 사건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애정담이다. 「숙영낭자전」의 지역적 배경은 경상도 안동으로, 경판본과 활자본에서도 작품 배경은 영남이다. 그러므로 영남 지역에서 형성되고 향유되는 과정에 이 작품이 대중성을 확보하게 된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선군의 아버지는 영남 지방의 몰락 양반으로...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성금연 成錦鳶
    설립했고, 1949년 여성국극동지사에 입단했으며, 1953년 고전음악무용연구소를 설립했다. 1966년 시립국악관현악단 제1악장을 역임했다. 그의 산조음악은 판소리 공부에서 얻은 남도 민속악의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그의 산조가락의 특징은 화사하고 투명하다는 데 있다. 가야금산조의 기예능보유자로...
    출생 :
    1923, 광주
    사망 :
    1987. 7. 29, 미국 하와이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김무규 백경, 金茂圭
    풍류를 배웠고 가곡 편락도 배웠다. 또한 30세에는 서울 정악전습소에서 가곡반주로 이름난 김경남(金景南)의 가락을 잇고 있던 김윤덕(金允德)에게 거문고 전바탕과 가곡을 배웠다. 그는 단소의 명인이었으나 거문고 연주기량도 뛰어났으며 산조와 판소리에도 조예가 깊었다. 김무규의 연주는 기교와 감정을 절제하면서...
    출생 :
    1908, 전남 구례
    사망 :
    1994, 전남 구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간문화재
  • 여기는 경성방송국이올시다
    쓰였지만,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실감이 나는 자료이다. 초기방송은 남녀명사들의 언변이 큰 몫을 차지했다고 한다. 방정환, 윤백남, 김동인, 김억...대상으로 강연을 했는데, 대개 정신적인 각성을 일깨우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청취자들에게 가장 인기를 끈 시간은 우리의 고유음악이었다. 판소리나 경서도소리...
  • 정경태 정영옥, 鄭坰兌
    이 악보는 18종의 악기 연주법을 비롯하여 가사 · 가곡 · 시조는 물론 판소리 · 민요 · 단가 · 가야금병창 등이 총망라되어 있다. 전주고등학교를 끝으로...완제 · 영제 · 반영제 · 원제 등의 각기 다른 가락을, 반영제를 바탕으로 하나의 체계로 통일하였다. 현재 이를 석암제라 부른다. 1961년 대전에서...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진도아리랑 珍島─
    쌍계사의 중이 되었다는 설화이다. 장단은 세마치 장단이며, 육자배기토리를 바탕으로 한 선율구조로 장식음·비음(鼻音)의 사용이 많다. 일반적으로 중모리장단...정선아리랑」이 지니고 있는 비탄조와는 다르게 「육자배기」 가락에 판소리의 구성진 목청이 어우러진 진도 지방 특유의 정조(情調)를 지니고 있다. 혼자...
    성격 :
    민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소장/전승 :
    전라남도 진도
  • 뿌리깊은나무
    가로쓰기를 했고, 전문 미술인이 편집에 참여했다. 창간사에서 "우리 문화의 바탕은 토박이 문화"라고 내세우고, 급격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해 점차 파괴되고...문제다', '민중의 유산', '예술비평' 등이 있었고, 매주 1번씩 판소리감상회를 열었다. 1980년 7월 정부가 출판물을 정비할 때 강제로 등록이 취소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판소리계 소설
    판소리 계열의 소설은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오랜 세월에 걸쳐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내용이 널리 알려져 있다. 주요작품으로 〈춘향전〉·〈심청전〉·〈흥부전〉등이 있는데, 발랄한 민중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 후기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품들이다. 이외에도 〈토끼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배비장전
    즐기는 예술로 발전해 갈 때도 《배비장전》은 탈락했던 것으로 보인다. 충(忠)·효(孝)·열(烈) 등 유교적 덕목을 내세우는 다른 판소리들은 살아남아 현재 ‘판소리 다섯 바탕’이라는 이름으로 전승되고 있다. 〈배비장 타령〉은 20세기 들어와서 판소리로서 전승(傳承)은 거의 끊겼다. 고(故) 박동진(朴東鎭) 명창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