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합천 해인사 길상탑 陜川 海印寺 吉祥塔
    위하여 진성여왕 8년(895) 탑을 건립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탑지에 기록된 무구정소탑 99기와 77기의 봉납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시대 조탑경으로 유행했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따른 조탑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내용 석탑은 우선 입지적인 면에서 사찰의 중심지가 아닌 입구에 일주문 밖 도로변에 위치해 있는...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목판본 木板本
    새겨 놓으면 언제라도 손쉽게 다량으로 찍어낼 수 있어 매우 편리하였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목판본은 경주 불국사의 삼층석탑에서 나온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다. 이 경은 751년(경덕왕 10) 무렵에 간행된 소형 목판 권자본으로, 판각이 자못 고졸하며 자획에 필력이 약동...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몸주
    환상 속에 나타난 어떤 신령의 상(像)을 몸주로 모시는 수도 있고, 꿈의 예언이나 환상적인 목소리의 제시에 따라 무당이 될 사람이 무당이 쓰는 신성한 무구(巫具)인 거울·방울 등을 발견하였을 때 그 무구를 몸주신의 신체(神體)로 삼아 모시는 경우도 있다. 또한, 내림굿을 할 때 망아경(忘我境)에서 소리치면서 입...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코바위
    무인도서 : 해당사항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사람거주흔적(폐사)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무구나무섬의 서쪽에 작은 바위가 코 모양 같이 생겨서 칭함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주변해역을 마을어업 및 어류등양식(우렁쉥이)어업에 이용, 갯바위 낚시...
    면적 :
    42,843m 2
    좌표 :
    34° 03′ 32″ N, 127° 16′ 48″ E
    해도번호 :
    258(A)
    지번 :
    삼산면 서도리 산 207
    소유현황 :
    사유지
    육지와의 거리 :
    91.4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佛國寺三層石塔舍利莊嚴具
    은제2중사리합(외합 높이 11.5cm, 지름 6cm)·금동방형사리합(크기 6×3.3×5.5cm)·은제사리내합(높이 6.5cm, 지름 5cm)·향목제사리소병·은제소합·〈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坵淨光大陀羅尼經〉 등이 있었다. 이 가운데 두루마리로 된 다라니경(너비 8cm, 길이 600cm)은 종이의 질이나 글씨체 가운데 당의 측천무후자...
    문화재 지정 :
    국보(1967.09.16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운석 별똥돌, 隕石
    황화철(Ⅱ)로 구성되어 있다. 석질운석은 규산염(예를 들면 감람석·사방휘석·사장석)은 풍부하지만, 금속과 황화물은 적다. 석질운석의 주요 하위분류는 무구립운석으로서 콘드룰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석철질 운석은 다량의 니켈-철 금속과 분화된 규산염 암석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운석은 그들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한국의 샤머니즘
    희박하고 무가도 일정한 양식으로 격식화되는데, 무가에는 놀이와 풀이의 양면성이 존재한다. 무의 요건은 무병·도무·신탁(神託)·무복(巫服)·무가·무구 등이다. 무당들은 일반인과는 혼인을 할 수 없으며, 동성동본 불혼율이 적용된다(→ 결혼). 씨족외혼을 원칙으로 하고, 무당끼리 혼인하는 직업내혼적 성격을...
  • 공수
    중계자 역할을 하며, 굿하는 도중 신이 들려 스스로 신격화(神格化)된다. 신이 따라온다고 믿는 화려한 여러 종류의 무복을 입고 부채·방울·신칼 등의 무구를 들고 추는 춤을 통해 강신무는 자신의 몸에 신을 싣는 것이다. 즉, 무당 스스로 신이 되어 인간들에게 내리는 말씀을 공수라고 한다. 공수는 신탁(神託)과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자바라 啫哱囉
    요발·동발·향발 등은 모두 자바라의 일종인데, 서양악기의 심벌즈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양손에 하나씩 들고 맞부딪쳐서 소리를 낸다. 조선 순조 때의 〈진찬의궤 進饌儀軌〉에 선유락의 무용반주용으로 사용된 것이 보인다. 궁중에서는 대취타, 민간의 무속음악에 편성되며, 그밖에 바라춤 등에 무구로도 사용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보물 寶物
    높낮이를 표시한 것이 아니고 지정된 일련순서에 의해 붙여진 것이다. 지정대상은 목조건축·석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고고자료·무구 등이다. 지정의 법적 근거는 문화재보호법 제4조 제1항에 의거하여 "문화부장관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지정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드릴 drill
    절삭공구로 보통은 선단에 2장의 날이 있고, 절삭칩은 본체에 나 있는 홈을 지나서 후방으로 배출된다. 날부와 동체가 고속도강 공구 등의 동일재료로 만들어진 무구드릴과 초경공구가 납맴 또는 크램프 된 붙임날 드릴 등으로 분류된다. 드릴의 종류는 그 용도에 따라서 기름구멍 붙은 드릴, 건 드릴, 코어 드릴, 끼워...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중국옥기 中國玉器, Chinese jade
    분류할 수 있다. 즉 ① 구슬, 목걸이, 허리띠 죔새 같은 작고 장식적이며 기능적인 장신구들, ②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의식적인 의미가 더 컸던 무기나 무구들, ③ 부적으로 쓰인 듯한 독립적인 조각 형식(특히 실재하거나 신화적인 동물 모양), ④ 상징적 의미가 있는 소형 기물들(환[環:큰 구멍이 뚫려 있는 팔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0건

무구
무구
함남 안변 무구
함남 안변 무구
경남 진주 무구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 무악기(북, 장구, 대영, 설쇠)
농악기 / 타악기들
농악 / 상모놀이
함남 안변 무녀
함남 안변 무녀
방울
궁중무구 보상반
궁중무구 지당판
궁중무구 선도반
궁중무구 대모반
궁중무구 금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