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순 은계(隱溪), 白純내용 호는 은계(隱溪). 충청남도 공주 출신. 일제하에 대종교(大倧敎)를 이끈 최고원로 중의 한 사람이다. 16세 때 소산림(蘇山林)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으며, 일찍부터 일본유신사(日本維新史)·지리학·정치학·경제학·서양사 등을 섭렵하였다. 1895년부터는 실업계와 교육계에 헌신하여 공주읍에 농공은행 및...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4년(고종 1)
- 사망 :
- 1937년
- 경력 :
- 보화학교 설립, 도사교위리, 총본사전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대종교인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나정련 염제, 羅正練1882년 9월 17일 전라남도(全羅南道) 보성군(寶城郡) 벌교읍(筏橋邑) 칠동리(七洞里) 금곡 마을에서 태어났다. 호는 염재(念齋) 대종교 1세 교주 나철(羅喆)의 장남이다. 어려서는 고향에서 한학을 수학하고 가업에 종사하다가 1905년 전남 보성에서 서울로 이주하여 1909년 단군교 중광 당시 입교하였다. 단군교는...
- 출생 :
- 1882년 9월 17일, 전라남도 보성(寶城)
- 사망 :
- 1943년 9월 17일
- 관련 사건 :
- 임오교변
- 본관 :
- 나주(羅州)
- 주요활동 :
- 1909년 대종교 입교, 1920년 구룡학교 교장, 1942년 임오교변 순국
- 포상훈격 :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종교
-
신채호의 망명활동기상하이[上海]의 교민단체인 동제사에 참여하고 이무렵 신규식·문일평·박은식·정인보·조소앙 등과 함께 한국청년교육을 위한 박달학원을 세웠다. 1914년 대종교 관계자인 윤세용(尹世茸)·윤세복 형제의 초청으로 만주 펑톈 성[奉天省] 화이런 현[懷仁縣]으로 가 동창학교(東昌學校) 교사로 있으면서 〈조선사〉 집필...
-
신형규 의산(義山), 辛亨奎만주 통화현 합니하(通化縣哈泥河) 무관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뒤 부여현(扶餘縣)에 삼흥학교(三興學校)를 설립, 운영하는 등 교육사업에 힘썼다. 1920년 대종교를 신봉하고 1922년에는 부여현 삼자자(扶餘縣三字子)에서 삼성시교당(三成施敎堂)을 설립하였으며 1923년에 참교(參敎), 1949년 2월에 지교(知敎), 같은 해...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0년(고종 27)
- 사망 :
- 미상
- 경력 :
- 원로원참의, 대종교유지재단 이사, 부전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대종교인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본관 :
- 영산(靈山)
-
이동녕 봉소(鳳所), 李東寧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이 학교는 1919년 신흥무관학교로 확장, 개편되어 항일독립군 양성의 중추기관이 되었다. 1913년 노령 블라디보스토크로 떠났으며, 대종교에 입교하였다. 2년 뒤 이상설의 알선으로 시베리아총독 보스타빈이 약속한 한국군관학교(韓國軍官學校) 설립을 추진하다가 발각되어 3개월 간 투옥...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9년(고종 6)
- 사망 :
- 1940년
- 경력 :
- 신흥무관학교 소장,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한국국민당 이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정치인, 행정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연안(延安 : 지금의 황해도 연백)
-
맹주천 수당(水堂), 孟柱天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를 졸업하고 곧 중등교육계에 투신하였다. 해방 후 서울 경기공립상업중학교 교장, 경기중학교 교장, 경복교 교장을 역임하였다. 대종교에 입교한 뒤 참교(參敎)를 거쳐 1946년 지교(知敎)로 승질되면서 경의원참의(經議院參議), 총본사(總本司) 찬범(贊範)과 찬강(贊講)을 지냈다. 1949년 상교...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7년
- 사망 :
- 1973년
- 경력 :
- 원로원부원장, 단군숭모회 부이사장, 총전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대종교인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본관 :
- 신창(新昌)
-
191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간신을 목 베는 글개요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되자 관직을 사임한 나철(羅喆)은 호남 출신의 지사들을 모아 1904년 유신회라는 비밀 단체를 조직해 구국 운동을 펼치는 한편 대종교(大倧敎)를 공표하기에 이른다. 교세의 급속한 확장에 불안을 느낀 일제가 대종교를 불법화하자, 그는 1916년 9월 일본 정부에 보내는 장서(長書)를 남기고...
- 시기 :
- 1916년
-
정주해 鄭周海이동하였다. 1926년 이후 다시 만주로 돌아와 하얼빈에서 여관을 경영하며 독립군의 숙식과 연락을 맡아 활동하였다. 1930년 일본경찰에 붙잡혔으며, 그 뒤 대종교(大倧敎)에 관계하여 민족정신의 고취에 힘썼다. 1942년 일본경찰이 만주에 있는 대종교지도자를 일제히 검거할 때 붙잡혀 가혹한 고문을 받다 가석방...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90년(고종 27)
- 사망 :
- 1942년
- 경력 :
- 서로군정서 부대원, 건국포장, 애국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단조사고 한배일살핌, 檀祖事攷내용 1911년 대종교협제회(大倧敎協濟會)의 이름으로 간행된 순한문체 단행본이다. 1951년 ‘한배일살핌’이라는 이름으로 제3대 교주 윤세복(尹世復)에 의하여 순한글체로 번역, 출간되었다. 한 사람의 저작은 아니고 당시 교주 나철(羅喆) 중심의 지도급 인사들에 의한 공동저작으로 보인다. 내용은 내편과 외편으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나철(저자), 윤세복(편자)
- 창작/발표시기 :
- 1911년(한문체), 1951년(한글체)
- 성격 :
- 교리서, 대종교교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간행/발행 :
- 대종교협제회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계화 백연(白淵), 桂和개설 본관은 수안(遂安). 본명은 계활(桂活). 호는 백연(白淵).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만주로 이주하여 대종교에 입교, 서일(徐一) 등과 만주에서 중광단(重光團)을 조직, 항일운동에 종사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한 뒤 중광단을 개편하여 항일군사단체인 대한정의단을 조직, 애국청년을 포섭...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5년(고종 22)
- 사망 :
- 1921년
- 경력 :
- 건국훈장 독립장(1963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수안(遂安)
-
선민사상 選民思想의 정신과 이화세계(理化世界)세계에 대한 이념을 제시하고 있어 배타적이고 정복적인 선민사상과는 구별됨을 알 수 있다. 근대에 형성된 동학·증산교·대종교·원불교·통일교 등 민족종교들은 선민사상을 바탕으로 창립되었다. 제국주의의 침탈에 대해 민족적 자존심을 회복시키고, 천손(天孫)민족으로서 민족적 소명...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조창용일본경찰에 붙잡혔으나 11월에 석방되었다. 1909년 12월 장지연의 주선으로 『경남일보(慶南日報)』의 사원이 되어 민족의식 고취에 노력하였다. 1912년 4월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여, 포교사로 선임되어 북간도 일대를 순회하면서 대종교운동을 통한 독립운동에 심혈을 기울였다. 1918년 일본경찰에 붙잡혀 잔혹한...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