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플랑크 위성 Planck satellite
    Radiation)를 관측하기 위해 발사된 네 번째 관측 위성이다. 이보다 앞선 1983년,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기 위해 구소련에서 RELIKT-1 위성을 발사했고, 미국항공우주국에서는 1989년 코비 위성, 2001년 더블유맵 위성을 발사한 바 있다. 코비 위성은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성을 관측했고, 더블유맵 위성은 비등방성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우주 , 과학 일반
  • 자외선천문학 紫外線天文學, ultraviolet astronomy
    몇몇 다른 국가에서는 자외선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특수 코팅된 광학면을 갖는 망원경을 실은 무인 위성천문대를 지구궤도에 올려 놓았다. 이중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1962~75년에 발사한 8대의 태양관측위성(OSO)이 포함되어 있는데, 천문학자들은 이 위성을 통해 태양 코로나의 자외선 스펙트럼을 수천 개 얻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스페이스 플레인 space plane
    미국은 1960년대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미공군·미해군에서 이 비행기를 추진할 수소연료 스크램제트(scramjet:초음속추진 램제트) 기관의 개발연구를 비밀리에 착수했으나, NASA가 유인 우주비행계획에서 액체연료 로켓을 선택함으로써 그 개발은 한때 지지부진했다. 그러나 미국국방연구사업처(DARPA)가 198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국제우주소년단 國際宇宙少年團, Young Astronauts International
    보급 등이다. 또한 매년 정회원국을 순회하며 세계우주소년단대회를 개최함으로써 기술·정보·시설의 교류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미국 교육부, 미국항공우주국(NASA), 스미스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과학재단 등 다수의 관계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지원받고 있다. 또한 30여 개 민간기업으로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우주 , 과학 일반
  • 덕트 테이프 하나만 있으면 만사 오케이
    말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유행할 정도다. 역사 현장에서 빛을 발하다 대표적으로 우주탐사에서 덕트 테이프의 활약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1970년 4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발사된 아폴로 13호는 달 착륙을 앞두고 고장이 나 지구로 돌아와야 했다. 그때 우주 상공에서 산소탱크 중 하나가 폭발했고, 비행사들...
  • 가상현실 합성환경, 假想現實
    우주선 조종사에게 추적 시스템 화면장치를 머리에 쓰게 해 비행기 조종 훈련을 가르치는 모의비행훈련장치가 개발되었다. 1980년대에는 미국의 군부와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NASA)에서 컴퓨터 상호반응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가상현실 기술이 본격화되었다. 1989...
  • 최초의 K-달 궤도선 ‘다누리’, 마침내 우주로
    다누리는 지구에 설치된 노드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우주용 DTN을 최초 검증할 예정이다. 또 다누리에 실린 6개의 탑재체 중 유일하게 국내 기업이 아닌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장비가 있는데, 바로 ‘섀도우캠’이다. 섀도우캠은 달 극지역의 충돌구 등 1년 내내 빛이 비치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한다. 향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우주 , 항공
  • 드라이든 Hugh L(atimer) Dryden
    7년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부국장을 지냈다. 1920년 볼티모어의 존스홉킨스대학을 졸업한 뒤 워싱턴에 있는 국립표준국의 공기역학과 과장으로 임명되었다. 고속 공기역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음속에서 날개 표면 부근의 공기 흐름에 대한 연구를 처음으로 수행했다. 1934년 역학부 및 음향부의 부장...
    출생 :
    1898. 7. 2, 미국 메릴랜드 포커모크 시티
    사망 :
    1965. 12. 2,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암스트롱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딛다
    시대. 1957년 소련은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린다. 이에 큰 충격을 받은 미국은 1958년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하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설립하며 뒤늦게 우주개발에 뛰어든다. 하지만 소련은 1961년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Yurii agarin)을 태운 보스토크 1호 발사에 성공하며...
    출생 :
    1930년
    사망 :
    2012년
  •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의 마지막 미션 ‘그랜드 피날레’
    지구를 떠난 지 20년 만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스릴 넘치는 생애의 마지막’을 준비하고 있다. 카시니는 2004년 토성에 도착한 이래 지난 13년 동안 토성 궤도를 돌면서 고리를 두른 아름다운 행성과 그 위성들에 대한 놀라운 사실을 발견해 인류에게 전해줬다. 이제 연료가 바닥남에 따라...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우주 , 과학 일반
  • 카펜터 M(alcolm) Scott Carpenter
    수동제어 비행을 담당했다. 1949년 미국 해군에 입대했으며 한국전쟁에 참여했다. 그는 해군 시험조종사로도 근무했으며, 1958년 해군 항공정보학교에 다녔다. 1959년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머큐리 계획을 위해 선발된 7명 중 한 사람이었다. 1964년 오토바이 사고로 왼쪽 팔이 부러져 움직일 수 없게 되자 우주...
    출생 :
    1925. 5. 1, 미국 콜로라도 볼더
    국적 :
    미국
  • 우주비행사 宇宙飛行士, astronaut
    셰퍼드는 머큐리 우주선으로 15분 동안 궤도에 오르지 않은 비행을 하여 미국 최초로 우주비행을 한 우주비행사가 되었다. 1959~80년 미국의 우주비행사 계획을 관리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9개의 그룹 총 127명의 우주비행사를 선발했다. 이들의 선발기준은 해를 거듭하면서 보완되었으며, 처음 3개 그룹에 선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5 SXSW에 참가한 미국 항공우주국
폭설이 내린 2010년 1월 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테라(Terra) 위성이 찍은 한반도의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