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자외선천문학

다른 표기 언어 ultraviolet astronomy , 紫外線天文學

요약 천체의 자외선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

성간물질·태양·백색왜성과 같은 다른 항성체의 화학 함량비와 작용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자외선천문학은 천체원에서 나오는 자외선 파장대역(약 100~4,000Å)의 전자기복사의 대부분을 흡수하는 지구대기 위에 관측기기를 운반할 수 있는 로켓이 출현함으로 가능해졌다. 대부분의 자외선은 기구가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고도에서도 차단된다. 이때문에 1920년대에 기구를 사용해 태양의 자외선 스펙트럼을 사진촬영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1946년에 로켓에 장치한 사진기로 태양의 자외선 스펙트럼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1960년대초 이후 미국과 몇몇 다른 국가에서는 자외선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특수 코팅된 광학면을 갖는 망원경을 실은 무인 위성천문대를 지구궤도에 올려 놓았다. 이중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1962~75년에 발사한 8대의 태양관측위성(OSO)이 포함되어 있는데, 천문학자들은 이 위성을 통해 태양 코로나의 자외선 스펙트럼을 수천 개 얻을 수 있었고, 궤도천문대(OAO)라고 알려져 있는 또다른 미국의 인공위성들을 이용하며 1,200~4,000Å의 스펙트럼 영역에서 성간매질과 먼 별을 연구할 수 있었다.

항성체와 성간 가스 구름에 대한 또다른 중요한 자외선관측은 1978년에 영국과 유럽 우주국이 NASA와 공동으로 발사한 국제자외선탐사선(IUE)에 실린 망원경으로 이루어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자외선천문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